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회복지시설 평가의 도입배경
1. 사회복지시설 평가의 도입배경
2.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 개발대상 현황
Ⅱ. 사회복지시설 평가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Ⅲ. 사회복지시설 평가의 기본원칙 및 평가실시방법
Ⅳ.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 및 평가척도 비교
참고문헌
1. 사회복지시설 평가의 도입배경
2.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 개발대상 현황
Ⅱ. 사회복지시설 평가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Ⅲ. 사회복지시설 평가의 기본원칙 및 평가실시방법
Ⅳ.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 및 평가척도 비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 모자일시, 미혼모, 선도보호, 성폭력보호시설로 시설종류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장애인시설 또한 지체장애인시설을 비롯하여, 시각, 청각언어, 정신지체, 중증요양, 근로시설로 192개소이다. 부랑인시설은 부랑인과 부랑아시설을 포함하여 43개소가 있으며, 정신요양시설은 67개소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시설대상자별로 시설을 구분하였을 경우 6종의 시설이지만 그 내부에는 더욱 세분화하여 다양한 시설이 존재하여 총 821개소가 있고, 각 시설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이용시설의 경우는 장애인복지관과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장애인복지관은 전국에 54개소가 존재하며, 사회복지관은 전국의 329개소로 가장 많은 시설수를 나타내고 있다.
평가지표 개발시설의 거주자 현황을 살펴보면, 아동시설을 포함한 6개 생활시설의 거주자는 총 76,134명으로 시설별 차이는 있으나 1개 시설 평균 93명이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시설의 종사자는 11,963명으로 1개 시설당 평균 15명이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 개발 대상시설 현황(1998년말 현재)
(단위: 개소, 명)
시설종류
시설수
거주자/이용자
종사자수
아동
영 아
26
1,856
육 아
212
14,397
직업보도
5
189
교호시설
6
509
자립지원
13
214
일시보호
10
655
소 계
272
17,820
3,024
노인
양 로
86
4,544
노인요양
63
3,694
실비양로
4
92
실비요양
13
59
전문요양
14
1,155
소 계
180
9,544
2,228
여성
모자보호
37
2,567
-
모자자립
2
58
-
모자일시
6
106
-
미 혼 모
8
248
-
선도보호
11
445
-
성폭력보호
3
17
-
소 계
67
3,441
331
장애인
지체
37
3,109
-
시각
10
622
-
청각언어
13
899
-
정신지체
60
5,968
-
중증요양
62
5,544
-
근로
10
576
-
소계
192
16,718
4,151
부랑인
부랑인
34
10,645
-
부랑아
9
1,912
-
소계
43
12,577
889
정신요양
67
16,034
1,160
장애인복지관
54
-
-
사회복지관
329
-
-
계
1,204
76,1341)
11,9631)
註: 1) 장애인복지관과 사회복지관을 제외한 숫자임.
Ⅱ. 사회복지시설 평가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사회복지시설 평가위원회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평가를 실시하는 것에 있어 각 영역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사회각계각층의 위원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1999년 6월 약 50명의 학계, 전문가, 시민단체, 정부, 관련 종사자 등으로 구성된 사회복지시설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였다.
평가위원회는 평가지표 개발 및 평가의 전체적인 기획, 조정, 총괄업무를 담당하는 총괄위원회 산하에 6종의 생활시설분과(아동복지시설분과, 노인복지시설분과, 장애인복지시설분과, 여성복지시설분과, 부랑인시설분과, 정신요양시설분과)와 2종의 이용시설분과(사회복지관분과, 장애인복지관분과)로 구성하였다. 각 분과는 해당시설 학계전문가, 해당시설 관계자, 시설담당 공무원 등 5~6명으로 구성하여 해당시설 평가에 적합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도록 하였다. 각 분과는 1999년 6~9월의 4개월간 시설의 보편적 충족 기준과 시설의 종류별 특성을 동시에 감안하여 평가기준 및 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되어진 평가지표는 99년 8월 사회복지협의회 주최 사회복지시설 실무자 워크샵(300명 대상)에서 지표개발 및 평가의 경과, 기본원칙 및 평가의 방법 등에 관한 1차 설명회가 있었으며, 각 분과는 해당 시설 협회 주관의 워크
이용시설의 경우는 장애인복지관과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장애인복지관은 전국에 54개소가 존재하며, 사회복지관은 전국의 329개소로 가장 많은 시설수를 나타내고 있다.
평가지표 개발시설의 거주자 현황을 살펴보면, 아동시설을 포함한 6개 생활시설의 거주자는 총 76,134명으로 시설별 차이는 있으나 1개 시설 평균 93명이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시설의 종사자는 11,963명으로 1개 시설당 평균 15명이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 개발 대상시설 현황(1998년말 현재)
(단위: 개소, 명)
시설종류
시설수
거주자/이용자
종사자수
아동
영 아
26
1,856
육 아
212
14,397
직업보도
5
189
교호시설
6
509
자립지원
13
214
일시보호
10
655
소 계
272
17,820
3,024
노인
양 로
86
4,544
노인요양
63
3,694
실비양로
4
92
실비요양
13
59
전문요양
14
1,155
소 계
180
9,544
2,228
여성
모자보호
37
2,567
-
모자자립
2
58
-
모자일시
6
106
-
미 혼 모
8
248
-
선도보호
11
445
-
성폭력보호
3
17
-
소 계
67
3,441
331
장애인
지체
37
3,109
-
시각
10
622
-
청각언어
13
899
-
정신지체
60
5,968
-
중증요양
62
5,544
-
근로
10
576
-
소계
192
16,718
4,151
부랑인
부랑인
34
10,645
-
부랑아
9
1,912
-
소계
43
12,577
889
정신요양
67
16,034
1,160
장애인복지관
54
-
-
사회복지관
329
-
-
계
1,204
76,1341)
11,9631)
註: 1) 장애인복지관과 사회복지관을 제외한 숫자임.
Ⅱ. 사회복지시설 평가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사회복지시설 평가위원회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평가를 실시하는 것에 있어 각 영역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사회각계각층의 위원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1999년 6월 약 50명의 학계, 전문가, 시민단체, 정부, 관련 종사자 등으로 구성된 사회복지시설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였다.
평가위원회는 평가지표 개발 및 평가의 전체적인 기획, 조정, 총괄업무를 담당하는 총괄위원회 산하에 6종의 생활시설분과(아동복지시설분과, 노인복지시설분과, 장애인복지시설분과, 여성복지시설분과, 부랑인시설분과, 정신요양시설분과)와 2종의 이용시설분과(사회복지관분과, 장애인복지관분과)로 구성하였다. 각 분과는 해당시설 학계전문가, 해당시설 관계자, 시설담당 공무원 등 5~6명으로 구성하여 해당시설 평가에 적합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도록 하였다. 각 분과는 1999년 6~9월의 4개월간 시설의 보편적 충족 기준과 시설의 종류별 특성을 동시에 감안하여 평가기준 및 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되어진 평가지표는 99년 8월 사회복지협의회 주최 사회복지시설 실무자 워크샵(300명 대상)에서 지표개발 및 평가의 경과, 기본원칙 및 평가의 방법 등에 관한 1차 설명회가 있었으며, 각 분과는 해당 시설 협회 주관의 워크
추천자료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노인복지제도)
사회복지와 관련한 부작용
우리나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제도의 역사와 사업에 대하여 조사해 보고 앞으로 사회복지전담...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사 - 사회복지제도의 변천, 영국의 사회복지정책, 우리...
우리나라 사회복지제도와 관련된 법 하나를 골라 제정과정 및 내용에 대해 분석.
현대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제도가 점점 확대되어감에 따라 나타나는 부정적인 영향은 어떤 것...
우리나라 공동모금제도(공동모금이란, 지역공동모금, 공동모금의사회적기금, 공동모금제도, ...
탈시설화에 대한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인의 현황과 개선하고 보완해야 할 점에 대한 개인적 의...
우리나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에 대하여 이용자관점, 민간기관 관점, 국가나 사...
[사회복지개론]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와 타 국가의 사회보장제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작성...
사회복지법제론)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의 안전망구조를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