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재치환술의 적응증
1. 해리( Loosening)
2. 골용해( Osteolysis)
3. 재발성 탈구( Recurrent dislocation)
4. 인공삽입물의 파손( Fracture or mechanical failure of implant)
5. 수술 전 준비과정
6. 고관절 치환술 수술 준비
7. 인공관절 치환술 수술 전 후 간호
1) 수술전 준비 및 간호
2) 수술직후 간호
1. 해리( Loosening)
2. 골용해( Osteolysis)
3. 재발성 탈구( Recurrent dislocation)
4. 인공삽입물의 파손( Fracture or mechanical failure of implant)
5. 수술 전 준비과정
6. 고관절 치환술 수술 준비
7. 인공관절 치환술 수술 전 후 간호
1) 수술전 준비 및 간호
2) 수술직후 간호
본문내용
경우에 한쪽에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후 수술한 고관절의 기능이 만족스러워진 다음 다른쪽 관절에 수술한다.
1) 수술전 준비 및 간호
(1) 환자 교육
인공관절 치환술의 필요성과 수술후 과정에 서 대상자가 해야할 일들을 교육 : 대퇴 사두근 힘주기 운동이나 둔부근육 힘주기 운동 고관절 신전 및 외전 상태의 피요성을 교육하고 목발이나 보행기에 대한 설명과 걷는 동작을 알려준다.
12시간 NPO
마취에 따른 교육
(2) 신체적 준비
수술전 검사 : 혈액검사, EKG, chest P-A, PFT(pulmonary function test) , ABGA
피부준비 : 삭모
수술복착용 : 장신구, 속옷, 화장, 메니큐어 제거
배변
8시간 이상 금식: aspiration예방
항생제 정맥주사 : 감염 합병증 대비
(3) 정서적 지지
수술후 간호
수술후 대상자의 적절한 체위와 하지보행운동이 간호의 요점이다.
인공관절 치환술 후 빠른 회복과 재활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재활 준비는 수술전부터 시작한다.
대상ㅈ가 재활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화 시키기 위하여 이동방법, 목발사용, 탈구 방지법 등에 대하여 교육한다.
2) 수술직후 간호
(1) 자세 : 절대침상안정 & 무릎상승
(2) v/s : 30분마다 2회 - 1시간마다 2회 - 4시간 마다 측정
오한.떨림, 약하고 높은 혈압, 빠른 호흡 , 수술후 3일 동안은 약간의 체온 상승이 있을 수 있다.
(3)OP wound 관찰
H/V 을 이용하여 상처의 배액을 돕는다. 첫 24시간 동안은 500ml가량 배액
(5) 신경혈관 상태 관찰
매 3~4시간 마다 CMT(carpometatarsal)수근 중간골간관절과 발의 맥박 관찰
(6) gas out시 까지 NPO하도록 교육
(7) 배뇨(Foley Cath Keep)
urine output: cardiac output의 지표
24 ~ 48시간 동안 요분비 증가 될 수 있다.
(8)pain control Baxter기능 확인
(9)수술후 항생제를 투여하여 감염을 예방한다.: antibiotics, antiacid,, 진해 거담제, 진통제
(10) 피부간호
supine p.을 유지하므로 3!4시간 마다 등간호 시행
무릎부위의 피부손상및 신경 손상 증상관찰
(11) I&O 체크, 밸런스 유지
(12) 수술후 하지의 혈전으 예방하기 위해 탄력 붕대를 감는다.
1) 수술전 준비 및 간호
(1) 환자 교육
인공관절 치환술의 필요성과 수술후 과정에 서 대상자가 해야할 일들을 교육 : 대퇴 사두근 힘주기 운동이나 둔부근육 힘주기 운동 고관절 신전 및 외전 상태의 피요성을 교육하고 목발이나 보행기에 대한 설명과 걷는 동작을 알려준다.
12시간 NPO
마취에 따른 교육
(2) 신체적 준비
수술전 검사 : 혈액검사, EKG, chest P-A, PFT(pulmonary function test) , ABGA
피부준비 : 삭모
수술복착용 : 장신구, 속옷, 화장, 메니큐어 제거
배변
8시간 이상 금식: aspiration예방
항생제 정맥주사 : 감염 합병증 대비
(3) 정서적 지지
수술후 간호
수술후 대상자의 적절한 체위와 하지보행운동이 간호의 요점이다.
인공관절 치환술 후 빠른 회복과 재활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재활 준비는 수술전부터 시작한다.
대상ㅈ가 재활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화 시키기 위하여 이동방법, 목발사용, 탈구 방지법 등에 대하여 교육한다.
2) 수술직후 간호
(1) 자세 : 절대침상안정 & 무릎상승
(2) v/s : 30분마다 2회 - 1시간마다 2회 - 4시간 마다 측정
오한.떨림, 약하고 높은 혈압, 빠른 호흡 , 수술후 3일 동안은 약간의 체온 상승이 있을 수 있다.
(3)OP wound 관찰
H/V 을 이용하여 상처의 배액을 돕는다. 첫 24시간 동안은 500ml가량 배액
(5) 신경혈관 상태 관찰
매 3~4시간 마다 CMT(carpometatarsal)수근 중간골간관절과 발의 맥박 관찰
(6) gas out시 까지 NPO하도록 교육
(7) 배뇨(Foley Cath Keep)
urine output: cardiac output의 지표
24 ~ 48시간 동안 요분비 증가 될 수 있다.
(8)pain control Baxter기능 확인
(9)수술후 항생제를 투여하여 감염을 예방한다.: antibiotics, antiacid,, 진해 거담제, 진통제
(10) 피부간호
supine p.을 유지하므로 3!4시간 마다 등간호 시행
무릎부위의 피부손상및 신경 손상 증상관찰
(11) I&O 체크, 밸런스 유지
(12) 수술후 하지의 혈전으 예방하기 위해 탄력 붕대를 감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