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M. E., Porter(1985)의 가치사슬모형(Value Chain Model) 관점에서 정보시스템의 단점을 설명하고, 단점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최근의 기법)을 시스템의 관점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2.아래 Ci(i=9,10,11)에서 각각 1개의 주제를 선택하여 개념 및 예제를 상세히 설명하시오?
C9 = { 9.1 판매시점 거래처리 시스템의 개념도, 9.2 전사적 시스템의 개념도 }
C10 = { 10.1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10.2 중역정보 시스템 }
C11 = { 11.1 지식업무 지원시스템, 11.2 그룹웨어, 11.3 지식관리 시스템 }
3.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 Decision Support System)과 전문가시스템(ES: Expert System)의 개념 및 차이점을 상세히 설명하시오?
4.아래의 7개 주제에 대해서 4개를 선택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1) 가치 창출 과정
2) 페덱스의 1:10:100의 원칙
3) Data Mining(DM), Data Mart(DMt), & Data Warehouse(DW)
4) 지식 수명 주기
5) 자재 소요 계획(Material Resource Planning)
6) 공급 망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7) 고객 관계 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5.아래의 3개 주제에 대해서 2개를 선택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1) 전략 우위 및 대상에 따른 전략정보시스템의 3가지 본원적 경쟁전략
2) 경쟁세력모형과 전략정보시스템과의 관계
3) 기업 가치사슬 모형의 개념
6.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의 개념 및 3가지 주요원칙을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7.e-비즈니스 및 e-커머스의 개념 및 차이점을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8.H. G., Kim's Four Triangles(4T)에 대해 그림을 그리고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2.아래 Ci(i=9,10,11)에서 각각 1개의 주제를 선택하여 개념 및 예제를 상세히 설명하시오?
C9 = { 9.1 판매시점 거래처리 시스템의 개념도, 9.2 전사적 시스템의 개념도 }
C10 = { 10.1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10.2 중역정보 시스템 }
C11 = { 11.1 지식업무 지원시스템, 11.2 그룹웨어, 11.3 지식관리 시스템 }
3.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 Decision Support System)과 전문가시스템(ES: Expert System)의 개념 및 차이점을 상세히 설명하시오?
4.아래의 7개 주제에 대해서 4개를 선택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1) 가치 창출 과정
2) 페덱스의 1:10:100의 원칙
3) Data Mining(DM), Data Mart(DMt), & Data Warehouse(DW)
4) 지식 수명 주기
5) 자재 소요 계획(Material Resource Planning)
6) 공급 망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7) 고객 관계 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5.아래의 3개 주제에 대해서 2개를 선택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1) 전략 우위 및 대상에 따른 전략정보시스템의 3가지 본원적 경쟁전략
2) 경쟁세력모형과 전략정보시스템과의 관계
3) 기업 가치사슬 모형의 개념
6.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의 개념 및 3가지 주요원칙을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7.e-비즈니스 및 e-커머스의 개념 및 차이점을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8.H. G., Kim's Four Triangles(4T)에 대해 그림을 그리고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있어서 부가가치 창출과 관련된 핵심활동이 무엇인가를 규명할 수 있다. 각 단계 및 핵심활동들의 강점이나 약점 및 차별화 요인을 분석하고, 나아가 각 활동단계별 원가동인을 분석하여 경쟁우위 구축을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가치사슬 모델
가치사슬은 주활동(primary activities)과 지원활동(support activities)로 나눠볼 수 있다. 여기서 주활동은 제품의 생산·운송·마케팅·판매·물류·서비스 등과 같은 현장업무 활동을 의미하며, 지원활동은 구매·기술개발·인사·재무·기획 등 현장활동을 지원하는 제반업무를 의미한다. 주활동은 부가가치를 직접 창출하는 부문을, 지원활동은 부가가치가 창출되도록 간접적인 역할을 하는 부문을 말한다. 이 두 활동부문의 비용과 가치창출 요인을 분석하는 데에 사용된다. 고객이 제품을 주문하면서 생산이 이루어지고, 또 이를 다시 고객에게 전달하는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포괄한다고 보면 될 것이다.
6.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의 개념 및 3가지 주요원칙을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말 그대로 풀자면 업무개선을 위한 업무 프로세스 재설개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런 방향을 정의한것이 BPR이라고 하고요 다양한 방법과 의견이 있고 분석툴이 존재합니다. 보통 현업에서 적용하는 방법은 7가지 단계로 요약될수 있습니다
1) 사전준비단계 - 공감대 형성
사전조사에 따른 개선활동에 대한 개념, 방법, 계획을 이해하고 공감대를 갖도록 한다.
2) 개선과제 선정단계
업무 프로세스(기업프로세스)를 전체적으로 취합하고 가장 핵심이 되는 프로세스를 선정하여 단시간내에 개선을 통한 가시적 성과를 보여줌으로 조직내 저항을 최소화
3) 현황및 문제점 도출 단계
현재의 프로세스구조를 파악하고 맵을 구성(업무롤)
자료수집, 인터뷰, 현행업무 프로세스맵 구성으로 업무를 파악하는게 주요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현업무의 검증을 통해 문제를 확정한다. 긴급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는사항은 즉시 개선하도록 한다.
4) 벤치마킹 - 평가나 측정 또는 판단을 위해 필요한 기준
문제점에 대해 최고로 인정되는 타기업및 조직의 작업 방법(또는 서비스)을 찾아 최우량 방식을 업무에 적용하여 개선한다. 정량적이고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어느정도의 격차가 발생되는지를 분석하여 개선목표를 설정한다.
5) 개선안 도출
개선목표가 나왔음으로 기존의 프로세스맵을 어떤식으로 재구성하여 새로운 프로세스맵을 만들지 생각하여야한다. 개선안에 대해 정형화된 방법이 존재하지 않을수 있음을 생각하여야 한다. 프로세스는 최소화 하도록 한다. 현업부서와 충분한 커뮤니 케이션이 새로운 프로세스 맵 작성에 도움이 된다.
6) 프로세스의 개선활동 단계
확정된 새로운 프로세스를 개선효과가 큰 순서대로 현업에 적용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관련부서는 실무에 적용하여 개선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하여야 한다. 시뮬레이션에 의한 개선예상 효과를 최종 확정한다.
7) 발표및 사후관리
개선된 내용과 향후 적용할 대상에 대한발표를 함으로 조직원이 동참하도록 하여야한다. 실행이 따르지 않는다면 새로운 프로세스맵은 단지 종이조각에 지나지 않는다. 적적용에 따른 안정화 기간동안 개선 적용 내용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과거 상태로 돌아가지 않도록 점검하여야한다.
7. e-비즈니스 및 e-커머스의 개념 및 차이점을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1) e-비즈니스
1997년에 ‘e비즈니스’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될 때는, 주로 ‘전자상거래’를 의미하였다. 그 당시 인터넷을 통한 기업의 활동이라고는 온라인쇼핑몰을 통한 판매행위가 거의 유일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IBM은 판매 이외에 다른 기업 활동에서 인터넷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인터넷을 단순히 기업의 판매활동만을 위해 활용하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기업을 변화시키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핵심수단으로써,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진정한 ‘e비즈니스’개념으로 인식하기 시작한 것이다.
e비즈니스에 대한 정의를 잠깐 살펴보자.
정보통신부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및 이와 관련된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적인 기업 활동”이라고 정의하였다. 상품의 판매, 재무, 생산, 유통, 마케팅 등 대내외적인 기업 활동이 전자적으로 처리된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e비즈니스의 범주를 수행주체에 따라 B2C, B2B, G2B 등으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WTO(세계무역기구)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품을 생산, 광고, 유통, 판매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무역관점에서 제품의 유통과 판매 중심으로 통신네트워크를 활용한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IBM은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핵심적인 경영 업무 수행과 시스템을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비즈니스 가치를 광범위하고 편리하게 추구할 수 있는, 안전하고 유연하며 통합된 비즈니스 방식\"이라고 정의하였다. 인터넷을 접목한 시스템을 통해 기업 전반의 경영활동을 지원하고, 새롭고 유연한 비즈니스를 창출하여 가치를 증진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이상을 종합하여 보면, ‘e비즈니스는 기업의 경영활동을 인터넷과 정보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으로 수행하여, 경영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하는 기업 활동’ 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 e-커머스
정식 명칭은 electronic commerce 로 \"전자 상거래\" 를 의미합니다. 이것은, pc 를 이용한 웹상의 거래를 주로 얘기하는 것이지요. 대표적으로 쇼핑몰이나, 증권, 금융들이 여기에 속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말로 T-커머스(television commerce) 와 핸드폰을 이용한 m-커머스(모바일 커머스) 등이 있습니다. T- 커머스는 TV 홈쇼핑으로 볼수 있는데요, 일단 결제 수단에서 그 개념을 확고히 하기는 시기상조 같습니다. T-커머스는 모바일 커머스로 핸드폰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말 합니다. 작년 8월에 출시된 싸이언-9209 씨리즈에 결제시스템이 장착된 핸드폰이 처음 출시되었지요. 지금 광고에 나오는 k-커머스는 정확한 명칭이라기 보단 해당 서비스 업체의 브랜드 명을 딴 서비스 명에 가깝지요. 아무튼 e-커머스는 pc를 이용한 상 거래를 말하는 것으로 신뢰성에서 입증이
가치사슬 모델
가치사슬은 주활동(primary activities)과 지원활동(support activities)로 나눠볼 수 있다. 여기서 주활동은 제품의 생산·운송·마케팅·판매·물류·서비스 등과 같은 현장업무 활동을 의미하며, 지원활동은 구매·기술개발·인사·재무·기획 등 현장활동을 지원하는 제반업무를 의미한다. 주활동은 부가가치를 직접 창출하는 부문을, 지원활동은 부가가치가 창출되도록 간접적인 역할을 하는 부문을 말한다. 이 두 활동부문의 비용과 가치창출 요인을 분석하는 데에 사용된다. 고객이 제품을 주문하면서 생산이 이루어지고, 또 이를 다시 고객에게 전달하는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포괄한다고 보면 될 것이다.
6.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의 개념 및 3가지 주요원칙을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말 그대로 풀자면 업무개선을 위한 업무 프로세스 재설개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런 방향을 정의한것이 BPR이라고 하고요 다양한 방법과 의견이 있고 분석툴이 존재합니다. 보통 현업에서 적용하는 방법은 7가지 단계로 요약될수 있습니다
1) 사전준비단계 - 공감대 형성
사전조사에 따른 개선활동에 대한 개념, 방법, 계획을 이해하고 공감대를 갖도록 한다.
2) 개선과제 선정단계
업무 프로세스(기업프로세스)를 전체적으로 취합하고 가장 핵심이 되는 프로세스를 선정하여 단시간내에 개선을 통한 가시적 성과를 보여줌으로 조직내 저항을 최소화
3) 현황및 문제점 도출 단계
현재의 프로세스구조를 파악하고 맵을 구성(업무롤)
자료수집, 인터뷰, 현행업무 프로세스맵 구성으로 업무를 파악하는게 주요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현업무의 검증을 통해 문제를 확정한다. 긴급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는사항은 즉시 개선하도록 한다.
4) 벤치마킹 - 평가나 측정 또는 판단을 위해 필요한 기준
문제점에 대해 최고로 인정되는 타기업및 조직의 작업 방법(또는 서비스)을 찾아 최우량 방식을 업무에 적용하여 개선한다. 정량적이고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어느정도의 격차가 발생되는지를 분석하여 개선목표를 설정한다.
5) 개선안 도출
개선목표가 나왔음으로 기존의 프로세스맵을 어떤식으로 재구성하여 새로운 프로세스맵을 만들지 생각하여야한다. 개선안에 대해 정형화된 방법이 존재하지 않을수 있음을 생각하여야 한다. 프로세스는 최소화 하도록 한다. 현업부서와 충분한 커뮤니 케이션이 새로운 프로세스 맵 작성에 도움이 된다.
6) 프로세스의 개선활동 단계
확정된 새로운 프로세스를 개선효과가 큰 순서대로 현업에 적용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관련부서는 실무에 적용하여 개선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하여야 한다. 시뮬레이션에 의한 개선예상 효과를 최종 확정한다.
7) 발표및 사후관리
개선된 내용과 향후 적용할 대상에 대한발표를 함으로 조직원이 동참하도록 하여야한다. 실행이 따르지 않는다면 새로운 프로세스맵은 단지 종이조각에 지나지 않는다. 적적용에 따른 안정화 기간동안 개선 적용 내용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과거 상태로 돌아가지 않도록 점검하여야한다.
7. e-비즈니스 및 e-커머스의 개념 및 차이점을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1) e-비즈니스
1997년에 ‘e비즈니스’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될 때는, 주로 ‘전자상거래’를 의미하였다. 그 당시 인터넷을 통한 기업의 활동이라고는 온라인쇼핑몰을 통한 판매행위가 거의 유일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IBM은 판매 이외에 다른 기업 활동에서 인터넷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인터넷을 단순히 기업의 판매활동만을 위해 활용하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기업을 변화시키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핵심수단으로써,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진정한 ‘e비즈니스’개념으로 인식하기 시작한 것이다.
e비즈니스에 대한 정의를 잠깐 살펴보자.
정보통신부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및 이와 관련된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적인 기업 활동”이라고 정의하였다. 상품의 판매, 재무, 생산, 유통, 마케팅 등 대내외적인 기업 활동이 전자적으로 처리된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e비즈니스의 범주를 수행주체에 따라 B2C, B2B, G2B 등으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WTO(세계무역기구)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품을 생산, 광고, 유통, 판매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무역관점에서 제품의 유통과 판매 중심으로 통신네트워크를 활용한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IBM은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핵심적인 경영 업무 수행과 시스템을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비즈니스 가치를 광범위하고 편리하게 추구할 수 있는, 안전하고 유연하며 통합된 비즈니스 방식\"이라고 정의하였다. 인터넷을 접목한 시스템을 통해 기업 전반의 경영활동을 지원하고, 새롭고 유연한 비즈니스를 창출하여 가치를 증진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이상을 종합하여 보면, ‘e비즈니스는 기업의 경영활동을 인터넷과 정보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으로 수행하여, 경영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하는 기업 활동’ 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 e-커머스
정식 명칭은 electronic commerce 로 \"전자 상거래\" 를 의미합니다. 이것은, pc 를 이용한 웹상의 거래를 주로 얘기하는 것이지요. 대표적으로 쇼핑몰이나, 증권, 금융들이 여기에 속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말로 T-커머스(television commerce) 와 핸드폰을 이용한 m-커머스(모바일 커머스) 등이 있습니다. T- 커머스는 TV 홈쇼핑으로 볼수 있는데요, 일단 결제 수단에서 그 개념을 확고히 하기는 시기상조 같습니다. T-커머스는 모바일 커머스로 핸드폰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말 합니다. 작년 8월에 출시된 싸이언-9209 씨리즈에 결제시스템이 장착된 핸드폰이 처음 출시되었지요. 지금 광고에 나오는 k-커머스는 정확한 명칭이라기 보단 해당 서비스 업체의 브랜드 명을 딴 서비스 명에 가깝지요. 아무튼 e-커머스는 pc를 이용한 상 거래를 말하는 것으로 신뢰성에서 입증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