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목차
I.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II. 예배신학의 관점에서 본 찬양
1. 예배
1) 예배의 어원
2) 예배의 본질
3) 예배의 주최
4) 예배의 목적
5) 예배의 방법
6) 예배의 구성요소
2.찬양
1) 찬양의 본질
2) 찬양의 주체
(1) 구약에서 사용된 하나님의 이름들
(2) 찬양해야 할 피조물
3) 찬양으로 사용된 용어들
(1) 구약에서 사용된 용어들
(2) 신약에서 사용된 용어들
4) 찬양의 방법론적 이해와 결과
(1) 수단과 방법
(2) 찬양을 드리는 올바른 자세
(3) 찬양해야 할 시간
(4) 찬양해야 할 장소
(5) 찬양의 결과
III. 예배의식으로서의 찬양
1. 예배 음악의 개념
2. 예배 음악의 성서적 이해
1) 구약 성서에 나타난 음악
2) 신약 성서에 나타난 음악
3. 예배 음악의 역사적 이해
1) 속사도 시대에서 중세 이전까지
2) 중세 시대
3) 르네상스에서 바로크까지
4) 바로크 시대에서 낭만주의까지
5) 근대 이후의 교회 음악
Ⅳ. 찬송의 목회 현장 적용을 위한 제안
1. 회중 찬송
1) 회중 찬송의 특징과 문제점
2) 회중 찬송의 예배의식 안에서 적용
(1) 회중 찬송을 잘 부르기 위한 제안
(2) 일반적인 찬송가의 빠르기를 결정하는 방법
(3) 회중 찬송의 분류와 분석을 위한 이해
2. 성가대
1) 성가대에 대한 성경적 근거
(1) 성가대의 기원
(2) 성가대의 임무와 역할
(3) 성가 대원이 갖추어야 할 조건
2) 성가대의 예배의식 안에서 적용
(1) 좋은 성가대로의 발전을 위한 제안
(2) 좋은 성가를 부르기 위한 준비
(3) 성가대를 위하여 교회가 해야 할 일
Ⅴ. 결론
참고문헌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II. 예배신학의 관점에서 본 찬양
1. 예배
1) 예배의 어원
2) 예배의 본질
3) 예배의 주최
4) 예배의 목적
5) 예배의 방법
6) 예배의 구성요소
2.찬양
1) 찬양의 본질
2) 찬양의 주체
(1) 구약에서 사용된 하나님의 이름들
(2) 찬양해야 할 피조물
3) 찬양으로 사용된 용어들
(1) 구약에서 사용된 용어들
(2) 신약에서 사용된 용어들
4) 찬양의 방법론적 이해와 결과
(1) 수단과 방법
(2) 찬양을 드리는 올바른 자세
(3) 찬양해야 할 시간
(4) 찬양해야 할 장소
(5) 찬양의 결과
III. 예배의식으로서의 찬양
1. 예배 음악의 개념
2. 예배 음악의 성서적 이해
1) 구약 성서에 나타난 음악
2) 신약 성서에 나타난 음악
3. 예배 음악의 역사적 이해
1) 속사도 시대에서 중세 이전까지
2) 중세 시대
3) 르네상스에서 바로크까지
4) 바로크 시대에서 낭만주의까지
5) 근대 이후의 교회 음악
Ⅳ. 찬송의 목회 현장 적용을 위한 제안
1. 회중 찬송
1) 회중 찬송의 특징과 문제점
2) 회중 찬송의 예배의식 안에서 적용
(1) 회중 찬송을 잘 부르기 위한 제안
(2) 일반적인 찬송가의 빠르기를 결정하는 방법
(3) 회중 찬송의 분류와 분석을 위한 이해
2. 성가대
1) 성가대에 대한 성경적 근거
(1) 성가대의 기원
(2) 성가대의 임무와 역할
(3) 성가 대원이 갖추어야 할 조건
2) 성가대의 예배의식 안에서 적용
(1) 좋은 성가대로의 발전을 위한 제안
(2) 좋은 성가를 부르기 위한 준비
(3) 성가대를 위하여 교회가 해야 할 일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에게만 국한시킨 말씀들은 아닐 것이다. 물론 그러한 특별한 예배 의식도 관련돼 있기는 하지만 그 보다도 오히려 매일 매일 신자들이 살아가는 삶의 현장에 있어서 우리가 어떻게 해야 될 것인가를 먼저 보여주는 말씀이다.
3. 예배 음악의 역사적 이해
1) 속사도 시대에서 중세 이전까지 (A.D.100~400)
이 시기는 기독교가 세계를 향하여 뻗어 나갔는데, 이러한 확장은 히브리 문화와 , 로마문화, 그리고 여러 이방 민족의 문화가 혼합되어지는 현상을 나타냈다. 이 시기의 음악들은 물론 단음으로 된 멜로디를 가지고 있었으며, 다만 그리스 음악이 체계적인 이론을 발전시켜 현대의 음악 이론의 기초를 만들어 냈지만, 역시 단음 선율이었다. 그리스 음악은 시적인 요구로부터 일어나는 언어를 리듬적인 형태로 맞추어 성경적으로 그리고 예술적으로 불렀다는 점에서는 히브리 음악과 비슷했지만 기보법과 음계, 그리고 선법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에서 달랐는데 이 점이 초기 기독교 음악에 많은 영향을 준 점이다.
그러나 초기의 200년 동안은 기독교 음악의 체계가 잡히지 않아서 각 지역에 따라 짙은 지방색을 띠고 있었다. 3세기에 이르러 많은 이교도들이 기독교로 개종했으며 이들의 기독교 음악을 잘 정립해서 이교도의 나뿐 영향이 미치지 못하게 했다. 더욱이 콘스탄틴 대제의 후원이 확립되면서 예배 음악은 잘 다듬어지고 정비되어서 널리 교회로 보급되었다.
그러나 콘스탄틴 이전까지는 회당 음악의 형태가 전승되었으며 악기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회당음악의 전통이었으며 또한 박해를 받고 있던 교인들로서는 악기를 사용한다는 것이 상당히 부담스러운 일이었기 때문이라 믿어진다.
이 시기의 주목할 만한 교회 음악가는 밀나노의 성 암브로시우스(St. Ambrosius, 340-397)인데, 그는 성가의 완성을 꾀하여 4선법을 만들게 되었다. 이것이 훗날 그레고리우스(Gregorius, 540-604)의 8교회 선법(Church Mode)의 기초가 되었다. 유세비우스는 이 기간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였다.\"성령이 임하심으로 모든 성도가 한마음, 한 마음으로 하나님을 찬양하였다. 성직자는 예배를 훌륭하게 인도했으며 의식은 경건하고 엄숙하게 행하여졌고 교회의 엄숙한 제도는 중시되었다.
시편이 노래되고 성가가 낭독되며 거룩한 예배와 더불어 그리스도의 수난을 기념하는 식도 환해졌다. 모든 남녀 노소가 한 마음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감사와 기쁨의 기도를 드렸다. 모든 주교들도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회중들과 함께 하나님을 찬미했다.\" 암브로시우스에게서 세례를 받았으며 그의 음악에 대해서 잘 알고 있던 어거스틴은 그 음악의 리듬적 구조에 대해서 암시를 주고 있다.
그에 의하면 아이암빅(iambic) 운율이란 것은 4분의 3박자에서 4분음표와 2분음표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한다. 이 시기의 모든 노래들은 악기의 반주가 없이 제창이나 독창으로 불려졌다. 이러한 암부르시우스의 찬송은 전 유럽으로 퍼졌으며 후에 교회의 작곡가들은 \"멜리스마\"라고 하는 하늘 장식을 사용하여 그의 음악을 아름답게 만들었지만 최근에는 암브로시우스 본래의 선율을 は아 내기 위하여 장식적인 성격의 모든 음을 없애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2) 중세 시대 (A.D. 400 - 1400)
암브로시우스 이후 교회 음악의 형식과 창법은 다시금 혼란을 일으켜 6세기말에는 한심한 상태에까지 도달하게 되었다. 이 사실을 똑바로 보고 음악이 예배에 빠뜨릴 수 없는 요소임을 인식하여 개혁에 착수한 사람이 그레고리우스 1세였다. 그는 각 지방 교회의 성가를 정비하고 곡을 선정하여 \"그레고리안 성가\"로 통일시켰다.
이 과정에서 암브로시우스가 사용했던 4개의 선법에 다시 4개를 더하여 8선법을 탄생시켰다.
그레고리안 성가가 정리된 후 서방 교회에서는 공식적인 예배 음악으로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 성가는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었다. 즉 단순한 것과 복잡한 것이 있었는데 단순한 것은 성경 구절의 낭독에 사용되었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음으로 노래하는 것이다. 복잡한 것은 그 길이와 음의 영역 및 정교함이 무척 멋지고 , 우아하며, 미사(Mass)중 음악적으로 중요한 부분인 \"키리에\"(Kyrie), \"글로리아\"(Gloria), \"상투스\"(Sanctus), \"아뉴스데이\"(Agnus Dei)에 사용되었다.
미사 (Mass)는 고유문화 통상 문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표1), 고유문은 교회력의 계절과 특수한 행사에 따라 내용이 변하기 때문에 작곡가들이 임의로 작곡할 수 없었다. 통상문은 고유문과 달리 미사를 드릴 때마다 언제나 같기 때문에 미사곡으로 작곡된 것은 통상문 뿐이다. 그 종류로는 키리에, 글로리아, 크레도(Credo), 상투스, 베네딕투스, 아뉴스데이 등이 있다.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 및 각 지방의 교회 음악들이 집대성 된
로마 교회에는 세 종류의 음악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① 제창 성가 (Unison Chant) ; 로마 멸망 이후부터 1100년경까지 로마 교회의 유일한 음악이었다.
② 무반주 합창 음악 ; 11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하여 16세기에 절정을 이루었다.
③ 독창과 합창의 혼합 ; 16세기 이후에 발생한 것으로 악기가 반주를 맡았다.
일반적으로 단성 성가(Plainsong)라고 불려지는 제창 성가는 오늘날까지도 이상적인 교회 음악의 모형을 제시해 준다. 중세의 음악은 본문과 의식 ,또는 예배의 목적에 얽매어서 자유스럽지는 못했지만 높은 예술성을 나타낸다.
대개 단성 성가에는 단순한 것과 화려한 것 두 가지가 있다.
전자는 음 하나(간혹 드물게 두 개)에 한 음절의 가사를 붙이는 것이고, 후자(혹은 멜리스마틱)는 예배에서 불려질 본문가사의 근엄성과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그레고리안 단성 성가는 예배와 아무런 영광이나 뜻도 없이 쓰여진 일은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음악 구조는 10세기에서 11세기까지의 기간에 나타난 새로운 형식에 밀려나기 시작했다. 10세기의 사본은 가수가 제창으로 부르지 않고 4도, 5도 혹은 옥타브로 병행되는 선율을 노래한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기에 등장한 것이 시
3. 예배 음악의 역사적 이해
1) 속사도 시대에서 중세 이전까지 (A.D.100~400)
이 시기는 기독교가 세계를 향하여 뻗어 나갔는데, 이러한 확장은 히브리 문화와 , 로마문화, 그리고 여러 이방 민족의 문화가 혼합되어지는 현상을 나타냈다. 이 시기의 음악들은 물론 단음으로 된 멜로디를 가지고 있었으며, 다만 그리스 음악이 체계적인 이론을 발전시켜 현대의 음악 이론의 기초를 만들어 냈지만, 역시 단음 선율이었다. 그리스 음악은 시적인 요구로부터 일어나는 언어를 리듬적인 형태로 맞추어 성경적으로 그리고 예술적으로 불렀다는 점에서는 히브리 음악과 비슷했지만 기보법과 음계, 그리고 선법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에서 달랐는데 이 점이 초기 기독교 음악에 많은 영향을 준 점이다.
그러나 초기의 200년 동안은 기독교 음악의 체계가 잡히지 않아서 각 지역에 따라 짙은 지방색을 띠고 있었다. 3세기에 이르러 많은 이교도들이 기독교로 개종했으며 이들의 기독교 음악을 잘 정립해서 이교도의 나뿐 영향이 미치지 못하게 했다. 더욱이 콘스탄틴 대제의 후원이 확립되면서 예배 음악은 잘 다듬어지고 정비되어서 널리 교회로 보급되었다.
그러나 콘스탄틴 이전까지는 회당 음악의 형태가 전승되었으며 악기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회당음악의 전통이었으며 또한 박해를 받고 있던 교인들로서는 악기를 사용한다는 것이 상당히 부담스러운 일이었기 때문이라 믿어진다.
이 시기의 주목할 만한 교회 음악가는 밀나노의 성 암브로시우스(St. Ambrosius, 340-397)인데, 그는 성가의 완성을 꾀하여 4선법을 만들게 되었다. 이것이 훗날 그레고리우스(Gregorius, 540-604)의 8교회 선법(Church Mode)의 기초가 되었다. 유세비우스는 이 기간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였다.\"성령이 임하심으로 모든 성도가 한마음, 한 마음으로 하나님을 찬양하였다. 성직자는 예배를 훌륭하게 인도했으며 의식은 경건하고 엄숙하게 행하여졌고 교회의 엄숙한 제도는 중시되었다.
시편이 노래되고 성가가 낭독되며 거룩한 예배와 더불어 그리스도의 수난을 기념하는 식도 환해졌다. 모든 남녀 노소가 한 마음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감사와 기쁨의 기도를 드렸다. 모든 주교들도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회중들과 함께 하나님을 찬미했다.\" 암브로시우스에게서 세례를 받았으며 그의 음악에 대해서 잘 알고 있던 어거스틴은 그 음악의 리듬적 구조에 대해서 암시를 주고 있다.
그에 의하면 아이암빅(iambic) 운율이란 것은 4분의 3박자에서 4분음표와 2분음표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한다. 이 시기의 모든 노래들은 악기의 반주가 없이 제창이나 독창으로 불려졌다. 이러한 암부르시우스의 찬송은 전 유럽으로 퍼졌으며 후에 교회의 작곡가들은 \"멜리스마\"라고 하는 하늘 장식을 사용하여 그의 음악을 아름답게 만들었지만 최근에는 암브로시우스 본래의 선율을 は아 내기 위하여 장식적인 성격의 모든 음을 없애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2) 중세 시대 (A.D. 400 - 1400)
암브로시우스 이후 교회 음악의 형식과 창법은 다시금 혼란을 일으켜 6세기말에는 한심한 상태에까지 도달하게 되었다. 이 사실을 똑바로 보고 음악이 예배에 빠뜨릴 수 없는 요소임을 인식하여 개혁에 착수한 사람이 그레고리우스 1세였다. 그는 각 지방 교회의 성가를 정비하고 곡을 선정하여 \"그레고리안 성가\"로 통일시켰다.
이 과정에서 암브로시우스가 사용했던 4개의 선법에 다시 4개를 더하여 8선법을 탄생시켰다.
그레고리안 성가가 정리된 후 서방 교회에서는 공식적인 예배 음악으로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 성가는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었다. 즉 단순한 것과 복잡한 것이 있었는데 단순한 것은 성경 구절의 낭독에 사용되었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음으로 노래하는 것이다. 복잡한 것은 그 길이와 음의 영역 및 정교함이 무척 멋지고 , 우아하며, 미사(Mass)중 음악적으로 중요한 부분인 \"키리에\"(Kyrie), \"글로리아\"(Gloria), \"상투스\"(Sanctus), \"아뉴스데이\"(Agnus Dei)에 사용되었다.
미사 (Mass)는 고유문화 통상 문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표1), 고유문은 교회력의 계절과 특수한 행사에 따라 내용이 변하기 때문에 작곡가들이 임의로 작곡할 수 없었다. 통상문은 고유문과 달리 미사를 드릴 때마다 언제나 같기 때문에 미사곡으로 작곡된 것은 통상문 뿐이다. 그 종류로는 키리에, 글로리아, 크레도(Credo), 상투스, 베네딕투스, 아뉴스데이 등이 있다.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 및 각 지방의 교회 음악들이 집대성 된
로마 교회에는 세 종류의 음악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① 제창 성가 (Unison Chant) ; 로마 멸망 이후부터 1100년경까지 로마 교회의 유일한 음악이었다.
② 무반주 합창 음악 ; 11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하여 16세기에 절정을 이루었다.
③ 독창과 합창의 혼합 ; 16세기 이후에 발생한 것으로 악기가 반주를 맡았다.
일반적으로 단성 성가(Plainsong)라고 불려지는 제창 성가는 오늘날까지도 이상적인 교회 음악의 모형을 제시해 준다. 중세의 음악은 본문과 의식 ,또는 예배의 목적에 얽매어서 자유스럽지는 못했지만 높은 예술성을 나타낸다.
대개 단성 성가에는 단순한 것과 화려한 것 두 가지가 있다.
전자는 음 하나(간혹 드물게 두 개)에 한 음절의 가사를 붙이는 것이고, 후자(혹은 멜리스마틱)는 예배에서 불려질 본문가사의 근엄성과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그레고리안 단성 성가는 예배와 아무런 영광이나 뜻도 없이 쓰여진 일은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음악 구조는 10세기에서 11세기까지의 기간에 나타난 새로운 형식에 밀려나기 시작했다. 10세기의 사본은 가수가 제창으로 부르지 않고 4도, 5도 혹은 옥타브로 병행되는 선율을 노래한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기에 등장한 것이 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