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로저스 현상학 이론과 펄스의 형태주의적 상담이론
본문내용
해서 치료자가 공감, 무조건적 관심, 진실성을 보일 때, 클라이언트는 자기개념과 경험 사이의 불일치를 탐색하기 시작하고 과거에 부정하고 억압해 왔던 감정들을 경험하여 자기개념을 재조직화 하게 되고, 또 치료자는 클라이언트에게 논의할 주제를 제시하거나 충고나 해석, 제안을 하지 않고, 허용적이며 비위협적인 분위기를 만들고 비지시적인 태도를 나타냄으로써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문제에 대한 인식을 하고 문제해결을 위하여 자신의 역량과 창조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로저스 이론의 장점
로저스의 이론은 이론보다는 치료기법에 관하여 영향을 많이 끼쳤으며, 치료적 관계의 구성요소로서 비위협적인 환경, 비심판적 태도, 공감과 진실성,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 문제 해결자로서의 클라이언트에 중요성을 두고 있다는 점
◈ 로저스 이론의 한계점
①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 초점을 두지 않고 문제에 대한 클라이언트 자신의 인식과 이해를 증가시키려는 통찰 지향적 접근이기 때문에 대안 제시가 어렵고 개입의 효과성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② 치료자는 비지시적이어야 하기 때문에 상담의 주제를 제시하거나 어떤 제안을 하지 않고, 또한 해석도 하지 않아야 하는 반면에 클라이언트가 면접의 방향을 잡아야 할 책임이 있다. 그러나 치료자는 클라이언트가 제시하는 어떤 주제에 대해서는 관심을 보이다가 어떤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는 관심을 덜 나타내는 등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교묘하게 클라이언트를 유도하는 경우가 있다.
③ 성격발달에 관한 자료를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으며, 우울증, 슬픔, 수치심과 같은 정서적인문제가 왜 생기는지에 대하여 설명하지 못하고 야뇨증, 지나친 음주, 공격적인 행동, 폭력행동 등과 같은 문제행동이 왜 생기는지에 대해서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④ 치료자는 클라이언트에게 진실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다는 것이 힘든 작업이다.
⑤ 클라이언트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결과로부터 자유로운 치료환경 내에서 반복적으로 자신의 관심사를 얘기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문제가 감소하고 결국은 긍정적인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오히려 환경을 중요시하는 학습 이론적인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이다.
펄스의 형태주의적 상담이론
게슈탈트(형태주의)상담 - 펄스(Ferderick S. Perls)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정신분석의 퇴조에 발맞춰 유럽으로부터 실존주의 정신의학 사조가 미국으로 들어오기 시작 했을 때 게슈탈트 치료도 점차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 게슈탈트이론은 카린 호나이의 정신분석 치료이론 및 유기체 이론, 신체이론, 장 이론, 사이코드라마 등을 위시하여 연극과 예술철학, 실존철학, 동양의 도가(道家)와 선(禪)사상 등의 광범위한 영향을 받으며 탄생한 상담기법이다. 어떤 치료보다 개방적인 자세로 다른 상담이론의 사상이나 기법과의 접촉을 통해 현재에도 발전 진행중이다.
1.펄스의 삶
게슈탈트 치료의 역사는 그 창시자인 펄스의 전문가적 식견과 그가 살았던 시대정신과 함꼐 한다. 펄스는 1893년 독일의 베를린에서 태어나서 오스트리아 빈에서 정신신경과 의사 쉴더(Paul Ferdinand Schildfr;1886~1940)에게서 배우고 박사학위를 취득한다. 그는 1926년 플랑크풀트 암 마인에 뇌손상 군인들을 연구하는 골드슈타인 연구소(Goldstein\'s Institutc for Brain Damaged Solder)에 골드슈타인 조교로 일하기 위해 갔고 여기에서 골드슈타인교수와 게슈탈트 심리학의 전체주의 설을 세운 겔브(Adgermar Gelb)를 만나게 되고 1927년 그의 아내인 로라(Laura)를 만났다. 로라(Laura P.Perls)는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공동 창시자이다. 그녀가 펄스에게 준 영향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녀는 「자아, 기아 그리고 공격」중 몇 개장을 집필했다. 그녀는 일반 심리학 분야에 뛰어났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새롭게 영향을 주기 시작한 게슈탈트 심리학에 관한 지식이 있었다. 그는 실존주의 신학자인 마르틴 부버(Martin Buber) 및 폴 틸리리(Paul Tillich)와 접촉했고 그들의 영행을 받았다. 펄스는 1940년 남아프리카 연방 요하네스버그에「정신분석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1946년 미국 뉴욕으로 와서「뉴욕 게스탈트 치료연구소」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2.게슈탈트의 기본 철학 및 인간이해
(인간관)
게슈탈트주의자들은 개인의 경험이 의미
◈ 로저스 이론의 장점
로저스의 이론은 이론보다는 치료기법에 관하여 영향을 많이 끼쳤으며, 치료적 관계의 구성요소로서 비위협적인 환경, 비심판적 태도, 공감과 진실성,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 문제 해결자로서의 클라이언트에 중요성을 두고 있다는 점
◈ 로저스 이론의 한계점
①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 초점을 두지 않고 문제에 대한 클라이언트 자신의 인식과 이해를 증가시키려는 통찰 지향적 접근이기 때문에 대안 제시가 어렵고 개입의 효과성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② 치료자는 비지시적이어야 하기 때문에 상담의 주제를 제시하거나 어떤 제안을 하지 않고, 또한 해석도 하지 않아야 하는 반면에 클라이언트가 면접의 방향을 잡아야 할 책임이 있다. 그러나 치료자는 클라이언트가 제시하는 어떤 주제에 대해서는 관심을 보이다가 어떤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는 관심을 덜 나타내는 등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교묘하게 클라이언트를 유도하는 경우가 있다.
③ 성격발달에 관한 자료를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으며, 우울증, 슬픔, 수치심과 같은 정서적인문제가 왜 생기는지에 대하여 설명하지 못하고 야뇨증, 지나친 음주, 공격적인 행동, 폭력행동 등과 같은 문제행동이 왜 생기는지에 대해서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④ 치료자는 클라이언트에게 진실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다는 것이 힘든 작업이다.
⑤ 클라이언트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결과로부터 자유로운 치료환경 내에서 반복적으로 자신의 관심사를 얘기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문제가 감소하고 결국은 긍정적인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오히려 환경을 중요시하는 학습 이론적인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이다.
펄스의 형태주의적 상담이론
게슈탈트(형태주의)상담 - 펄스(Ferderick S. Perls)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정신분석의 퇴조에 발맞춰 유럽으로부터 실존주의 정신의학 사조가 미국으로 들어오기 시작 했을 때 게슈탈트 치료도 점차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 게슈탈트이론은 카린 호나이의 정신분석 치료이론 및 유기체 이론, 신체이론, 장 이론, 사이코드라마 등을 위시하여 연극과 예술철학, 실존철학, 동양의 도가(道家)와 선(禪)사상 등의 광범위한 영향을 받으며 탄생한 상담기법이다. 어떤 치료보다 개방적인 자세로 다른 상담이론의 사상이나 기법과의 접촉을 통해 현재에도 발전 진행중이다.
1.펄스의 삶
게슈탈트 치료의 역사는 그 창시자인 펄스의 전문가적 식견과 그가 살았던 시대정신과 함꼐 한다. 펄스는 1893년 독일의 베를린에서 태어나서 오스트리아 빈에서 정신신경과 의사 쉴더(Paul Ferdinand Schildfr;1886~1940)에게서 배우고 박사학위를 취득한다. 그는 1926년 플랑크풀트 암 마인에 뇌손상 군인들을 연구하는 골드슈타인 연구소(Goldstein\'s Institutc for Brain Damaged Solder)에 골드슈타인 조교로 일하기 위해 갔고 여기에서 골드슈타인교수와 게슈탈트 심리학의 전체주의 설을 세운 겔브(Adgermar Gelb)를 만나게 되고 1927년 그의 아내인 로라(Laura)를 만났다. 로라(Laura P.Perls)는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공동 창시자이다. 그녀가 펄스에게 준 영향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녀는 「자아, 기아 그리고 공격」중 몇 개장을 집필했다. 그녀는 일반 심리학 분야에 뛰어났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새롭게 영향을 주기 시작한 게슈탈트 심리학에 관한 지식이 있었다. 그는 실존주의 신학자인 마르틴 부버(Martin Buber) 및 폴 틸리리(Paul Tillich)와 접촉했고 그들의 영행을 받았다. 펄스는 1940년 남아프리카 연방 요하네스버그에「정신분석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1946년 미국 뉴욕으로 와서「뉴욕 게스탈트 치료연구소」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2.게슈탈트의 기본 철학 및 인간이해
(인간관)
게슈탈트주의자들은 개인의 경험이 의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