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업혁명으로 사회가 바뀌고 문화가 바뀌었다고 생각한다, 또 산업혁명에 과학자, 시인들도 참여했다고 생각한다.
다음장은 진화론과 생명의 탄생이다. 저자는 다윈뿐만 아니라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생각을 한 윌리스도 비중있게 다루었다. 덕분에 진화설은 다윈만의 이론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고, 내 생각에는 어쩌면 윌리스가 진짜 진화론의 창시자라고 해도 문제 없을 것 같다.
이제는 현대의 과학에 대해서 나온다. 멘델레예프의 원소주기율표에서부터 톰슨, 러더퍼드, 보어의 원자모형, 페르미의 원자로, 볼츠만의 엔트로피를 차례로 설명한다. 다음으로는 20세기의 물리학이 이룬 가장 큰 업적이 지금까지 물리학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말한다. 양자물리학의 탄생이다.
이 뒤로는 멘델의 유전학의 설명이 나오고, 인간의 유년시대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제이콥 브로노우스키가 천재라고 느껴진다. 우선 그의 엄청나게 넓고 깊은 지식에 놀라게 된다. 그의 지식은 과학뿐만이 아니라 예술, 문화 등 모든 분야를 아우르고 있다. 다음으로 놀라운 것은 그 지식들을 잘 융합시켜 인간을 설명한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어보면 전혀 상관이 없어 보였던 과학과 문학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것이 느껴진다. 그 누가 뉴턴의 광학이론이 발표되자 시인들의 시에서 색채에 관한 어휘가 늘었다는 것을 생각해 보기라도 했을 것인가. 과학사지만 문화를 접목시키면서 일반적인 과학책과는 차원이 다른 책이 만들어 진 것이다.
이 독후감을 다 쓰면서 정말 아쉬운 점은 나의 글 솜씨가 좋지 않다는 것이다. 너무 두서없이
다음장은 진화론과 생명의 탄생이다. 저자는 다윈뿐만 아니라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생각을 한 윌리스도 비중있게 다루었다. 덕분에 진화설은 다윈만의 이론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고, 내 생각에는 어쩌면 윌리스가 진짜 진화론의 창시자라고 해도 문제 없을 것 같다.
이제는 현대의 과학에 대해서 나온다. 멘델레예프의 원소주기율표에서부터 톰슨, 러더퍼드, 보어의 원자모형, 페르미의 원자로, 볼츠만의 엔트로피를 차례로 설명한다. 다음으로는 20세기의 물리학이 이룬 가장 큰 업적이 지금까지 물리학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말한다. 양자물리학의 탄생이다.
이 뒤로는 멘델의 유전학의 설명이 나오고, 인간의 유년시대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제이콥 브로노우스키가 천재라고 느껴진다. 우선 그의 엄청나게 넓고 깊은 지식에 놀라게 된다. 그의 지식은 과학뿐만이 아니라 예술, 문화 등 모든 분야를 아우르고 있다. 다음으로 놀라운 것은 그 지식들을 잘 융합시켜 인간을 설명한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어보면 전혀 상관이 없어 보였던 과학과 문학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것이 느껴진다. 그 누가 뉴턴의 광학이론이 발표되자 시인들의 시에서 색채에 관한 어휘가 늘었다는 것을 생각해 보기라도 했을 것인가. 과학사지만 문화를 접목시키면서 일반적인 과학책과는 차원이 다른 책이 만들어 진 것이다.
이 독후감을 다 쓰면서 정말 아쉬운 점은 나의 글 솜씨가 좋지 않다는 것이다. 너무 두서없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