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행동주의적 치료와 인본주의적 치료
본문내용
지금의 애인을 옛 애인과 비교했을 때 적대적인 반응이 나오면 나중엔 그런 비교하지 않는다.
*타임 아웃(time out) 정적 강화로부터 퇴장. 잠시동안 긍정적 강화물에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것. (숙제 다 못하면 휴식시간 박탈)-나중에 환경중시이론에서 다시 살펴보자.
4. 강화(reinforcement)
:조작적 조건형성에서 행동의 발생가능성을 높여주는 것.
1)정적(자극을 제시혹은 더하는것) 강화(positive reinforcement):행동수행후 강화하는 자극이 제시될 때 발생
2)부적(자극을 제거하는 것) 강화(negative reinforcement): 행동에 수반되는 불쾌한 자극을 없애는 것.(방청소하면 아버지 잔소리 뚝). 처벌과 혼동해서는 안된다.
처벌은 행동의 결과가 그 행동의 반복 경향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경험적으로 정의된 것.
*행동 및 사회적 학습관점*
로터(Julian B. Rotter, 1916-)의 사회적 학습이론
로터는 행동이 학습된다는 점에서는 동의, 그러나 외적변인들에 의해 형성된다는 스키너의 견해에는 찬성하지 않았다. 로터는 “행동은 진공상태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인간은 외적 그리고 내적 환경의 여러 측면에 끈임없이 반응한다”고 언급. 즉 외적인 강화와 내적인 인지과정을 모두 살펴야 한다고 주장. 따라서 그는 사람들이 어떤 상황에서 할 행동을 예언하기 위해 지각, 기대 가치와 같은 변인들을 고려해야한다고 봄. 성격에 대한 로터의 접근은 강화이론과 인지이론이라는 절대로 만날 수 없을 것 같은 평행선을 달리는 두 이론을 통합시키려고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1. 주요개념
1) 기대-강화가치 모델
기본 가정:①성격은 학습된다:즉 개인의 대부분 행동은 학습되며 행동은 다른 사람들과의 경험을 통해 획득된다는 가정. 행동예언을 위해서는 심층적인 과거경험탐색필요, 과거경험은 현재에 현재 경험은 과거에 학습된 것을 변화시키는 상호적 관계 ②성격은 구체적 목적으로 동기화 된다.성격기능 설명을 위해 로터는 네 가지 개념, 즉 행동잠재력(behavior potential), 기대(expectancy), 강화가치(reinforcement value), 심리적 상황(psychological situation)을 제안.
BP=f[E,RV]즉, 행동잠재력=f[기대, 강화가치](행동이 어떤 특별한 상황에서 일어날 잠재력은 그러한 행동이 그러한 상황에서 특별한 강화로 이끌 기대와 그러한 강화가치의 함수이다.
(1)행동잠재력:주어진 상황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행동 중에서 특별한 행동 혹은 반응을 할 가능성을 의미한다. 로터의 공식에서 행동 잠재력은 개인이 주어진 상황에서 그에게 이용될 수 있는 다른 행동에 대해 갖는 지각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가정한다. 따라서 개인의 인지적 요인은 행동을 예언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스키너와 달리, 관찰할 수 있는 행동에 동작, 언어적 표현, 인지적, 정서적 반응포함.
(2)기대: 만약 우리가 주어진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하면, 어떤 보상이 따를 것인가를 예언할 수 있다는 신념으로 개인이 자신의 행동결과에 대해 갖는 주관적 기대를 의미한다. 로터의 세가지 기대. 이러한 기대의 정도는 과거 경험과 일반화에 의해 결정된다.
①단순 인지 혹은 자극의 명명 예)나는 저 그림이 고호의 그림이라고 생각한다.
②행동강화결과에 대한 기대 예)내가 언니의 옷을 입으면 언니가 화를 낼 것이다.
③강화순서에 대한 기대 예)내가 서울대학에 합격 졸업하면 나는 좋은 직장에 취업하고 경제적 어려움이 없을 것이고 사회적으로 존경을 받을 것이다“ 단계적 예견.
(3)강화가치: 우리가 어떤 강화를 다른 강화물보다 선호하는 정도. 즉 강화가치는 개인이 많은 강화들 중에서 특별한 강화에 대해 중요성 혹은 선호도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 몹시 고독을 느끼면 사회적 접촉은 고독하지 않을 때 보다 높은 강화가치를 가진다.
(4) 심리적 상황:개인이 반응하는 심리적 맥락. 성향영향(dispositional influence)과 상황영향(situational influence)으로 사람변인과 상황변인의 상호적 영향을 강조하는 상호작용주의자 관점.
2)심리적 욕구
모든 행동은 방향성을 갖는다. 즉 행동은 어떤 목표를 지향한다. 모든 심리적 욕구는 학습된다. 발달에 따라 생리적 욕구와의관련성은 줄어들고 학습되고 습득도니 심리적 욕구와의 관련성이 커지게 된다. 로터가 제안한 여섯가지 욕구의 범주
①인정/지위욕구: 전문적, 사
*타임 아웃(time out) 정적 강화로부터 퇴장. 잠시동안 긍정적 강화물에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것. (숙제 다 못하면 휴식시간 박탈)-나중에 환경중시이론에서 다시 살펴보자.
4. 강화(reinforcement)
:조작적 조건형성에서 행동의 발생가능성을 높여주는 것.
1)정적(자극을 제시혹은 더하는것) 강화(positive reinforcement):행동수행후 강화하는 자극이 제시될 때 발생
2)부적(자극을 제거하는 것) 강화(negative reinforcement): 행동에 수반되는 불쾌한 자극을 없애는 것.(방청소하면 아버지 잔소리 뚝). 처벌과 혼동해서는 안된다.
처벌은 행동의 결과가 그 행동의 반복 경향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경험적으로 정의된 것.
*행동 및 사회적 학습관점*
로터(Julian B. Rotter, 1916-)의 사회적 학습이론
로터는 행동이 학습된다는 점에서는 동의, 그러나 외적변인들에 의해 형성된다는 스키너의 견해에는 찬성하지 않았다. 로터는 “행동은 진공상태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인간은 외적 그리고 내적 환경의 여러 측면에 끈임없이 반응한다”고 언급. 즉 외적인 강화와 내적인 인지과정을 모두 살펴야 한다고 주장. 따라서 그는 사람들이 어떤 상황에서 할 행동을 예언하기 위해 지각, 기대 가치와 같은 변인들을 고려해야한다고 봄. 성격에 대한 로터의 접근은 강화이론과 인지이론이라는 절대로 만날 수 없을 것 같은 평행선을 달리는 두 이론을 통합시키려고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1. 주요개념
1) 기대-강화가치 모델
기본 가정:①성격은 학습된다:즉 개인의 대부분 행동은 학습되며 행동은 다른 사람들과의 경험을 통해 획득된다는 가정. 행동예언을 위해서는 심층적인 과거경험탐색필요, 과거경험은 현재에 현재 경험은 과거에 학습된 것을 변화시키는 상호적 관계 ②성격은 구체적 목적으로 동기화 된다.성격기능 설명을 위해 로터는 네 가지 개념, 즉 행동잠재력(behavior potential), 기대(expectancy), 강화가치(reinforcement value), 심리적 상황(psychological situation)을 제안.
BP=f[E,RV]즉, 행동잠재력=f[기대, 강화가치](행동이 어떤 특별한 상황에서 일어날 잠재력은 그러한 행동이 그러한 상황에서 특별한 강화로 이끌 기대와 그러한 강화가치의 함수이다.
(1)행동잠재력:주어진 상황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행동 중에서 특별한 행동 혹은 반응을 할 가능성을 의미한다. 로터의 공식에서 행동 잠재력은 개인이 주어진 상황에서 그에게 이용될 수 있는 다른 행동에 대해 갖는 지각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가정한다. 따라서 개인의 인지적 요인은 행동을 예언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스키너와 달리, 관찰할 수 있는 행동에 동작, 언어적 표현, 인지적, 정서적 반응포함.
(2)기대: 만약 우리가 주어진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하면, 어떤 보상이 따를 것인가를 예언할 수 있다는 신념으로 개인이 자신의 행동결과에 대해 갖는 주관적 기대를 의미한다. 로터의 세가지 기대. 이러한 기대의 정도는 과거 경험과 일반화에 의해 결정된다.
①단순 인지 혹은 자극의 명명 예)나는 저 그림이 고호의 그림이라고 생각한다.
②행동강화결과에 대한 기대 예)내가 언니의 옷을 입으면 언니가 화를 낼 것이다.
③강화순서에 대한 기대 예)내가 서울대학에 합격 졸업하면 나는 좋은 직장에 취업하고 경제적 어려움이 없을 것이고 사회적으로 존경을 받을 것이다“ 단계적 예견.
(3)강화가치: 우리가 어떤 강화를 다른 강화물보다 선호하는 정도. 즉 강화가치는 개인이 많은 강화들 중에서 특별한 강화에 대해 중요성 혹은 선호도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 몹시 고독을 느끼면 사회적 접촉은 고독하지 않을 때 보다 높은 강화가치를 가진다.
(4) 심리적 상황:개인이 반응하는 심리적 맥락. 성향영향(dispositional influence)과 상황영향(situational influence)으로 사람변인과 상황변인의 상호적 영향을 강조하는 상호작용주의자 관점.
2)심리적 욕구
모든 행동은 방향성을 갖는다. 즉 행동은 어떤 목표를 지향한다. 모든 심리적 욕구는 학습된다. 발달에 따라 생리적 욕구와의관련성은 줄어들고 학습되고 습득도니 심리적 욕구와의 관련성이 커지게 된다. 로터가 제안한 여섯가지 욕구의 범주
①인정/지위욕구: 전문적, 사
추천자료
[놀이치료][놀이][치료][다감각놀이프로그램]놀이치료의 중요성, 놀이치료의 목표, 놀이치료...
[모래놀이치료][모래][놀이][치료][모래놀이치료 정의][모래놀이치료 유형][모래놀이치료 효...
[집단놀이치료][집단놀이치료 사회성발달][집단놀이치료 치료적 제한][집단놀이치료 사례]집...
[인지행동치료][인지행동][인지][치료][인지행동치료 중요성][인지행동치료 발달]인지행동치...
[놀이치료][놀이][모래놀이치료]놀이치료의 역사, 놀이치료의 프로그램, 놀이치료와 모래놀이...
[놀이치료][놀이][치료][시각장애아동]놀이치료의 종류, 놀이치료의 실제, 놀이치료와 시각장...
[집단놀이치료][놀이치료][집단놀이][놀이][집단놀이치료 유형][집단놀이치료 필요성][집단놀...
[놀이치료][분석적 미술치료][관계놀이치료]놀이치료 개념, 놀이치료 단계, 놀이치료와 놀이,...
[놀이치료][놀이치료 재료][놀이치료 과정][놀이치료와 치료자][놀이치료와 정신분석 관계]놀...
[놀이치료]놀이치료의 의미, 놀이치료의 필요성, 놀이치료의 레크리에이션(레크레이션) 적용,...
[놀이치료][아동중심놀이치료][놀이치료 사례][관계놀이치료]놀이치료의 특징, 놀이치료의 효...
[가족상담및치료] 의사소통가족치료, 사티어(Satir) 이론정리 (의사소통의 개념, 의사소통의 ...
[미술치료] 미술치료프로그램 계획 - 치료계획 단계(선정과 구성), 치료과정, 회기당 미술치...
[심리치료와 상담] 심리치료와 상담은 무엇인가 - 다양성 문제, 심리치료 및 상담의 정의, 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