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칼융의 분석심리이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칼융의 분석심리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칼융의 분석심리이론

본문내용

·····························7
1) 심리적 건강과 증상에 대한 관점
2) 치료목적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4) 치료적 기법
6. MBTI 란 ? ·········································································10
7. 결 론 ····················································································12
8. 생각해 보기 ······································································13
1. Carl Gustav Jung의 생애
융은 1875년 스위스 캐스빌에서 개신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융은 어린시절부터 무척 내성적이어서 많은 시간을 친구 없이 혼자 보냈고 나무로 만든 인형이 그에게 있어 유일한 친구였다. 어머니의 우울증과 아버지의 침착하지 못한 성격 때문에 그의 부모님들은 매우 긴장된 결혼관계를 유지했다. 학교생활에 적응하기 어려웠던 융은 신경증적 발작으로 인해 간간히 휴학해야 했고 이 시기를 그는 평상시 보고 싶었던 책을 보며 보냈다. 그러나 아버지가 자신의 신경증을 심각하게 걱정하는 모습을 보면서 현실성을 갖게 되자 곧 증상이 사라졌다. 이것이 그가 신경증을 이해하는 근거가 되었다. 그의 아버지는 목사였지만 그는 교회에 다니는 것을 싫어하여 종교문제를 놓고 아버지와 잦은 언쟁을 하였다. 융은 역사, 철학, 고고학, 심령 현상 따위에 깊은 관심을 보여 이러한 것들이 그의 분석심리학의 토대가 되었다.
1907년 그가 취리히 정신과 의사일 때 프로이드 이론에 깊은 감명을 받아 자신의 논문을 보냄으로써 프로이드와의 관계가 시작되었다. 1911년 프로이트의 강력한 지지에 의해 비엔나학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융은 국제정신분석학회 초대회장이 되었다. 1914년 융이 학회장직을 퇴임하면서 관계는 완전히 단절되었다. 그후 우울증에 시달리며 6년간 본격적으로 자신의 내면세계를 연구했다. 1920년대 아프리카, 남미의 뉴멕시코 등으로 여행을 떠났고, 그곳에서 문맹의 원주민들이 지닌 정신과정과 집단무의식에 대해 연구하였다. 1922년 쮜리히 볼링겐 호숫가의 쿠스나흐트에 집을 짓고 살면서, 1932년 그는 쮜리히에 있는 스위스연방 공과대학 교수가 되었고, 1942년 건강악화로 인해 그 곳을 사임하였다. 1944년 바젤대학교는 그를 의학심리학연구소 소장으로 임명하였지만, 이 또한 건강악화로 인해 1년 이상 지속할 수 없었다. 그 이후 그는 1961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주로 연구와 저술활동에 전념하면서 다양한 저서를 출간하였다. 그는 하버드대학교와 옥스퍼드대학교에서 명예박사학위를 수여받았고, 그의 저작이 전 세계에 널리 알려지면서 다양한 사람들의 관심과 존경을 받게 되었다.
2.인간관과 기본가정
Jung은 인간을 생물학적-심리적-사회문화적 존재로 보고 있으며, 의식과 무의식 간의본질적인 대립양상을 극복하고 이를 하나로 통일해 나가는 전체적 존재로 본다. 이러한 전 체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역사적이면서 동시에 미래지향적인 존재이다. 즉, 인간은 실재 했던 과거로부터 영향을 받으면서 현재를 살아가지만 미래의 목표와 가능성을 달성하기 위 하여 노력하고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존재이다. Jung은 인간이 완성 또는 자기실현을 달성하기 위하여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고 보고 있다. Jung은 타고 난 정신적 소인을 갖고 있지만, 이러한 정신적 소인의 발현은 한 개인이 개성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인간의 정신구조는 삶의 과정을 통하여 후천적 으로 변할 수 있다고 본다.

정신 또는 성격은 부분들의 단순한 집합이 아니라 하나의 전체성을 이루고 있다.
인간행동은 의식과 무의식 수준에서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힘에 의해 동기화된다.
인간의 행동은 과거에 의해 상당한 정도로 결정되지만, 미래의 목표와 가능성에 의해 조 정된다.
성격의 발달은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개성화 또는 자기실현의 과정이며, 인생 전반기 와 후반기에 각기 다른 특성을 보인다.
발달은 타고난 소인 또는 잠재력을 표현해 나가는 것이지만, 후천적 경험에 의해 서로 다르게 표현하다.
개인은 독립된 존재가 아니라 역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회적 규범이나 문화의 요 구에 적응해가며, 개인은 자기실현과정을 통하여 사회의 발전에 기여한다.
심리적 건강은 정신의 전체성을 유지하는 것이며, 정신병리는 이러한 전체성의 분리현상 이다.
정신병리를 파악함에 있어서는 원인과 함께 병리가 지니는 의미를 동시에 파악하여야한 다.
내담자의 원조는 무의식의 의식화를 통한 개성화를 촉진하고, 자신의 전체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3. 주요개념
Jung는 정신(psyche)를 영(spirit), 혼(soul), 그리고 마음(mind)의 조합이라고 정의하였다.
자아
의식
그림자
아니마
아니무스
원형
개인무의식
자기
집단무의식
콤플렉스

1) 의식, 자아와 페르소나
① 의식(consciousness) : 개인이 직접 인식할 수 있는 정신의 부분, 유아가 사고, 감정, 감 각, 직관이라는 심리기능을 서로 다르게 사용하고 내부 또는 외부 로 의식을 향하게 하는 과정에서 점차 분화되어 간다.
② 자아(ego) : 개인의 의식이 분화되는 과정에서 생겨난다. 의식적인 지각, 기억, 사고 감정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의식의 중심부에 자리를 잡고 의식의 주인으로서 의식을 지배 한다.
③ 페르소나(persona) : 자아가 외적세계에 적응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여러 가지 행동양식 이며, 사회가 개인에게 요구하는 규범, 사명이나 본분, 윤리를 의미 하는 우리말의 체면, 얼굴 낯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페르소 나는 개인 자체가 아니라 ‘타인에게 보이는 개인’ 또는 ‘사회가 그 개인에게 담당하기를 기대하는 배역’ 이라 할 수 있다.
즉 페르소나는 진정한 자신은 아니며, 주위의 일반적 기대에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9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