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티어 이론
1. 주요개념
1)가치체계(Value System)
①모든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 가까워지고 생존하고 성장하기 위해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왜곡된 모든 행동은 치료의 대상이 된다.
②특정한 질병으로 사회적 낙인이 찍힌 것은 개인의 괴로움속에 있다고 하는 것을 알리고자 하는 노력이다.
③생각하고 느끼는 것은 한데 묶여 있다. 인간은 모르는 것을 배울수 있고,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변화시킬 수 있다.
Satir의 치료모델은 성장모델(Growth Model)으로서 인간은 성취를 하기 위해 알맞게 조정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선하며 악하지 않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2)성숙(Maturation)
성숙한 사람의 특성
①자신의 감정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②다른 사람과 명확하게 의사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③자신과 다른 사람을 받아들이 수 있는 능력이 있다.
④다른 사람과의 차이점을 위험으로서 보다는 배우고 탐색하는 기회로 보려고 한다.
3)자기존중(Self-esteem)
Satir는 자기존중 개념이 인간의 기본욕구이고, 성(Sex)는 기본욕구가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Satir는 성적 욕구는 계속적으로 종속적인 것이어서 자기존중감정이 높은 사람은 남성이나 여성으로서의 정체감이 있고 성숙하며 창의력이 있다.
예로서 남자가 강한 자기의식을 가지고 있다면 그는 그의 성격과 재능을 보충해줌으로써 자신의 자기존중을 좀더 강화해 줄 수 있는 배우자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자기존중감정이 낮고, 자기상이 분명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그는 보완으로서가 아니라 자기의 연장으로서 자신에게 부족한 것을 제공해 줄 사람을 선택하게 된다.
자녀는 같은 성의 부모를 동일시하고, 동성의 부모를 존경하고 바람직한 상으로서 보기를 원한다. 그러나 자녀가 어느 한쪽을 택하도록 강요받을 때 심리성적발달은 장애를 받고 억압된다.
자각심이 결여된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큰 기대를 하짐나 다른 살마을 의심하여 실망을 예측하고 미리 준비를 하기도 한다.
4)의사소통(Communication)
분명하고 적절한 의사소통은 욕구를 지나치게 일반화하지 않고, 자신의 희망, 생각, 개념을 다른사람에게 투사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제삼자의 사적인 이야기를 전하지 않는다.
Satir는 문제가족은 이중수준 메시지를 통하여 의사소통한다고 보았다. 이중수준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일어난다.
①낮은 자기존중 감정을 가지고 있고 자신을 나쁘다고 생각한다.
②다른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할까봐 두려워한다.
③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걱정한다.
④관계가 깨질까봐 걱정한다.
⑤강요하는 것을 싫어한다.
⑥사람이나 상호관계에 대한 의미를 갖지 못한다.
▶네가지 의사소통 유형◀
①회유(Placating)
회유유형을 많이 사용하는 살마은 내면적으로는 자신은 무가치하다고 여기며 곁에 누가 없다며 죽은 목숨과 같다고 느낀다. 회유반응은 상대방에게 죄책감을 갖게 하며 죄책감을 갖는 것이 자신을 아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회유반응은 자신을 위하여 자신의 욕구를 숨기는 것이다.
변명,아부,다른 사람의 찬성을 받으려하고, 자기책임으로 돌리고, 무조건 동의, 상대방이 원하는 대로 행동, 희생적, 다른 사람을 화나지 않게 하려고 노력
②비난(Blaming)
내면적으로는 외롭고 비성공적인 감정이 있다. 비난행위는 다른 살마과 가까워지고 싶은 자신의 욕구를 숨기는 것이다.
자기주장이 강하고 독선적이며 명령적이고 지시적이다. 잘못을 남의 탓으로 돌리고, 참을성이
1. 주요개념
1)가치체계(Value System)
①모든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 가까워지고 생존하고 성장하기 위해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왜곡된 모든 행동은 치료의 대상이 된다.
②특정한 질병으로 사회적 낙인이 찍힌 것은 개인의 괴로움속에 있다고 하는 것을 알리고자 하는 노력이다.
③생각하고 느끼는 것은 한데 묶여 있다. 인간은 모르는 것을 배울수 있고,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변화시킬 수 있다.
Satir의 치료모델은 성장모델(Growth Model)으로서 인간은 성취를 하기 위해 알맞게 조정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선하며 악하지 않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2)성숙(Maturation)
성숙한 사람의 특성
①자신의 감정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②다른 사람과 명확하게 의사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③자신과 다른 사람을 받아들이 수 있는 능력이 있다.
④다른 사람과의 차이점을 위험으로서 보다는 배우고 탐색하는 기회로 보려고 한다.
3)자기존중(Self-esteem)
Satir는 자기존중 개념이 인간의 기본욕구이고, 성(Sex)는 기본욕구가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Satir는 성적 욕구는 계속적으로 종속적인 것이어서 자기존중감정이 높은 사람은 남성이나 여성으로서의 정체감이 있고 성숙하며 창의력이 있다.
예로서 남자가 강한 자기의식을 가지고 있다면 그는 그의 성격과 재능을 보충해줌으로써 자신의 자기존중을 좀더 강화해 줄 수 있는 배우자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자기존중감정이 낮고, 자기상이 분명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그는 보완으로서가 아니라 자기의 연장으로서 자신에게 부족한 것을 제공해 줄 사람을 선택하게 된다.
자녀는 같은 성의 부모를 동일시하고, 동성의 부모를 존경하고 바람직한 상으로서 보기를 원한다. 그러나 자녀가 어느 한쪽을 택하도록 강요받을 때 심리성적발달은 장애를 받고 억압된다.
자각심이 결여된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큰 기대를 하짐나 다른 살마을 의심하여 실망을 예측하고 미리 준비를 하기도 한다.
4)의사소통(Communication)
분명하고 적절한 의사소통은 욕구를 지나치게 일반화하지 않고, 자신의 희망, 생각, 개념을 다른사람에게 투사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제삼자의 사적인 이야기를 전하지 않는다.
Satir는 문제가족은 이중수준 메시지를 통하여 의사소통한다고 보았다. 이중수준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일어난다.
①낮은 자기존중 감정을 가지고 있고 자신을 나쁘다고 생각한다.
②다른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할까봐 두려워한다.
③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걱정한다.
④관계가 깨질까봐 걱정한다.
⑤강요하는 것을 싫어한다.
⑥사람이나 상호관계에 대한 의미를 갖지 못한다.
▶네가지 의사소통 유형◀
①회유(Placating)
회유유형을 많이 사용하는 살마은 내면적으로는 자신은 무가치하다고 여기며 곁에 누가 없다며 죽은 목숨과 같다고 느낀다. 회유반응은 상대방에게 죄책감을 갖게 하며 죄책감을 갖는 것이 자신을 아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회유반응은 자신을 위하여 자신의 욕구를 숨기는 것이다.
변명,아부,다른 사람의 찬성을 받으려하고, 자기책임으로 돌리고, 무조건 동의, 상대방이 원하는 대로 행동, 희생적, 다른 사람을 화나지 않게 하려고 노력
②비난(Blaming)
내면적으로는 외롭고 비성공적인 감정이 있다. 비난행위는 다른 살마과 가까워지고 싶은 자신의 욕구를 숨기는 것이다.
자기주장이 강하고 독선적이며 명령적이고 지시적이다. 잘못을 남의 탓으로 돌리고, 참을성이
추천자료
가족상담 및 치료의 개념과 특성 및 이해
가족상담 및 치료 과정, 상담과 치료의 방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입법배경과 목적 및 대상, 보험급여와 비용 현황분석
국민연금법의 입법배경과 목적 및 내용, 급여와 비용 현황분석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입법 배경과 목적 및 현황 분석
아동복지법의 출현배경과 특성 및 현황, 아동학대와 가정위탁
영육아보육법의 입법 배경과 및 목적, 보육시설의 현황
장애인복지법의 출현배경과 목적 및 특성, 시설과 비용 등 현황분석
건강가정기본법의 입법배경과 개념, 건강가정정책(사업) 현황
국민건강보험법의 입법배경과 목적 및 대상, 급여와 재정 현황분석
고용보험법의 입법배경과 목적 및 대상, 급여, 비용 현황분석
의료급여법의 출현배경과 목적 및 급여내용, 비용, 실시기관 현황 분석
노인복지법의 입법배경과 목적 및 특성, 설치와 운영 현황 분석
[사회복지사업법] 사회복지의 서비스, 전달체계, 시설, 법인, 재가복지, 사회복지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