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자의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상담자의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데 반하여 폐쇄적인 질문은 오로지 명백한 사실만을 요구한다
* 휴가가 끝나고 기분이 어떠한지요? (개방적 질문)
휴가가 끝나서 기분이 섭섭하지 않으신지요? (폐쇄적 질문)
* 당신과 다툰 후 그녀와 어떤 일이 있었나요? (개방적 질문)
당신과 다툰후 그녀가 자살하려 했나요? (폐쇄적 질문)
* 상담을 받으니 기분이 어떠신지요? (개방적 질문)
상담을 받으니 기분이 어떻게 좋아졌는지요? (폐쇄적 질문)
②직접질문 / 간접질문
* 당신은 그런 상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직접질문)
그런 상황이 당신에게 어떠한 생각을 나게 하는지 궁금하군요 (간접질문)
* 그 다음에는 무슨 일이 있었지요? (직접질문)
그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궁금하군요 (간접질문)
* 아버지가 한 말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직접질문)
아버지가 그런 말에 대해 여러가지 생각이 나실지도 모르겠군요 (간접질문)
③이중 질문 / 단일 질문
이중질문은 내담자가 양자택일해야 하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어느 질문에도 답을 하지 못하게 만드는 형식의 질문방식이다.
상담자 : 저와의 상담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까? 그리고 자신에게 문제가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까?
내담자 : 뭐라고 말씀드려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④구체적 질문 / 추상적 질문
내담자는 모호하거나 추상적인 질문에 난감해 하거나 모호하게 답변할 수 있다
* 당신은 어렸을 때 죄책감을 느꼈나요?
아버지가 그말을 한 후 당신은 죄책감을 느꼈나요?
* 당신의 어머니는 겁이 많으신가요?
당신의 어머니는 낮선 사람에게 접근하는 것을 싫어하나요?
⑤\' 왜\' 라는 질문
상담에서는 왜라는 질문은 피하는것이 좋다. 내담자가 자신에게 동의하지 않거나 불쾌감 또는 비판적인 감정표현의 느낌을 받을수 있기
때문에 \'왜\' 라는 질문은 \'어떻게\' \'무엇을\', \'어떤 이유로\', \'어떤 동기로\' 등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왜 그렇게 생가하십니까?
* 그렇게 생각하게 된 이유가 있는지요? (대안)
* 왜 그 사람이 바보라고 생각하는지요?
* 그 사람이 바보라고 생각될 만한 이유가 있는지요? (대안)
5. 요약
요약(summarization)이란 내담자의 생각, 감정, 욕구, 기대를 하나로 묶어 정리하는 것이다. 상담이 어디로 진행되고 현재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내담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내담자가 상담을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하게 하고, 내담자의 문제에 대한 이해의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
요약은 내담자에게 상담자가 문제에 대하여 주목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 주는 계기가 되기 때문에 내담자가 상담에 참여하는 동기를
강화할 수 있으며 내담자가 미처 의식하지 못한 면을 학습시키고 문제해결의 과정을 밝히며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탐색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해결책을 강구할 수 있게 한다.
①주기적으로 요약한다 : 가능하면 이전회기나 금번 회기 면담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도록 한다
②초기에는 섣부른 요약을 하지 않는다 : 내담자가 급하다고 느끼는 화제의 표현을 막을 수 있기 때문.
③漫 요약한다 : 내담자의 표현중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과 감정을 요약한다
④상담자의 새로운 견해를 추가하지 않는다 : 내담자가 표현한 범위내에서 요약, 이론적 추측은 금물
⑤내담자가 요약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6. 직면
직면(confrontaition)이란 내담자의 판단과 행동의 원인을 압축하여 제시함으로써 내담자가 이를 받아들이도록 하는 상담기법.
적당한 직면은 내담자의 생각을 명료화하고 변화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직면은 분명하고 간결하게 시도.
* 한편으로는 ____하나 다른 한편은 ____하군요
* 당신은 _____하다고 이야기하지만, 또 _____다다는 이야기도 하는군요
* 당신은 ______이야기하지만, 비언어적으로는 ______처럼 보이는군요
* 당신은 ______ 하다고 말하지만, 행동은 그렇지 않은 것 같군요
①진술 - 비언어적 표현 (신체언어)
내담자 : 남편이 늘 그렇게 화를 내고 나가버려도 나는 별로 상관하지 않아요. 아이들 때문에 바쁘니까요
상담자 : 당신은 그로 인하여 별로 힘들지 않은 것처럼 계속 말을 하고 있어요. 그러나 당신의 표정은 그 말을 할 때
굳어져 있고 긴장되어 보입니다
②진숙 - 이전의 진술
내담자 : 그 반 아이들은 전부 다 멍청이에요. 그 녀석들만 보기만 하면 화가 치밀어올라 몇 녀석을 훔씬 두둘겨 패주고 싶어요
상담자 : 그 아이들을 보기만 해도 강하게 반응하는구나. 그런데 지난주에 네가 말하기를 네가 먼저 시비를 걸지는 않는다고 했었지
③진술 - 행동
내담자 : 남편에게 다시 한 번 폭력을 행사하면 집을 나가버리겠다고 말했어요. 이건 진심이에요
상담자 : 남편이 당신에게 다시 한 번 폭력을 행사하면 정말 집을 나갈 것 같이 결심이 대단하시군요. 그러나 당신은 전에도 여러 차례
남편에게 그와 같은 경고를 해 왔지요.
④진술 - 객관적 상황
내담자 : 이제는 너무 늙어버려서 새로운 것을 배우고 변화하기가 어렵습니다
상담자 : 너무 늙어서 바뀔 수가 없다고 느끼시는군요. 그러나 그 나이에 적지 않은 삶의 변화를 가져온 사람들을 여러 사람
알고 계시지요?
⑤진술 - 생략
내담자 : 어제 밤 꾼 꿈이 너무 불쾌해요. 심지어는 제가 왜 선생님에게 그런 꿈을 이야기하고 있는지조차 모르겠어요.
상담자 : 당신은 그 꿈 때문에 불쾌했지만 그것을 이야기하고 싶어서 오늘 저에게 2번이나 전화 했었지요.
7. 정보 제공
상담자는 세심한 배려속에서 문제해결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정보제공은주로 실행 단계 (문제해결 단계)에 이루어진다
①내담자가 정보를 필요로 할 경우
②정보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을 경우
③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질문이 현실적으로 타당하다고 판단될 경우
8. 자기 개방
상담자가 자신을 내담자에게 드러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근거는 많지만 드러내지 않는 것이 더 낫다는 근거 또한 없다. 상담자의 자기
개방의 일부는 치료를 촉진하기도 하고 또 일부는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적절한 수준의 자기개방이 필요하다.
상담자의 자기개방에는 치료의 매커니즘, \"지금-여기\"의 감정, 상담자의 사생활이라는 3가지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91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