목차
표준발음법
제 1장 총 칙
제 1항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 2장 자음과 모음
제 2항 표준어의 자음은 다음 19개로 한다.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ㅎ
제 3항 표준어의 모음은 다음 21개로 한다.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제 4항 'ㅏ ㅐ ㅓ ㅔ ㅗ ㅚ ㅠ ㅟ ㅡ ㅣ'는 단모음으로 발음한다. [붙임]'ㅚ, ㅟ'는 이중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
제 5항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
다만 1. 용언의 호라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가지어-가져[가저] 찌어-쪄[쩌] 다치어-다쳐[다처]
다만 2. '예,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집[계:집/게:집] 계시다[계:시다/게:시다]
시계[시계/시게] 연계[연계/연게]
몌별[몌별/메별] 개폐[개폐/개페]
혜택[혜:택/헤:택] 지혜[지혜/지헤]
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늴리리 닁큼 무늬 띄어쓰기 씌어 틔어 희어 희떱다 희망 유희
다만 4.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주의[주의/주이] 협의[혀븨/혀비] 우리의[우리의/우리에] 강의의[강:의의/강:이에]
제 3장 소리의 길이
제 6항 모음의 장단을 구별하여 발음하되, 단어의 첫 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낟.
(1) 눈보라[눈:보라] 말씨[말:씨] 밤나무[밤:나무] 많다[만:타] 멀리[멀:리] 벌리다[벌:리다]
(2) 첫눈[천눈] 참말[참말] 쌍동밤[쌍동밤] 수많이[수:마니] 눈멀다[눈멀다] 떠벌리다[떠벌리다]
다만, 합성어의 경우에는 둘째 음절 이하에서도 분명한 긴소리를 인정한다.
반신반의[반:신 바:늬/반:신 바:니] 재삼재사[재:삼 재:사]
[붙임]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도 긴소리로 발음한다.
보아-봐[봐:] 기어-겨[겨:] 되어-돼[돼:] 두어-둬[둬:] 하여-해[해:]
다만, '호아-와, 지어-져, 찌어-쪄, 치어-쳐'등은 긴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제 7항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짧게 발음한다.
1. 단음절인 용은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
감다[감:따]-감으니[가므니] 밟다[밥:따]-밟으면[발브면]
신다[신:따]-신어[시너] 알다[알:다]-알아[아라]
다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예외적이다.
끌다[끌:다]-끌어[끄:러] 떫다[떨:따]-떫은[떨:븐] 벌다[벌:다]-벌어[버:러]
썰다[썰:다]-썰어[써:러] 없다[업:따]-없으니[업:쓰니]
다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예외적이다.
끌리다[끌:리다] 벌리다[벌:리다] 없애다[업:쌔다]
[붙임] 다음과 같은 합성어에서는 본디의 길이에 관계없이 짧게 발음한다.
밀-물 썰-물 쏜-살-같이 작은-아버지
제 1장 총 칙
제 1항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 2장 자음과 모음
제 2항 표준어의 자음은 다음 19개로 한다.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ㅎ
제 3항 표준어의 모음은 다음 21개로 한다.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제 4항 'ㅏ ㅐ ㅓ ㅔ ㅗ ㅚ ㅠ ㅟ ㅡ ㅣ'는 단모음으로 발음한다. [붙임]'ㅚ, ㅟ'는 이중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
제 5항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
다만 1. 용언의 호라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가지어-가져[가저] 찌어-쪄[쩌] 다치어-다쳐[다처]
다만 2. '예,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집[계:집/게:집] 계시다[계:시다/게:시다]
시계[시계/시게] 연계[연계/연게]
몌별[몌별/메별] 개폐[개폐/개페]
혜택[혜:택/헤:택] 지혜[지혜/지헤]
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늴리리 닁큼 무늬 띄어쓰기 씌어 틔어 희어 희떱다 희망 유희
다만 4.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주의[주의/주이] 협의[혀븨/혀비] 우리의[우리의/우리에] 강의의[강:의의/강:이에]
제 3장 소리의 길이
제 6항 모음의 장단을 구별하여 발음하되, 단어의 첫 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낟.
(1) 눈보라[눈:보라] 말씨[말:씨] 밤나무[밤:나무] 많다[만:타] 멀리[멀:리] 벌리다[벌:리다]
(2) 첫눈[천눈] 참말[참말] 쌍동밤[쌍동밤] 수많이[수:마니] 눈멀다[눈멀다] 떠벌리다[떠벌리다]
다만, 합성어의 경우에는 둘째 음절 이하에서도 분명한 긴소리를 인정한다.
반신반의[반:신 바:늬/반:신 바:니] 재삼재사[재:삼 재:사]
[붙임]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도 긴소리로 발음한다.
보아-봐[봐:] 기어-겨[겨:] 되어-돼[돼:] 두어-둬[둬:] 하여-해[해:]
다만, '호아-와, 지어-져, 찌어-쪄, 치어-쳐'등은 긴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제 7항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짧게 발음한다.
1. 단음절인 용은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
감다[감:따]-감으니[가므니] 밟다[밥:따]-밟으면[발브면]
신다[신:따]-신어[시너] 알다[알:다]-알아[아라]
다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예외적이다.
끌다[끌:다]-끌어[끄:러] 떫다[떨:따]-떫은[떨:븐] 벌다[벌:다]-벌어[버:러]
썰다[썰:다]-썰어[써:러] 없다[업:따]-없으니[업:쓰니]
다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예외적이다.
끌리다[끌:리다] 벌리다[벌:리다] 없애다[업:쌔다]
[붙임] 다음과 같은 합성어에서는 본디의 길이에 관계없이 짧게 발음한다.
밀-물 썰-물 쏜-살-같이 작은-아버지
본문내용
추천자료
정보통신분야 복수 표준에 대한 경제적 효과 비교분석
2009년 1학기 맞춤법과표준어 기말시험 핵심체크
유치원 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
한식세계화 방안과 표준계량화 방안
2013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기말시험 핵심체크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총론(기초, 목적, 목표, 내용범주, 편성, 운영 등)에 대해서 작성하...
2차 표준보육과정 목적과 목표를 서술하고 6개 영역과 내용범주에 대해 자세히 서술하시오.
건설 표준품셈 재·개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Identifying the Issue relative to Enactment...
0~1세 표준보육과정 중 의사소통영역에서 문학교육과 관련된 내용범주 및 수준별 내용에 대해...
현재 표준보육과정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개선점은 무엇인지 기술하시오.
한국어어문규범-최근 표준어로 수용된 어휘들을 정리하고 그 타당성에 대해 논의하시오.
만1세 영아의 표준보육과정에서의 놀이과정을 관찰하고 만1세 영아의 특징과 함께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