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본문내용
하기 때문에 그 문제의 원인과 성격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사회문제에 대한 분류는 어떤 기준으로 문제를 분류하는지가 불분명한 경우가 많다(최일섭 최성재, 1996: 39). 여기에서 사회문제론의 교과서에 소개된 몇 가지 분류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핸슬린(Henslin, 1990: iii~vii)의 분류
사회적 상황에서의 일탈행동: 성적 일탈행위, 알콜 및 약물중독, 강간, 살인, 범죄 등
사회적 불평등: 부와 빈곤, 인종차별, 성차별, 신체 및 정신건강 등
사회변화와 거대문제: 가족변화, 도시문제, 인구 및 식량문제, 환경문제, 전쟁, 테러리즘 등
머튼과 니스벳(Merton & Nisbet, 1971: 818~838)의 분류
사회해체 문제: 인구문제, 인종문제, 가족해체, 노동과 자동화 문제, 빈곤문제, 지역사회해
체 및 갈등, 폭력 등
일탈행위 문제: 정신장애, 범죄 및 청소년비행, 약물중독, 알콜중독, 자살, 성문제 등
김영모(김영모 편, 1982)의 분류
구조적 문제: 빈곤, 소득배분, 노동문제, 교육불평등
해체적 문제: 가족해체, 빈민지역, 인구문제, 환경문제
탈선적 문제: 범죄, 소년비행, 매춘, 자살, 알콜중독, 정신질환
최성재(최일섭 최성재, 1996: 40)의 분류
사회변동 또는 사회해체 문제: 가족문제, 환경문제, 노인문제
사회적 불평등 문제: 빈곤문제, 성차별문제, 노사문제
사회적 일탈 문제: 청소년비행문제, 범죄문제, 성폭력문제, 약물중독문제, 정신건강문제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회문제는 학자마다 그 분류가 다르지만, 대체로 비행이나 범죄와 같은 탈선(일탈), 환경오염과 노령화와 같은 사회해체, 그리고 빈곤이나 성차별과 같은 불평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홈페이지 www.kic.re.kr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보면 특정한 사회문제가 각기 다른 항목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예컨대, 빈곤문제를 김영모는 구조적 문제(불평등)로, 핸슬리도 사회적 불평등으로 보았지만, 머튼과 니스벳은 사회해체문제로 인식했다. 각 학자들의 분류가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빈곤의 원인과 양태를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서 이를 범주화시키는 것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빈곤을 당사자의 게으름 때문이라고 보면 일탈행위가 되고, 연령이나 성별에 따른 임금차별로 빈곤해진다고 보면 불평등이 되며, 가족해체로 인하여 아동과 노인 등 노동능력이 낮은 사람이 방치되어 빈곤해진다고 보면 해체문제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분류는 특정한 사회문제가 어떤 특성이 더 강하냐의 문제이고, 특정 문제는 반드시 일탈, 불평등, 해체 문제 중 어느 하나에 속한다고 말할 수 없다. 오히려 사회복지사가 사회문제에 직면해서 사회복지를 실천할 때에는 특정 문제를 고정된 틀이 아닌 열린 시각에서 보려고 노력해야 한다.
한편, 욕구의 개념은 사회문제의 해석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사회문제를 욕구의 시각에서 재해석하면, 탈선은 욕구의 불충족상태에서 비롯된 행위이고, 해체는 기존의 욕구 충족 기제가 해체된 것이며, 불평등은 욕구의 구조적 불충족상태라고 할 수 있다(이용교, 1986: 6).
사회문제: 사회문제는 어떤 사회적 현상이 사회적 가치(또는 규범)에서 벗어나고, 상당수의 사람들이 그 현상으로 인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그 원인이 사회적인 것이며, 다수의 사람들이나 영향력 있는 일부의 사람들이 문제로 판단하고 있고, 사회가 그 개선을 원하여, 집단적 사회적 행동이 요청되는 것이다. 사회문제에는 비행이나 범죄 같은 탈선(일탈), 환경오염과 노령화 같은 사회해체, 그리고 빈곤이나 성차별 같은 불평등 등이 있다.
핸슬린(Henslin, 1990: iii~vii)의 분류
사회적 상황에서의 일탈행동: 성적 일탈행위, 알콜 및 약물중독, 강간, 살인, 범죄 등
사회적 불평등: 부와 빈곤, 인종차별, 성차별, 신체 및 정신건강 등
사회변화와 거대문제: 가족변화, 도시문제, 인구 및 식량문제, 환경문제, 전쟁, 테러리즘 등
머튼과 니스벳(Merton & Nisbet, 1971: 818~838)의 분류
사회해체 문제: 인구문제, 인종문제, 가족해체, 노동과 자동화 문제, 빈곤문제, 지역사회해
체 및 갈등, 폭력 등
일탈행위 문제: 정신장애, 범죄 및 청소년비행, 약물중독, 알콜중독, 자살, 성문제 등
김영모(김영모 편, 1982)의 분류
구조적 문제: 빈곤, 소득배분, 노동문제, 교육불평등
해체적 문제: 가족해체, 빈민지역, 인구문제, 환경문제
탈선적 문제: 범죄, 소년비행, 매춘, 자살, 알콜중독, 정신질환
최성재(최일섭 최성재, 1996: 40)의 분류
사회변동 또는 사회해체 문제: 가족문제, 환경문제, 노인문제
사회적 불평등 문제: 빈곤문제, 성차별문제, 노사문제
사회적 일탈 문제: 청소년비행문제, 범죄문제, 성폭력문제, 약물중독문제, 정신건강문제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회문제는 학자마다 그 분류가 다르지만, 대체로 비행이나 범죄와 같은 탈선(일탈), 환경오염과 노령화와 같은 사회해체, 그리고 빈곤이나 성차별과 같은 불평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홈페이지 www.kic.re.kr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보면 특정한 사회문제가 각기 다른 항목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예컨대, 빈곤문제를 김영모는 구조적 문제(불평등)로, 핸슬리도 사회적 불평등으로 보았지만, 머튼과 니스벳은 사회해체문제로 인식했다. 각 학자들의 분류가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빈곤의 원인과 양태를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서 이를 범주화시키는 것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빈곤을 당사자의 게으름 때문이라고 보면 일탈행위가 되고, 연령이나 성별에 따른 임금차별로 빈곤해진다고 보면 불평등이 되며, 가족해체로 인하여 아동과 노인 등 노동능력이 낮은 사람이 방치되어 빈곤해진다고 보면 해체문제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분류는 특정한 사회문제가 어떤 특성이 더 강하냐의 문제이고, 특정 문제는 반드시 일탈, 불평등, 해체 문제 중 어느 하나에 속한다고 말할 수 없다. 오히려 사회복지사가 사회문제에 직면해서 사회복지를 실천할 때에는 특정 문제를 고정된 틀이 아닌 열린 시각에서 보려고 노력해야 한다.
한편, 욕구의 개념은 사회문제의 해석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사회문제를 욕구의 시각에서 재해석하면, 탈선은 욕구의 불충족상태에서 비롯된 행위이고, 해체는 기존의 욕구 충족 기제가 해체된 것이며, 불평등은 욕구의 구조적 불충족상태라고 할 수 있다(이용교, 1986: 6).
사회문제: 사회문제는 어떤 사회적 현상이 사회적 가치(또는 규범)에서 벗어나고, 상당수의 사람들이 그 현상으로 인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그 원인이 사회적인 것이며, 다수의 사람들이나 영향력 있는 일부의 사람들이 문제로 판단하고 있고, 사회가 그 개선을 원하여, 집단적 사회적 행동이 요청되는 것이다. 사회문제에는 비행이나 범죄 같은 탈선(일탈), 환경오염과 노령화 같은 사회해체, 그리고 빈곤이나 성차별 같은 불평등 등이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사회문제론) 범죄문제와 사회복지
[사회복지와 사회문제]국내외 사례를 통해 알아 본 성폭력 문제 연구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장애인 문제
사회문제론 장애인문제와 사회복지
(사회문제론) 취약계층의 여성, 여성문제와 사회복지 대책 보고서
재개발에 따른 사회문제와 사회복지사로서 지역복지를 실천한다는 입장에서 해결방안을 제시...
강인-지역사회복지론-지역사회문제 및 해결방안
내가 거주하는 지역사회문제 중 가장 시급한 문제를 제시하고 로스만의 실천모델을 적용하여 ...
[사회문제론] 소비자문제와 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방안 (지역사회복지문제 해결)
사회문제와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_청소년_흡연음주,청소년문제,사회문제
사회복지실천기술론_사회문제 사례 발췌 및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입방법 기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