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제연맹의 기원
2. 국제 연맹의 설립 및 경위
3. 국제 연맹의 가맹국 및 기관
4. 국제사적 의미
참고문헌
2. 국제 연맹의 설립 및 경위
3. 국제 연맹의 가맹국 및 기관
4. 국제사적 의미
참고문헌
본문내용
타리카가 지역 분쟁 해결 실패를 이유로, 1926년 브라질이 상임 이사국 진출 실패를 계기로 각각 연맹을 탈퇴한 이후 1930년대 후반부터 중남미 국가들의 탈퇴가 급증했다. 1933년 독일에서는 바이마르 공화국이 무너지고 나치당의 나치 독일이 세워졌다. 그리고 국제 연맹이 일본 제국의 만주 침략을 문제삼자 일본 제국이 탈퇴하였으며, 뒤를 이어 나치 독일이 탈퇴하였다. 그리고 1937년에는 이탈리아 왕국이 탈퇴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사실상 이사회는 기능을 하지 못하였고, 1939년 소련을 제명시키고 이사회는 활동을 중지하였다. 그리고 국제 연합 출범 후인 1946년 4월에 열린 제21차 총회에서 국제 연맹은 투표를 통해 국제 연맹의 해체와 동시에 자산의 국제 연합 이양을 결정하였으며, 국제사법재판소와 국제노동기구도 국제 연합에 인수되었다.
참고문헌
국제분쟁의 이해 - 조지프 나이 지음, 양준희 옮김
국제정치의 신패러다임 - 이무성 이종서 박채복 하상섭 박상현 공저
김순규. 1992. 박영사. 『신국제기구론』
김순규. 1994. 박영사. 『신국제정치사』
김순규. 1997. 박영사. 『현대국제정치학』
박준영. 1994. 박영사. 『국제정치학』
참고문헌
국제분쟁의 이해 - 조지프 나이 지음, 양준희 옮김
국제정치의 신패러다임 - 이무성 이종서 박채복 하상섭 박상현 공저
김순규. 1992. 박영사. 『신국제기구론』
김순규. 1994. 박영사. 『신국제정치사』
김순규. 1997. 박영사. 『현대국제정치학』
박준영. 1994. 박영사. 『국제정치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