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동기와 목적 ........................................ 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1
Ⅱ. 교회론
1. 교회의 양태 ............................................... 2
2. 교회의 속성 ............................................... 3
1) 교회의 사도성(Apostolicity) ............................. 3
2) 교회의 거룩성(Holiness) ................................. 4
3) 교회의 우주성(Catholicity) .............................. 5
4) 교회의 연합성(Unity) .................................... 5
3. 교회의 사명 ............................................... 6
Ⅲ. 교회성장론
1. 교회 성장 원리 ............................................ 7
1) 교회성장 저해요소 ....................................... 8
2) 교회 성장 요소 .......................................... 11
2. 교회 성장 신학 ............................................ 14
1) 풀러의 교회 성장학과 문제점 ............................. 14
2) 죠지 피터스의 교회 성장학 ............................... 16
3. 한국교회 성장의 요소 ...................................... 18
1) 종교적 요소 ............................................. 18
2) 영적 요소(부흥운동) ..................................... 19
3) 신학적 요소 ............................................. 20
4) 선교전략적 요소 ......................................... 21
5) 신앙적 요소 ............................................. 22
6) 토착화 원리 ............................................. 22
7) 사회적 요인 ............................................. 23
Ⅳ. 교회성장을 위한 목회사역
1. 목회의 본질 ............................................... 24
1) 대화와 목회 ............................................. 24
2) 교회 권징으로서의 목회 .................................. 25
3) 목회의 본질 ............................................. 25
4) 목회에 대한 올바른 견해 ................................. 26
2. 목회자 .................................................... 27
1) 목회자상 ................................................ 27
2) 목회자의 영성개발 ....................................... 27
3) 목회자 인격개발 ......................................... 28
3. 목회사역의 실제 ........................................... 31
1) 설교(說敎) .............................................. 31
2) 교회교육 ................................................ 33
3) 성경공부 ................................................ 33
4) 傳道(宣敎) .............................................. 35
5) 봉 사 ................................................... 37
6) 기 도 ................................................... 39
7) 상 담 ................................................... 40
Ⅴ. 교회성장의 10대 요건 ........................................ 44
Ⅵ. 결 론 ....................................................... 45
참 고 문 헌 ..................................................... 47
1. 연구의 동기와 목적 ........................................ 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1
Ⅱ. 교회론
1. 교회의 양태 ............................................... 2
2. 교회의 속성 ............................................... 3
1) 교회의 사도성(Apostolicity) ............................. 3
2) 교회의 거룩성(Holiness) ................................. 4
3) 교회의 우주성(Catholicity) .............................. 5
4) 교회의 연합성(Unity) .................................... 5
3. 교회의 사명 ............................................... 6
Ⅲ. 교회성장론
1. 교회 성장 원리 ............................................ 7
1) 교회성장 저해요소 ....................................... 8
2) 교회 성장 요소 .......................................... 11
2. 교회 성장 신학 ............................................ 14
1) 풀러의 교회 성장학과 문제점 ............................. 14
2) 죠지 피터스의 교회 성장학 ............................... 16
3. 한국교회 성장의 요소 ...................................... 18
1) 종교적 요소 ............................................. 18
2) 영적 요소(부흥운동) ..................................... 19
3) 신학적 요소 ............................................. 20
4) 선교전략적 요소 ......................................... 21
5) 신앙적 요소 ............................................. 22
6) 토착화 원리 ............................................. 22
7) 사회적 요인 ............................................. 23
Ⅳ. 교회성장을 위한 목회사역
1. 목회의 본질 ............................................... 24
1) 대화와 목회 ............................................. 24
2) 교회 권징으로서의 목회 .................................. 25
3) 목회의 본질 ............................................. 25
4) 목회에 대한 올바른 견해 ................................. 26
2. 목회자 .................................................... 27
1) 목회자상 ................................................ 27
2) 목회자의 영성개발 ....................................... 27
3) 목회자 인격개발 ......................................... 28
3. 목회사역의 실제 ........................................... 31
1) 설교(說敎) .............................................. 31
2) 교회교육 ................................................ 33
3) 성경공부 ................................................ 33
4) 傳道(宣敎) .............................................. 35
5) 봉 사 ................................................... 37
6) 기 도 ................................................... 39
7) 상 담 ................................................... 40
Ⅴ. 교회성장의 10대 요건 ........................................ 44
Ⅵ. 결 론 ....................................................... 45
참 고 문 헌 ..................................................... 47
본문내용
말씀이란 곧 하나님의 말씀 그대로이다. 하나님의 말씀을 그대로 선포할 때에 위대한 능력이 나타난다. 오늘날 말씀의 능력이 상실된 것은 말씀의 순수성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역사를 말씀으로 이끌어 가신다. 하나님의 뜻대로 인물을 선택하셔서 그들에게 준 것은 하나님의 말씀이었다. 이스라엘의 역사는 아브라함에게 주신 말씀이 대대로 이어지는 역사였다.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은 설교로 시작되었다. “믿음은 들음에서 나며, 들음은 그리스도의 말씀으로 말미암느니라”(롬10:17)고 했다. 그리고 메시지의 근거는 그리스도의 말씀이다.?) A.R.Tippett, 교회성장과 하나님의 말씀 , 장중열 역 (서울:보이스사,1980), PP.42ff
말씀을 선포하는 능력을 개발해야 한다. 능력이 바로 케리그마의 개발이다. 설교의 내용은 성경말씀이다. 성경의 내용은 예수 그리스도를 계시하고 있다.
목사는 말씀을 전하기 위하여 부름받은 존재이기 때문에, 상담도 심방도 대화도 말씀 중심이어야 한다. 말씀의 본질을 알고 전할 때에 능력이 나타난다. 설교의 능력은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할 때 나타난다. 설교는 아름다운 말이 아니라 성령의 나타남과 능력으로 외쳐야 한다. 그리고, 강해 설교도 해야 하는데, 그 장점과 단점을 고려하여 충분한 성경강론이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Ibid., PP.105-113
2) 교회교육
교회교육의 중심에는 언제나 예수가 그리스도이심을 가르치는 일이 있어야 한다. 기독교 교육은 사람들이 성경의 여러가르침을 진보된 지식의 빛과 그리스도에 의해서 주어진 빛안에서 올바르게 해석하도록 도움을 준다. 로저 L. 쉰, 교회와교육 , 이정기 역 (서울:보이스사,1979), P.63
먼저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삶의 동기와 목적을 어디에 두시고 사셨는지를 먼저 배우고 그대로 살면서 우리 학생들이 바로 그리스도를 따라 그 제자다운 삶의 동기와 목표를 갖도록 도와야하겠다.
3) 성경공부
신앙은 훈련되어 가야 한다. 신앙 훈련은 바로 성경공부의 효율적인 시행에 있다. 성경공부는 신앙 훈련으로서 기본이 되고 가장 조화있는 교회성숙을 도모할 수 있다고 본다. 이용호, 목회와 현장 (서울:교회교육연구원,1986),P.12
성경공부는 형태는 달라도 역사적으로 언제나 시행되어 왔다.
① 이스라엘의 쉐마(Shema) 훈련
이스라엘 민족들은 특유한 전승과 율법들을 통하여 훈련을 받았으며 그 훈련에서 이스라엘적 책임의 근원이 성립되기도 하였다. 또 그러한 훈련은 이미 이스라엘이라는 의식 없이는 들을수 없는 것들이다. J.마일덴버그,이스라엘의 길,김이곤 역 (서울:컨콜디아사,1979), P.46
② 유태인 공동체의 말씀운동
유태인 공동체의 교육은 형식을 갖춘 교육으로서 그 산물로서 회당이 생겨났고 그곳을 중심으로 하여 민족 공동체의 관심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박종순, 교회성장과 성경 연구 (서울:혜선출판사,1984),P.16
이렇게 율법의 엄격한 가르침으로 모인 유대공동체에는 세 기둥으로 상징되는 요소에 의하여 유지 되었으니 경전(canon)과 회당(synagogue)과 그리고 랍비(Rabis)들이다. W.피터스, 신구약중간사, 문희석 역 (서울:컨콜디아사,1982),P.17
③ 예수님의 성경 가르침
그의 가르침 사역이 60여회 나오는중에 30여회가 구약성경에 대한 해석이라고 본다.?) 김득룡, 기독교교육사 (서울:대한예수교장로회 출판부,1979), P.18
예수는 들에서,산에서,바닷가에서,집에서,회당에서,그리고 길거리에서 항상 가르치시는 사역에 몰두하신 흔적이 있다. 그는 선생으로서 자신의 계시자됨과 인격자됨을 가르치심으로써 단순한 선생 이상의 하늘로부터 온 선생임을 보여주셨다.
④ 사도행전에 나타난 성경공부
예루살렘 교회의 특징 중에서 가장 비중이 크게 나타나는 적은 사도들의 가르침이라 할 수 있다(행2:42). 그것은 사도들이 가르치는 성경의 교훈은 공동체의 기초가 되며 기도나 전도의 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베뢰아 사람들도 성경을 상고했으며(행17:11) 두란노서원의 성경공부는 형식을 갖춘 교육이었고(행19:9-10) 그러한 성경공부는 바울이 로마에 가서도 계속되는 사역이었다(행28:23-31).
여러 교회들의 성경공부는 진정한 성경공부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며 그 결과가 얼마나 교회 성장과 신앙 훈련에 결정적인가를 말해주고 있다.
⑤ 종교개혁시대의 말씀운동
“말씀에 의하여 세상은 정복되어 왔으며 말씀에 의하여 교회는 다시 정돈될 것이며 비 기독교인들은 힘없이 쓰러질 것이다”라고 루터는 말했다. 종교개혁시대에 성경공부에 공헌한 개혁자들은 많이 있다.
칼빈은 오직 성경 강해에 의한 설교,성경 전체에 대한 주석(일부제외),성경에 근거해서 조직화된 신학 등으로 이 일을 수행했다. 홍치모, 종교개혁사 (서울:성광문화사,1978), P.153
시대적으로 보면 17세기의 영국의 대부흥 운동이나 18세기의 미국의 대각성 운동도 성경 공부의 말씀 운동이라 할 수 있다.
⑥한국교회에 있어서의 성경공부
알렌은 한국교회 최초의 성경 공부는 1887년 봄 아펜셀러 선교사 집에서 배재학당 학생 한 사람과 젊은 관리 한 사람이 시작 했다고 하며 1888년 1월 이화학당에서 처음 주일학교를 시작하여 처녀 12명과 부인3명이 모여 공부를 했고 1892년 2월 스크랜튼 부인이 주일밤 성경공부를 했는데 평균 35명이나 되었다고 전한다. D.C.알렌. 한국 교회사 (서울:기독교문서선교회,1971), PP.98-101
성경공부는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 중심의 프로그램이 되어야 한다. 성경을 배우면 배울수록 교회의 성장과 교인들의 신앙 훈련에 참된 증거가 있어야 할 것이다.
4) 전도(선교)
프로그램 전도는 결신시키는 것이 목적이라면 능력전도는 제자화에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능력전도를 통해서 하나님을 만나게 된 사람은 동시에 제자화가 된다는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 전도는 조직을 강조한다. 이중표 외, 교회발전을 위한 목회개발 “ 능력전도와 교회성장 ” (서울:서울서적,1988), P.90
프로그렘 전도의 형태를 살펴보면 첫째로 십자군 전도를 들 수 있다. 이것은 대중전도 집회를 말한다.
화이트필드는 교회의 권위에 못이겨 들판으로
하나님은 역사를 말씀으로 이끌어 가신다. 하나님의 뜻대로 인물을 선택하셔서 그들에게 준 것은 하나님의 말씀이었다. 이스라엘의 역사는 아브라함에게 주신 말씀이 대대로 이어지는 역사였다.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은 설교로 시작되었다. “믿음은 들음에서 나며, 들음은 그리스도의 말씀으로 말미암느니라”(롬10:17)고 했다. 그리고 메시지의 근거는 그리스도의 말씀이다.?) A.R.Tippett, 교회성장과 하나님의 말씀 , 장중열 역 (서울:보이스사,1980), PP.42ff
말씀을 선포하는 능력을 개발해야 한다. 능력이 바로 케리그마의 개발이다. 설교의 내용은 성경말씀이다. 성경의 내용은 예수 그리스도를 계시하고 있다.
목사는 말씀을 전하기 위하여 부름받은 존재이기 때문에, 상담도 심방도 대화도 말씀 중심이어야 한다. 말씀의 본질을 알고 전할 때에 능력이 나타난다. 설교의 능력은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할 때 나타난다. 설교는 아름다운 말이 아니라 성령의 나타남과 능력으로 외쳐야 한다. 그리고, 강해 설교도 해야 하는데, 그 장점과 단점을 고려하여 충분한 성경강론이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Ibid., PP.105-113
2) 교회교육
교회교육의 중심에는 언제나 예수가 그리스도이심을 가르치는 일이 있어야 한다. 기독교 교육은 사람들이 성경의 여러가르침을 진보된 지식의 빛과 그리스도에 의해서 주어진 빛안에서 올바르게 해석하도록 도움을 준다. 로저 L. 쉰, 교회와교육 , 이정기 역 (서울:보이스사,1979), P.63
먼저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삶의 동기와 목적을 어디에 두시고 사셨는지를 먼저 배우고 그대로 살면서 우리 학생들이 바로 그리스도를 따라 그 제자다운 삶의 동기와 목표를 갖도록 도와야하겠다.
3) 성경공부
신앙은 훈련되어 가야 한다. 신앙 훈련은 바로 성경공부의 효율적인 시행에 있다. 성경공부는 신앙 훈련으로서 기본이 되고 가장 조화있는 교회성숙을 도모할 수 있다고 본다. 이용호, 목회와 현장 (서울:교회교육연구원,1986),P.12
성경공부는 형태는 달라도 역사적으로 언제나 시행되어 왔다.
① 이스라엘의 쉐마(Shema) 훈련
이스라엘 민족들은 특유한 전승과 율법들을 통하여 훈련을 받았으며 그 훈련에서 이스라엘적 책임의 근원이 성립되기도 하였다. 또 그러한 훈련은 이미 이스라엘이라는 의식 없이는 들을수 없는 것들이다. J.마일덴버그,이스라엘의 길,김이곤 역 (서울:컨콜디아사,1979), P.46
② 유태인 공동체의 말씀운동
유태인 공동체의 교육은 형식을 갖춘 교육으로서 그 산물로서 회당이 생겨났고 그곳을 중심으로 하여 민족 공동체의 관심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박종순, 교회성장과 성경 연구 (서울:혜선출판사,1984),P.16
이렇게 율법의 엄격한 가르침으로 모인 유대공동체에는 세 기둥으로 상징되는 요소에 의하여 유지 되었으니 경전(canon)과 회당(synagogue)과 그리고 랍비(Rabis)들이다. W.피터스, 신구약중간사, 문희석 역 (서울:컨콜디아사,1982),P.17
③ 예수님의 성경 가르침
그의 가르침 사역이 60여회 나오는중에 30여회가 구약성경에 대한 해석이라고 본다.?) 김득룡, 기독교교육사 (서울:대한예수교장로회 출판부,1979), P.18
예수는 들에서,산에서,바닷가에서,집에서,회당에서,그리고 길거리에서 항상 가르치시는 사역에 몰두하신 흔적이 있다. 그는 선생으로서 자신의 계시자됨과 인격자됨을 가르치심으로써 단순한 선생 이상의 하늘로부터 온 선생임을 보여주셨다.
④ 사도행전에 나타난 성경공부
예루살렘 교회의 특징 중에서 가장 비중이 크게 나타나는 적은 사도들의 가르침이라 할 수 있다(행2:42). 그것은 사도들이 가르치는 성경의 교훈은 공동체의 기초가 되며 기도나 전도의 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베뢰아 사람들도 성경을 상고했으며(행17:11) 두란노서원의 성경공부는 형식을 갖춘 교육이었고(행19:9-10) 그러한 성경공부는 바울이 로마에 가서도 계속되는 사역이었다(행28:23-31).
여러 교회들의 성경공부는 진정한 성경공부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며 그 결과가 얼마나 교회 성장과 신앙 훈련에 결정적인가를 말해주고 있다.
⑤ 종교개혁시대의 말씀운동
“말씀에 의하여 세상은 정복되어 왔으며 말씀에 의하여 교회는 다시 정돈될 것이며 비 기독교인들은 힘없이 쓰러질 것이다”라고 루터는 말했다. 종교개혁시대에 성경공부에 공헌한 개혁자들은 많이 있다.
칼빈은 오직 성경 강해에 의한 설교,성경 전체에 대한 주석(일부제외),성경에 근거해서 조직화된 신학 등으로 이 일을 수행했다. 홍치모, 종교개혁사 (서울:성광문화사,1978), P.153
시대적으로 보면 17세기의 영국의 대부흥 운동이나 18세기의 미국의 대각성 운동도 성경 공부의 말씀 운동이라 할 수 있다.
⑥한국교회에 있어서의 성경공부
알렌은 한국교회 최초의 성경 공부는 1887년 봄 아펜셀러 선교사 집에서 배재학당 학생 한 사람과 젊은 관리 한 사람이 시작 했다고 하며 1888년 1월 이화학당에서 처음 주일학교를 시작하여 처녀 12명과 부인3명이 모여 공부를 했고 1892년 2월 스크랜튼 부인이 주일밤 성경공부를 했는데 평균 35명이나 되었다고 전한다. D.C.알렌. 한국 교회사 (서울:기독교문서선교회,1971), PP.98-101
성경공부는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 중심의 프로그램이 되어야 한다. 성경을 배우면 배울수록 교회의 성장과 교인들의 신앙 훈련에 참된 증거가 있어야 할 것이다.
4) 전도(선교)
프로그램 전도는 결신시키는 것이 목적이라면 능력전도는 제자화에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능력전도를 통해서 하나님을 만나게 된 사람은 동시에 제자화가 된다는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 전도는 조직을 강조한다. 이중표 외, 교회발전을 위한 목회개발 “ 능력전도와 교회성장 ” (서울:서울서적,1988), P.90
프로그렘 전도의 형태를 살펴보면 첫째로 십자군 전도를 들 수 있다. 이것은 대중전도 집회를 말한다.
화이트필드는 교회의 권위에 못이겨 들판으로
추천자료
교회에 적합한 교육목회
미국 교회의 음악목회 현실
미래 한국교회의 목회 토양과 그에 따른 대처방향
[독서보고]윌로우크릭 교회의 청소년사역
[서평]21세기 목회의 새로운 대안 가정교회가 교회를 살린다
[교회][신학][청년교육][교회공동체]교회와 신학 및 청년교육과 교회공동체(교회의 사명, 개...
[교회][교회갱신][교회교육][한국교회개혁][믿음]교회와 교회갱신, 교회교육, 한국교회개혁(...
목회자가 변해야 교회가 산다
현대 한국교회 목회의 문제점과 대안
교회의 장애인 복지목회
<교회 목회 윤리> 정원범 지음 쿰란출판사 서평
교육목회를 위한 교회의 교육구조 진단
조직신학- 성령론, 구원론, 교회론, 사역, 성례
목회자의 은퇴를 위한 교회 행정의 역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