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2011년 2월28일까지 동등학력 취득자 포함
라. 외국의 대학 또는 대학원(단,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한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하고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로서 “가”호 및 “나”호의 자격과 동등하다고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자
마. 다음에 해당하는 자로서 2011년 2월28일 기준으로 1년 이상 사회복지사업의 실무경험이 있는 자
1) 고등교육법에 의한 전문대학에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졸업한 자
2) 법령에서「고등교육법」에 따른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로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자
3)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을 졸업하거나 이와 동등이상의 학력이 있는 자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는 교육훈련기관에서 12주 이상의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교육훈련을 이수한 자
4) 사회복지사 3급 자격증 소지자로서 3년 이상 사회복지사업의 실무경험이 있는 자
3. 사회복지사 업무
○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 시설 거주자의 생활지도 업무
○ 사회복지를 필요로 하는 자에 대한 상담업무
라. 외국의 대학 또는 대학원(단,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한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하고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로서 “가”호 및 “나”호의 자격과 동등하다고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자
마. 다음에 해당하는 자로서 2011년 2월28일 기준으로 1년 이상 사회복지사업의 실무경험이 있는 자
1) 고등교육법에 의한 전문대학에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졸업한 자
2) 법령에서「고등교육법」에 따른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로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자
3)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을 졸업하거나 이와 동등이상의 학력이 있는 자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는 교육훈련기관에서 12주 이상의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교육훈련을 이수한 자
4) 사회복지사 3급 자격증 소지자로서 3년 이상 사회복지사업의 실무경험이 있는 자
3. 사회복지사 업무
○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 시설 거주자의 생활지도 업무
○ 사회복지를 필요로 하는 자에 대한 상담업무
키워드
추천자료
[학교사회사업][학교사회복지사]학교사회사업의 개념, 필요성, 대상과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사회복지][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서비스의 정의, 사회보장의 범위, 사회사업, 사회보험, 한...
[사회복지전문가][사회복지사][사회복지][전문성][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서비스]사회복지전...
[사회복지][사회복지서비스][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사][사회복지전문가]사회복지서비스(사회...
[사회복지종사자][사회복지사]사회복지종사자(사회복지사)의 가치관과 사회복지종사자(사회복...
[사회복지사]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 및 권익 신장을 위한 해결과제, 사회복지사의 전문정 ...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분야별 기능,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역할]정신보건사...
학교사회복지_학교사회복지개념, 발달, 학교사회복지사, 학교사회복지모델, 학교사회복지현황...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사의 주관적인 전문성 인식과 사회로부터의 전문성 인식에 차이가 나...
[사회복지사 직무만족]사회복지사(사회복지전문가) 직무만족, 가톨릭 사회복지사(사회복지전...
자신이 생각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무엇이며,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예비사...
[사회복지사 소진] 사회복지사 소진의 원인, 사회복지사 소진 예방 대책 분석 - 사회복지사 ...
자신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복지사로서 가져야하는 마음가짐과 자세는 무엇인가요
클라이언트와 전문적 관계를 형성해야하는 사회복지사가 전문가인 이유에 대해 토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