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 예방 및 처치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해 예방 및 처치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조직까지 들어나는 경우
▷기계에 의한 상처의 대부분
※. 근염: 근육을 심하게 사용했거나 근육에 상처를 입었을 때 발생하는 근육의 염증
※. 디스크: 척추와 척추 사이에 있는 추간 원반이 허리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파열되거나 이탈되면서 척수내의 중추신경을 압박함으로써
생기는 상해
4. 운동 중지가 필요한 증상
가. 자각 증상
-가슴이 답답하고 괴롭다.
-호흡이 가빠진다.
-심한 피로감이 있다.
-어지러움과 두통, 구토 증세
-관절에 통증
나. 타각 증상
-얼굴이 창백하고 식은 땀이 난다.
-입술이 파래지고 호흡 곤란
-달리는 자세가 이상하고 주행속도가 급격히 떨어진다.
5. 운동상해의 예방
-준비, 정리운동 철저
-용구, 장비의 사전 점검
-안전 방호구 착용
-심리적 준비
-적합한 운동 환경 마련
-경기 규칙 준수 등을 통한 안전 확보
-자신의 신체 상태를 점검
-기초 체력 강화(적절한 체력 수준 유지)
-보조 예방 기법 활용(보조 장비나 필요한 방법 이용)
-사전 의학 검진
-재부상 방지를 위한 철저한 회복 훈련과 충분한 휴식 기간 필요(완전 회복 후 훈련참가)
6. 운동 시 고려 사항
-목표를 너무 높게 세우지 않는다.
-자신의 능력에 맞게 운동강도 증가
-운동 후 조그만 상해에도 주의
-초기의 조그만 상해 방치 땐 심각한 상해로 발전 가능
-기온이나 날씨의 변화 등 고려
-식사 후 충분한 휴식 후 운동
-격렬한 운동 후 바로 많은 양의 식사 삼가
-안전 용구 착용
-야외 운동시 눈에 잘 띄는 색의 옷 입기
-딱딱한 바닥에서는 적절한 휴식을 두고 실시
◈신체 부위별 운동 상해 응급 처치◈
1.손목 : 인대 손상이나 염좌시 부목으로 고정
2.팔꿈치 및 어깨 :
-근육이나 건, 인대에 염증 발생 및 충격에 의한 근 파열 시 충분한 휴식
-예방 : 준비 및 정리운동, 정확한 동작의 학습 실시
-처치 : 골절이 많이 발생하므로 상태를 보존하여 병원으로 이송
3.다리 및 무릎 : 연골이나 인대 손상 시 얼음으로 냉찜질.
4. 얼굴 부위
가. 코피 날 때 : 목을 약간 뒤로 젖히고 코의 옆 부분을 세게 느른다.
(목 뒤를 때리는 행위 금지)
나. 귀에 이물질 :
귀의 압력을 이용 즉 손가락을 넣었다가 순간적으로 빼거나 고개를 기울인다.
다. 눈에 이물질 : 눈을 물속에서 깜빡이거나 몸을 옆으로 하여 물을 부어 씻어낸다.

키워드

격파,   상해,   처치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91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