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념
2. 등장배경
3. 필요성
4. 사례관리의 주요내용
참고문헌
2. 등장배경
3. 필요성
4. 사례관리의 주요내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금이나 물자 또는 개인이나 집단의 지식 과 기능 등을 총칭하는 것.
2) 사회자원 동원의 필요성
(1) 사회복지의 방향전환 - 지역사회복지로의 전환에 따라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모든 자원을 동원해야 함.
(2) 클라이언트의 자율적인 사회자원 선택 가능
- 다양화, 복합화, 고도화된 욕구에 따른 자원의 종류 확대 및 양적질적 향상과 서비스 공급주체의 다원화 필요.
(3) 장기보호가 필요한 노인과 만성장애인의 증가
- 지역사회 내에서의 적절한 보호를 위해 비공식지원체계와 공식지원체계를 동원하여 그들과 연결시켜야 함.
3) 사회자원의 종류와 특성
(1) 자원의 본질원천유용성에 따른 분류
① 개인집단의 내적 자원과 외적 자원
내적 자원 - 지식, 정보, 기술, 신뢰성, 건강 등, 외적 자원 - 재산, 친구, 직장 등
② 공식적 자원과 비공식적 자원
공식적 자원 - 학교, 병원, 사회복지기관 등, 비공식적 자원 - 친척, 이웃, 동료 등
③ 실제적 자원과 잠재적 자원
실제적 자원 : 클라이언트 욕구 충족과 기능 향상을 위해 현재 활용하고 있는 자원.
잠재적 자원 : 현재 활용하고 있지 않지만 장래에 활용할 가치가 있는 자원.
(2) 체계론적 관점에서의 분류
① 비공식자원체계
정서적 지지, 충고, 정보 제공, 보육, 서비스 안내, 행정업무 대행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ex) 가족, 친구, 친척, 이웃, 동료 자원봉사자 등
② 공식자원체계
회원들의 이익을 위해 조직된 단체나 회원조직으로서 회원들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다른 사회체계와 교섭하도록 돕는 것. ex) 노동조합, 사회복지사, 의사협회, 소비자 보호협회 등
③ 사회자원체계
국민이나 지역주민이 공동 활용하는 국가민간기관. ex) 학교, 병원, 공공도서관, 동사무소, 회사, 사회복지관 등
4) 사회자원의 개발과 확보
- 사례관리과정에서 사례관리자의 주요관심사이며,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회 자원 개발, 확보, 연결, 조정하는 역할을 함.
(1) 비공식지원체계
① 가족 - 클라이언트에게 가장 신속하고 안락한 보호를 제공하는 서비스 공급 주체.
② 지역주민 - 클라이언트와 생활방식 관심사지리적 측면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는, 클라이언트의 사회 적 통합의 중요 통로가 됨.
③ 종교단체 - 잠재적으로 가치가 있는 체계로서 클라이언트의 풍부한 자원의 원천이 됨.
④ 자조집단 - 공통적인 조건, 경험, 욕구와 문제를 공유하는 사람들로 구성하는 집단으로서 지역 내 클 라이언트끼리의 집단 결성시 성원들 상호간의 보호가 훌륭한 지지의 원천이 됨.
⑤ 자원봉사자 - 클라이언트에게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으로서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욕구를 충 족시키는 훌륭한 자원임.
(2) 공식지원체계 - 국가기관, 공공법인, 민간기관과 시설, 사회단체, 공식협의체, 회원조직 등이 포함됨.
참고문헌
지역사회복지론 / 김범수 / 공동체 / 2006
사례관리의 이론과 실제 / 조추용 외 / 유풍출판사 / 2000
사회복지실천 사례관리 / 김통원 외 / 지샘 / 1998
사례관리의 기초 / 전재일, 이준상 / 사회복지개발연구원 / 1998
사례관리 / 권진숙 외 / 고역 하나의학사 / 1999
사회복지실천론 / 김수환외 / 양서원 /2005
지방화시대의 지역복지실천방법론 / 장인협 /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 엄명용 외 / 학지사
사회복지관 서비스 향상을 위한 사례관리의 필요성 / 김기환 / 동광 제94권
사회복지실천 방법으로서의 사례관리 / 류상열 / www.sungkyul.edu/~ryusl
사회사업실천방법으로서의 사례관리기법 / 황성동 / 1993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 사회자원 동원의 필요성
(1) 사회복지의 방향전환 - 지역사회복지로의 전환에 따라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모든 자원을 동원해야 함.
(2) 클라이언트의 자율적인 사회자원 선택 가능
- 다양화, 복합화, 고도화된 욕구에 따른 자원의 종류 확대 및 양적질적 향상과 서비스 공급주체의 다원화 필요.
(3) 장기보호가 필요한 노인과 만성장애인의 증가
- 지역사회 내에서의 적절한 보호를 위해 비공식지원체계와 공식지원체계를 동원하여 그들과 연결시켜야 함.
3) 사회자원의 종류와 특성
(1) 자원의 본질원천유용성에 따른 분류
① 개인집단의 내적 자원과 외적 자원
내적 자원 - 지식, 정보, 기술, 신뢰성, 건강 등, 외적 자원 - 재산, 친구, 직장 등
② 공식적 자원과 비공식적 자원
공식적 자원 - 학교, 병원, 사회복지기관 등, 비공식적 자원 - 친척, 이웃, 동료 등
③ 실제적 자원과 잠재적 자원
실제적 자원 : 클라이언트 욕구 충족과 기능 향상을 위해 현재 활용하고 있는 자원.
잠재적 자원 : 현재 활용하고 있지 않지만 장래에 활용할 가치가 있는 자원.
(2) 체계론적 관점에서의 분류
① 비공식자원체계
정서적 지지, 충고, 정보 제공, 보육, 서비스 안내, 행정업무 대행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ex) 가족, 친구, 친척, 이웃, 동료 자원봉사자 등
② 공식자원체계
회원들의 이익을 위해 조직된 단체나 회원조직으로서 회원들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다른 사회체계와 교섭하도록 돕는 것. ex) 노동조합, 사회복지사, 의사협회, 소비자 보호협회 등
③ 사회자원체계
국민이나 지역주민이 공동 활용하는 국가민간기관. ex) 학교, 병원, 공공도서관, 동사무소, 회사, 사회복지관 등
4) 사회자원의 개발과 확보
- 사례관리과정에서 사례관리자의 주요관심사이며,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회 자원 개발, 확보, 연결, 조정하는 역할을 함.
(1) 비공식지원체계
① 가족 - 클라이언트에게 가장 신속하고 안락한 보호를 제공하는 서비스 공급 주체.
② 지역주민 - 클라이언트와 생활방식 관심사지리적 측면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는, 클라이언트의 사회 적 통합의 중요 통로가 됨.
③ 종교단체 - 잠재적으로 가치가 있는 체계로서 클라이언트의 풍부한 자원의 원천이 됨.
④ 자조집단 - 공통적인 조건, 경험, 욕구와 문제를 공유하는 사람들로 구성하는 집단으로서 지역 내 클 라이언트끼리의 집단 결성시 성원들 상호간의 보호가 훌륭한 지지의 원천이 됨.
⑤ 자원봉사자 - 클라이언트에게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으로서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욕구를 충 족시키는 훌륭한 자원임.
(2) 공식지원체계 - 국가기관, 공공법인, 민간기관과 시설, 사회단체, 공식협의체, 회원조직 등이 포함됨.
참고문헌
지역사회복지론 / 김범수 / 공동체 / 2006
사례관리의 이론과 실제 / 조추용 외 / 유풍출판사 / 2000
사회복지실천 사례관리 / 김통원 외 / 지샘 / 1998
사례관리의 기초 / 전재일, 이준상 / 사회복지개발연구원 / 1998
사례관리 / 권진숙 외 / 고역 하나의학사 / 1999
사회복지실천론 / 김수환외 / 양서원 /2005
지방화시대의 지역복지실천방법론 / 장인협 /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 엄명용 외 / 학지사
사회복지관 서비스 향상을 위한 사례관리의 필요성 / 김기환 / 동광 제94권
사회복지실천 방법으로서의 사례관리 / 류상열 / www.sungkyul.edu/~ryusl
사회사업실천방법으로서의 사례관리기법 / 황성동 / 1993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추천자료
인사관리사례-보상관리부문(인사고과)
사례관리(장애유아통합교육에 있어서 사례관리의 적용가능성)
생산관리SCM사례분석
사례관리자의 역할과 개입과정
사례관리의 개념과 실천 방법
사례관리의 이해
사례의 유형과 사례관리의 실행과정
SCM,SCM도입효과,사례,SCM미래가치,공급망관리.공급망관리사례,공급망관리도입
청소년기의 피해사례 가출 청소년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청소년피해사례, 청소년 사례관리,...
귀임자 관리와 외국기업의 귀임자 관리사례 (해외 파견인력의 필요성, 귀임자 관리의 단계, ...
[조직 내 집단간 갈등] 조직 갈등관리와 조직 갈등관리사례 및 관리방법.ppt
내 주변의 인물 한 명을 선정하고, 그 인물을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과정별 개입기술 5단...
사례관리의 정의와 대상, 사례관리 서비스의 제공, 사례관리의 실천기능과 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