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AI-2 ; 경쟁상태불안 검사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SAI-2 ; 경쟁상태불안 검사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수정한 평균 상관관계는 표집 오차가 상관관계에서 전체 변량의 64%를 점유하면서 -.54의 상관관계이다.
측정오차를 배제한 후 얻어진 인지적 상태불안과 자신감과의 평균 상관관계는 -.64이고 표준편차는 .10이다. 따라서 95%의 신뢰구간에서 상관관계는 -.84이다.
신체적 상태불안과 자신감의 관계에서 표집의 크기를 수정한 평균 상관관계는 표집오차가 상관관계에서 전체 변량의 75%를 점유하면서 -.51의 상관관계이다.
추정된 측정오차를 고려한 후 얻어진 신체적 상태불안과 자신감과의 평균 상관관계는 -.60이고 표준편차는 .03이다.
따라서 95%의 신뢰구간에서 상관관계는 -.54에서 -.66이다.
메타분석은 보다 정학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추정된 측정오차와 표집의 크기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통제한다. 이와 같은 메타분석은 시합전 상황에서 SAI-2의 요인들간에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모리스, 데이비스와 허칭스(1981)가 제시했듯이, 위협적으로 느끼는 시합전 상황 때문에 3개의 요인들이 모두 명백하게 올라가거나 또는 모르코벡(1976)이 주장한 것과 같이 시합전 상황에서 각성된 한가지 요인이 다른 요인들의 조건화된 반응에 자극을 줄지도 모른다.
시합직전에 CSA-2의 하위영역간의 상호관계
이론적인 독립에도 불구하고 CSAI-2하위영역은 경기전의 상황에서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합직전에 이러한 상관관계가 변화되는 가를 알아보는 추가 연구가 진행되었다.
구드(1984)박사는 시합전날 밤에 37명의 대학부 레슬링 선수들을 대상으로 연구실험을 한 결과 인지적 상태불안과 신체적 상태불안의 상관관계는 r= -.44; 인지적 상태불안과 자신감의 상관관계는 r= -.40; 신체적 상태불안과 자신감의 상관관계는 r= -.40라고 밝혔다. 또한 구드(1982)박사는 CSAI-2를 63명의 고등학교 배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시합 1주일전, 48시간전, 24시간전, 2시간전 그리고 20분전 등 5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가 나타난 바와 같이 상관관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타로리오티스와 질(1987)박사는 CSAI-2를 41개의 종목에 걸쳐서 기저선, 시합전, 시합중, 시합후의 반응을 측정하였다. 인지적 상태불안과 신체적 상태불안간의 유의성 있는 정적관계가 기저선(.50), 시합전(.41)이 나타났다. 경기후 인지적 상태불안과 신체적 상태불안간의 상관관계는 없으며, 상태불안 요인들과 자신감의 관계는 보고되지 않았다. 그러나 맥콜리(1985)박사는 7명의 대학부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18홀이 끝난 후 CSAI-2를 측정한 결과 경기후의 인지적 상태불안과 신체적 상태불안간의 상관관계는 .22이고 인지적 상태불안과 자신감의 상관관계는 -.54이며, 그리고 신체적 상태불안과 자신감과의 상관관계는 -.39라고 주장하였다.
CSAI-2의 상호관계에 관한 결론
전반적인 연구결과들이 CSAI-2 구성요소간의 상호관계는 모든 상황에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상관관계들은 시합직전에 각 구성요인들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는 못하고 있다.
CSAI-2의 구성요인들이 독립적이며 다른 선행연구에서 도출되었다는 것을 증명하려면 구성요인들의 변화패턴이 시합전, 후 수일에 걸쳐서 나타나야 한다.
CSAI-2 구성요인에 대한 일시적 변화
최초의 CSAI-2 타당성 연구에서 마틴(1982)은 CSAI-2의 구조적 타당도가 인지적 상태불안, 신체적 상태불안, 자신감이 다른 형태의 반응을 보여줌으로써 다차원적 불안측정 이라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두 개발적 연구를 통하여 마틴(1982)박사는 인지적 상태불안과 자신감은 경기 시작 전까지 크게 변화하지 않으며, 신체적 상태불안은 경기 시간이 다가옴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증명하였다.
구드(1984)박사는 마틴(1982)에 의해서 정립된 CSAI-2 구성요인의 변화패턴을 보다 구체화 시켰다. 구드(1984)박사는 CSAI-2룰 63명의 고등학교 배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시합전 1주일, 48시간, 24시간전과 20분 전에 실시하였다. 예상했던 대로 신체적 상태불안만이 경기 시간이 다가옴에 따라 증가하였고, 인지적 상태불안과 자신감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또한 구드(1984)박사는 선수들의 경험에 따라서 CSAI-2의 구성요인이 일시적으로 변화가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팬즈(1975)박사가 실시한 숙련된 낙하산 선수와 초보 낙하산 선수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구드(1984)박사는 경험이 없는 선수들을 경기 전에 신체적 상태불안이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경험이 많은 선수들은 역U형태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아직 이 가설을 뒷받침 해줄만한 구체적인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 부분은 앞으로의 연구과제에 있어서 중요한 영역의 차지할 것이다.
크레인과 월리암스(1987)에 의해서 실시된 연구는 CSAI-2의 구성요인 반응의 인지적 형태에 관한 개인내적 그리고 상황적 요인의 중대효과를 지지해 준다. 이 연구에서 고등학교 체조선수와 대학 골프선수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경기시작 24시간전, 2시간전, 그리고 10분전에 CSAI-2를 각각 측정하였다. 두 표집에서 CSAI-2의 구
성요인이 일시적으로 변화되는 차이를 보였다. 경기시간이 다가옴에 따라 골프선수는 인지적 상태불안이 감소하였으나, 체조선수들은 증가하였다. 신체적 상태불안의 경우 경기시작 24시간 전에는 3개의 표집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체조선수들은 시간이 가까워 옴에 따라 신체적 상태불안이 증가한 반면, 골프선수들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자신감에 있어서는 시합시간이 다가오면서 골프선수들은 자신감은 증가한 반면, 체조선수들은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발견은 크레인과 월리암스의 예측대로 자기 자신에 의해서 점수가 결정되는 종목의 선수가 타인에 의해서 점수가 채점
되는 종목의 선수보다 인지적 상태불안과 신체적 상태불안은 높고 자신감은 낮다는 것을 지지해 준다.
또 다른 해석은 고등학교 선수들이 대학 선수들 보다 불안은 높고 자신감은 낮다는 것이다. 또한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있는 다차원적 통계기법과 실험설계가 사용되지 않았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02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