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지방자치제가 시행하고 있는 지역관광상품에 대한 자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각지방자치제가 시행하고 있는 지역관광상품에 대한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입장료부과 축제로 성공한 미국 텍사스주 갤버스톤의 축제 - 디킨스 온 더 스트랜드(Dicskens On The Strand)
2. 지역의 비수기를 극복하는 북미의 겨울축제들 - 캐나다 퀘백의 겨울축제와 미국 세인폴의 겨울축제
3.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킨 영국의 축제 - 스코틀랜드 에딘버러시(市)의 지역축제들
4. 필리핀 시놀룩 축제 - 아기 예수 축일에서 시작된 축제
5. 말레이시아 꽃 축제 - 남국의 대표적인 꽃 잔치와 퍼레이드
.
.
.
15. 니스 카니발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비용을 투입한 반면 티켓판매를 통해서 약 50만 달러의 수입을 얻었다. 이 자금은 이후 재단의 각종 사업과 프로그램 응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었다. 축제가 도시 전체에 미친 경제적 효과와 비용-수입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이 지역의 신문보도를 볼 때 호텔의 객실 판매는 늘어났고, 상점과 레스토랑도 비교적 많은 매출을 기록하는 등 관광사업이 긍정적 경제효과를 미쳤음이 확실하며 이 축제는 겨울철의 비즈니스 침체를 상쇄시킬 수 있는 아주 좋은 방법으로 나타났다.
2. 지역의 비수기를 극복하는 북미의 겨울축제들 - 캐나다 퀘백의 겨울축제와 미국 세인폴의 겨울축제
최근 비수기 타개의 적극적인 해결책으로 축제전략이 환영받고 있다. 그것은 바로 축제 개최를 통하여 관광 성수기를 연장하거나, 새로운 관광시즌을 창출해냄으로써 계절적 변수를 극복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의 가장 모범적 축제사례는 캐나다 궤백(Quebec)의 유명한 겨울 축제(Winter Carnival)에 찾아볼 수 있다. 퀘백의 겨울축제는 최근 TV 등 방송매체에서 얼음을 깨고 카누경기를 하는 스포츠 이벤트를 보여줘 한국에도 친숙한 축제이다. 이 축제의 유래를 살펴보면 1950년대로 거술러 올라간다. 퀘백시의 연중 2월과 3월은 전통적으로 이 도시의 중요한 경제수입원인 관광의 비수기 뿐만 아니라 이 지역 경제가 가장 침체되는 시기였으나, 이 지역 비즈니스 단체들에 의해서 1954년 궤백 겨울축제가 근대적 형태를 갖추고 시작되었는데, 이 겨울축제의 명성 때문에 퀘백의 독특한 장점을 파악하게 된다. 많은 관광지에서 주민들이 그들 고유의 축제를 비수기때 개최하기를 선호한다. 이러한 비수기때 개최되는 축제들은 지역주민들이 방문객들을 유치하기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안간힘을 스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벤트 전략이 성공적일 경우 비수기는 존재 하지 않게 될 것이다. 비슷한 경우로서 미국 미네소타(Minnesota)주의 세인폴(St. Paul)시의 겨울 축제(Winter Carnival)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도시는 미니애폴리스(Minneapolis) 옆에 위치하여 \'쌍둥이 도시\', \'역사적 도시\'로 알려진 곳이고, 미국에서도 살기 좋은 도시로 자주 꼽히지만, 이 지역의 \'겨울의 추위\'이라면 많은 미국인들이 혀를 내두르는 악명높은 도시이기도 하다. 이 도시의 겨울에 엄숩하는 폭설 때문에 \'미국에서 제일 눈 치우는 곳\'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이러한 겨울과 눈이라는 이 지역의 관광 및 경제장애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1886년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세인폴 겨울축제의 전설을 토대로 거대한 \'얼음궁전(Ice Palace)을 조각하는 등 대형이벤트로 확대시켜 관광객 유발은 물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킨 성공사례이다. 최근 몇 년 전에는 미국 최대 스포츠 행사인 \'수퍼볼\'(Super Bowl)을 개최하면서 겨울축제와 눈의 이미지를 관광매력화하려는 적극적인 홍보도 병행하였다. 정리하자면, 이 지역은 연중 가장 추운 시기인 1월 말에서 2월 중순의 폭설과 겨울추위 때문에 고질적인 관광이미지 문제를 안고 있었으나 겨울 카니발의 개최를 통해 겨울과 눈을 오히려 관광매력화시키고, 미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겨울축제로 발돋움하게 되어 근접 지역이나 다른 주(州)의 관광객들을 유치하고 있다.
3.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킨 영국의 축제 - 스코틀랜드 에딘버러시(市)의 지역축제들
영국 스코틀랜드의 에딘러시에서는 지역축제 하나만으로도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유명관광지로의 가능하다는 사례를 보여 주고 있다. 영국 스코틀랜드의 에딘버러시 (市)는 인구 43만의 중세풍의 건물들이 우중충하게 솟아있는 소도시로서 축제전략으로 연 1천 2백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유럽의 꽃\"으로 탈바꿈한 사례이다. 스코틀랜드에서는 군악대축제, 영화축제, 민속축제, 어린이 축제, 책축제, 과학축제 등 20여종에 가까운 축제를 1년 연중 개최하면서 특히 8개의 축제가 몰려있는 8월에는 축제왕국으로서 절정에 이르게 된다. 스코틀랜드 관광위원회의 1992년 통계에 의하면 9개의 주요축제가 매년 7천 2백만 파운드(8백 64억원)의 순수입을 창출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 중에서 특히 군악대축제(Military Tattoo)는 에딘버러의 대표적인 문화유적지인 에딘버러성(城)에서 아름다운 야경을 배경으로 군악대, 전통무용단 등이 화려한 이벤트를 펼치면서 수많은 외국방문객 또는 에딘버러 지역의 영국 각지에서 몰려드는 국내관광객을 유치하면서 지역경제활성화에 가장 높은 기여를 하고 있다. 영국 북부의 글래스고우(Glasgow)가 비록 오래된 도시이긴 하지만 19세기에는 조선업과 엔지니어링 산업의 발달로 도시가 부흥했고 20세기 초반에 도시인구가 1백 60만에 이르러 훌륭한 빌딩, 거대한 기업, 강력한 시정부와 함께 주요한 상업도시가 되었다. 그러나 제 1차 세계대전 이후 경제불황을 겪으며 도시경제가 침체국면으로 접어들기 시작했다. 지역의 정책적 지원과 여러 가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침체를 막을 내리지 못하였다. 그러한 침체와 함께 도시는 저질의 주택생활, 난폭한 노동자, 산업도시의 좋지 못한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 1980년대 초반 글래스고우는 적극적 관민합동으로 여러 가지의 지역활성화 노력을 재개하였다. 1983년에 시장이 \'Glasgow\'s Miles Better\'라는 슬로건과 함께 예술축제(arts festival), 오월축제(Mayfeast)가 개최되기 시작했다. 1985년에는 \'글래스고우 액션\'(Glasgow Action)이라는 관민합작기관을 설립하여 도시관광을 활성화시키고, 도시 중심부를 홍보하였다. 같은 해 전시, 컨벤션센터가 개관되면서 합창제, 재즈음악축제, 무용제 등을 개최하여 여름철을 축제분위기로 활성화시키기 시작하였다. 1987년에는 시정부에서 축제담당부서가 조직되면서 1988년에 가든축제(Garden Festival)를 개최하려는 계획을 실행하게 되었고, 글래스고우의 미술관 맞은편에 대규모 교통박물관을 이전시켜 도시관광 매력물들을 집중화시키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1990년에는 유럽의 문화도시로 지정되는 영광과 함께 추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96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