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극(farce)의 특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극(farce)의 특징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로네(Pantalone)는 10세기의 비네티안(venetian) 상인의 의복에서, 도토레(Dottore)는 브로그나(Bologna)지방의 대학의 졸업생들의 학사복에서 비롯되었고 19세기의 이후에는 새로운 신흥 계층으로 등장한 중산계급(Boiugeois)의 의복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지는 등 사회적 진실과의 연관 속에서 고안되었다.
소극이 의상과 소품은 연극적 약속의 기능으로 활용됨으로써 또 다른 하나의 부차적인 기능을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그것은 다름아닌 연극적 약속에 의한 '희극적 간극(comic gap)'의 창조이다.
희극적 간극이란 등장인물의 성격적 속성-나이, 신분 직업, 지위 등등의-에 의해 동기가 부여된 사회의 규준에 적합하게 관객들이 기대하는 등장인물의 행동과 실제로 등장인물이 소극의 상황에서 보여주고 있는 행동들-예를 들면 팬티가 흘러내린다든지, 미끄러 넘어지는 등-의 불일치를 의미한다.(Ibid, p.162)
이러한 불일치는 언제나 소극의 상황에 존재한다. 언제나 등장인물들은 항상 인물유형의 성격적 속성의 정체성과 관객의 기대감에 어긋나는 신체적 행동들을 하도록 결정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의상과 소품들은 너무 크거나 너무 작거나 너무 몸에 꽉조이게 하는 등의 방식으로 배우들의 신체와 부조화하게 의도적으로 과장되었다. 그 결과로 의상과 소품은 장치의 기능과 마찬가지로 언제나 의상과 소품 그리고 인물의 태도 사이에는 즉, 의상이 허용하는 신체적인 동작과 인물이 원하고 있는 신체적 행동 사이에는 긴장과 충돌이 존재하였고 이로부터 다양한 신체적인 동작들이 풍부하게 만들어졌던 것이다.
이와같이 소극의 의상과 소품들은 연극적 약속과 희극적 간극의 기능을 지니고 다양한 신체동작들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활용됨으로써 소극의 본질적인 기능과 의미를 효율적으로 강화시켜주고 있었으며 특히 소극의 연기양식상의 특성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장치로서 그 기능을 다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들이 실제로 작품 속에 적용되어진 실례를 들면 다음과 같다.
상의의 깃은 너무 높고 조여서 배우들이 문 안팎으로 쫓고 쫓기는 추정을 방해한다. 바지는 폭이 너무 좁아 몸에 꽉 끼이도록 되어 있어 인물들이 창문을 넘어 드는 것을 방해한다. 모자와 타이들은 배우들의 신체동작으로 쉽게 벗겨지기 시작한다. 구두와 양말들은 쉽게 벗겨져 잃어버리기 십상이며, 짝을 뒤집어 신기도 한다. 바지는 앞·뒤가 바뀌어 거구로 착용한다. 구두끈은 서로 엉켜 배우들은 걸려 넘어지게 한다. 큰머리에 작은모자 등의-의상과 소품의 불일치로 만들어지는 거의 모든 종류의 불균형을 지닌 신체적 동작을 망라한다.
5) 템포의 가속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소극은 본질적으로 꿈과 환타지아, 그리고 동화와 만화같은 초현실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는 연극적인 형식으로 비개연적이고 비논리적인 인물과 상황으로 가득 채워져있다.
이 때문에 소극의 형식적은 그리고 공연양식적인 특성들은 소극의 본질적인 속성들에 그 나름의 개연성과 논리성을 부여해 주기 위한 연극적 장치로서의 기능을 지니고 형성되어졌다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극의 템코 역시 예외는 아니어서 소극의 본질적인 속성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꿈처럼 소극은 이미지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지속적으로 이동하며, 하나에서 또 다른 이미지로 급속도로 빠르게 움직인다. 처음에 하나의 이미지가 나타나면 그때 초점은 빠르게 다른곳으로 이동한다.(Ibid, p.122)
소극은 꿈과 환타지의 속도처럼 빠른 템포의 가속화를 요구한다. 이것은 소극의 공연양식상의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필요성에 의해서도 만들어진다. 왜냐하면 템포의 가속화는 소극의 비개연적인 상황과 인물들의 극적 행동으로부터 정서적 거리감을 조성해주어 이미지의 연속처럼 간결하고 단편적인 장면들의 병렬 구조 속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에 그 자체의 일관성을 부여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거리감의 개념은 관객들로 하여금 소극의 효과를 수용하게 만드는 데 대단히 중요하다. 거리감은 상황의 비개연성과 반응의 과장성에 주어진다. 그래서 관객들은 두 가지 단계로 반응한다. 먼저 무대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건들을 진실로서 받아들인다. 그리고 관객들은 실제의 현실에서는 그러한 사건들이 벌어질 것이라는 사실을 믿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관객들은 소극의 폭력성을 주저없이 즐기게 된다.(Ibid, p.172)
즉 템포의 가속화는 소극의 비개연적인 상황과 인물들에게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의문을 제기할 시간적 여유를 허용해 주고 있지 않아서 정서적 거리감을 조성하게 되고 이것은 다른 공연양식적 특성과 함께 소극의 본질적 기능과 의미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템포 가속화는 소극의 형식적, 양식적 요소들의 총체적인 기술적 운용으로부터 만들어진다고 볼 수 있는데 특히 배우의 신체동작의 기계적 정밀성을 지닌 기술적 운영에 상담부분을 의존하여 구축되어진다. 왜냐하면 템포의 가속화는 상당한 신체적인 혼란스러움을 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체적인 혼란스러움은 언제나 적절한 희극적 효과를 산출하기 위해서 최적의 조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제로 소극의 상황은 때로는 문 안팎과 가구 주변을 빈번하게 움직이며 때로는 때리기와 충돌같은 신체적 접촉 등과 같은 신체적 동작들이 동시에 뒤섞여서 활발하게 지속되고 있으며 템포의 가속화로 인해서 혼란스러움은 더욱 가중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신체적인 혼란 속에서 배우들이 대사와 대사간의, 대사와 동작간의, 동작과 대사간의, 심지어 휴지(pause)를 포함하여 적절하고 정확한 타이밍으로서 주고받는 시계의 태엽장치와 같은 기계적 정밀성을 지닌 신체동작의 기술은 템포의 가속화와 유지를 위해서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배우들은 신체적인 혼란 속에서 신체적인 균형과 상호간의 앙상블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상당 부분을 배우의 신체동작의 기술적 운영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템포의 가속화는 소극에 내재되어 있는 본질적인 속성으로부터 비롯된 공연양식적 특성으로서 소극을 여타의 다른 드라마의 장르와 구별지어 주는 독특한 연극적 장치인 것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37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