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개념과 천안지역 사회복지 서비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미리보기 확인요~^^

본문내용

존의 사회복지 예산 등에만 초점을 맞춰 산출근거를 만들고, 계획의 수립에만 급급해 보인다.
물론 사회복지와 삶의 질 향상은 사업비 증대나 수혜대상 확대 등으로 순간의 효과는 거둘 순 있겠지만, 장기적인 발전 정책이라고 보기에는 어렵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지역 주민들과 복지협의체 간의 긴밀한 교류를 통한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 중앙정부 차원의 복지관련 업무 통합과 일원화가 필요하다. 또한 지역복지협의체 위원의 대표성과 운영의 민주성을 보장할 수 있는 지침 마련 역시 해결과제다.
지역의 경우에는 허울뿐인 전시행정이 아닌, 지역 주민의 욕구의 정확한 조사와 그에 기초한 중장기 계획수립 시 지역주민과 전문가들의 실질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단언하건대 지역사회 복지 향상을 위해서는 관(官)의 시녀가 아닌, 지역복지의 주체로서 민·관의 협력이 중요하다.
천안시의 경우 김정진(나사렛대 교수)책임연구원의 자세가 적극적이고, 공정한 인물이므로 이 같은 문제들을 극복할 가능성이 있기에 여기에 거는 기대는 크다. 모쪼록 우리 천안시의 지역복지 관련 여러분의 건투로 민선 4기 천안시정이 내세운 ‘복지도시 건설’이 실현되길 기원한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9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