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피디아에 대한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키피디아에 대한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위키피디아(Wikipedia)
2. 위키피디아
3. 세계 최대 지식창고… 위키피디아의 위력
4. <IT타임머신>위키피디아의 탄생
1) 브리태니커와 MS를 무너뜨리다
2) 집단지성 앞에 무너진 236년 권위
3) 익명성 보장과 신뢰성 사이에서
4) 위키노믹스의 화려한 등장

본문내용

. 위키피디아는 개념과 형성과정에서 5세기까지 고대 최고 최대의 도서관이었던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 비유된다.
알렉산드리아의 프톨레미 3세는 도시방문객 누구에게나 언어나 분야에 상관없이 책을 한권씩 들고 들어와야 입성을 허락해 인류최대의 지식보고를 만들도록 했다. 그는 이 책들을 복사해 새 책을 만들어 도서관에 소장케 하고 원본은 돌려주는 지식 공유 방식을 택했다고 한다.
특히 오늘날 기업인들에게는 이같은 대중의 힘, 또는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지혜의 창고가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상황이 아닌가.
캐나다의 돈 탭스콧은 위키피디아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인터넷 협업이 이른 바 ‘위키노믹스(Wiki+Economics)\'로 불리는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을 들고 나왔다.
그는 새 금맥을 찾지 못해 도산직전이던 한 금광회사가 경품행사를 내걸고 전세계 사람들의 금맥찾기 아이디어를 수집해 회사를 살린 사례를 위키노믹스의 대표사례로 꼽는다.
그는 위키노믹스를 \"사공 많은 배는 산으로 가는 게 아니라 목적지에 더 빨리 도착한다\"는 말로 요약한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기본적으로 폐쇄성이 강한 금광업계에서 과감히 열린 마음으로 정보를 공개,공유하고 참여를 유도해 성공으로 이끈 사고의 전환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연간 200만달러에 이르는 운영비 부족으로 고민하던 지미 웨일스는 네티즌의 참여를 호소해 목표액보다 많은 620만달러를 모금했고 지속적인 지식공유 작업을 이어갈 수 있게 됐다.
이 시대의 대표적 문화코드로 등장한 위키피디아에는 2009년 11월말 현재 1300만 항목의 자료가 수록돼 있고 그 가치는 약 30억달러 정도로 평가받고 있다.
1966년 미국 앨러배마주 헌츠빌에서 태어났다. 앨러배마대학에서 금융공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인디애나대학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박사논문을 쓰지 않고 학교를 나온 웨일스는 시카고에서 선물·옵션 관련 금융분야에서 일하면서 큰 돈을 벌었다. 96년에 인터넷 포털 회사 보미스를 설립했다. 이 회사가 개발한 검색엔진은 특히 성인용 콘텐트 검색기술이 뛰어나 남성들 사이에 큰 인기를 끌었다.
2000년에 래리 생거를 편집장으로 영입해 무료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의 전신인 ‘누피디아’(Nupedia) 프로젝트를 출범시켰다. 누피디아는 소수의 전문가들이 제작하는 구조였는데,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 1년 뒤 일반인이 자유롭게 참여하는 위키피디아 체제로 전환, 세계 최대의 무료 온라인 백과사전 사이트로 키웠다.
웨일스는 “교육과 학습은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라며 위키피디아를 운영하는 데 개인 재산 30만달러 이상을 기부했다. 현재 위키피디아는 웨일스가 설립한 비영리재단 위키미디어재단이 관리한다. 웨일스는 구글·야후를 뛰어넘는 검색엔진을 만들겠다는 목표로 ‘위키아’(Wikia)라는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 프톨레미3세는 알렉산드리아를 방문하기 위해 반드시 책을 가져오도록 했다. 그는 책을 베낀 후 원주인에게 돌려주었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08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