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매립장에 대한 토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쓰레기 매립장에 대한 토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선생님 님의 말 :
지금부터
선생님 님의 말 :
호나경기초시설설치에 관한 모의토른을 시작하겠습니다
선생님 님의 말 :
환경
선생님 님의 말 :
가나다라 지역중에서어느곳이 쓰레기 메립장을 설치하는데 적절한지
선생님 님의 말 :
자기의 의견을 말하여 주세요
정예린 님의 말 :
저는 라지역에 매립장을 설치하는데 적합할 것 같아요
차형규 님의 말 :
저는 가지역이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차형규 님의 말 :
익존입니다.
차형규 님의 말 :
형규:저는 라지역을 찬성합니다
선생님 님의 말 :
정예린 어린이는 라지역, 이익존 어린이는 가지역, 형규어린이는 라지역에 찬성한다고 했습니다
선생님 님의 말 :
그러한 이유를 말씀해주세요
정예린 님의 말 :

본문내용

을까요?
차형규 님의 말 :
형규:무엇보다도 인구가 많다..
정예린 님의 말 :
가지역의 장점은 수질오염 빼고는 별로 문제가 없다.그리고 평야는 아니지만 가장 무난한 것 같은데요.
차형규 님의 말 :
형규:일단은 물의오염이 심하기때문에.. 물을좀 깨끗하게 만든후에 살면 더좋지않을까요??
선생님 님의 말 :
가지역의 단점을 무엇일까요?
정예린 님의 말 :
가지역의 단점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예산이 적당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정예린 님의 말 :
그리고 하천과 가까워 환경전문가가 가지역은 물 오염이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정예린 님의 말 :
환경 운동가
정예린 님의 말 :
그리고 쓰레기를 매립하려면 넓은 땅이 있어야 하는데 가는 그렇게 땅이 넓지는 않은 것 같아요.
정예린 님의 말 :
작지는 않겠지만요.
차형규 님의 말 :
형규:그리고 또 제일 먼저 가지역이 좀 땅이 넓 기는 하지만은 그래도 라지역도 그렇게 짧지 않의니 가지역을 쓰레기 매립장 을 하기가 딱좋은 상태인거같아요..
차형규 님의 말 :
가지역에 쓰레기를 설치한다면은 그 오염된물들이 더 오염돼서 다른곳에 옴겨다 니면서.. 않좋은 물들이 돼어 건강을 해칠거 같습니다..
선생님 님의 말 :
라 지역에 설치할시의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정예린 님의 말 :
라지역에 매립장을 설치했을 때 장점은 일단 예산이 적당할 것 같고요. 또 넓은 땅이 있기 때문에 쓰레기를 묻고 매립하기에는 좋은 것 같습니다.
차형규 님의 말 :
라지역은 무엇보다도 공장이 없지만 그래도 물도 좀 괜찮은 편이고 공장들도 없고 쓰레기를 버리기에 딱좋죠..
정예린 님의 말 :
그리고 산 쪽에 버리면 다른 평평한 곳보다는 악취가 많이 나지 않을것 같아요.
선생님 님의 말 :
라 지역의 단점은 무엇일까요?
차형규 님의 말 :
익존 : 보상문제와 수질오염의 위험성이죠.
차형규 님의 말 :
라지역은 산지지역이므로
차형규 님의 말 :
쓰레기를 매립을하면
차형규 님의 말 :
밑으로 오염된 지하수가 빠져나갈것이죠.
정예린 님의 말 :
수질오염의 문제는 가지역처럼 정수시설을 만들면 될 것 같은데요.
차형규 님의 말 :
그게 문제입니다.
정예린 님의 말 :
지하수라...
차형규 님의 말 :
라지역은 땅속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정수시설을 제데로 설치하여서 정수가 제데로 될지 확실치 않다는 것이죠.
차형규 님의 말 :
그리고 목장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은
차형규 님의 말 :
그만큼 환경이 잘 보존되었다는 이야기인것 같은데요
정예린 님의 말 :
그것은 가 지역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가 지역도 쓰레기를 묻을 거니까요.
차형규 님의 말 :
그러면 라지역도 환경운동가의 거센 반발이 예측되고요
차형규 님의 말 :
가. 라지역 모두 지반에 대해서 나와있지 않기때문에
차형규 님의 말 :
오염된 빗물등이
차형규 님의 말 :
스며들어서 유출될지 안될지는 모르겠으나
차형규 님의 말 :
산지라는 조건이 있기때문에
차형규 님의 말 :
어디로 오염된 물이 흘러 들어갈지 모른다는 것이죠
정예린 님의 말 :
가 지역도 산지입니다.
차형규 님의 말 :
가지역은 강이 옆에있다면
차형규 님의 말 :
더군다나 산이라면.
차형규 님의 말 :
물은 흐르는곳으로 흐르지 않을까요?
차형규 님의 말 :
계속해서 흘러왔다는 것은 오염된 물들이 강쪽으로 흘러들어가서 수질오염이 된다는 말이었습니다.
선생님 님의 말 :
가지역의 문제 : 하천이 가까이 있다
차형규 님의 말 :
그러므로 가지역은 하천쪽에 정수처리시설을 하면 하천오염의 가능성을 90%이상 줄일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 님의 말 :
라지역의 문제 : 하천오염위험...주변의 주택
선생님 님의 말 :
가지역의 문제 : 예산문제
차형규 님의 말 :
가지역은 사람이 살고있다고 구체적으로 나와있지 않기때문에 보상문제는 제외된다고 생각하는데요.
정예린 님의 말 :
보상이 문제되지 않는다고 해도 땅 주인은 있을 것 같은데요.
차형규 님의 말 :
제말은 보상문제의 가격이 적다는 것이죠.
차형규 님의 말 :
아무것도 없는땅에 보상을 받는다면
차형규 님의 말 :
땅주인 입장으로는 훨씬더 이득이지 않을까요
차형규 님의 말 :
라지역은 미래를 볼때 더많은 예산이 들수있을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차형규 님의 말 :
하천오염과 그 주변에서 살고있었던 야생동물들에게도 피해가 갈것이고 라지역에서 다지역에게 피해를 끼칠수 있다고 합니다.
차형규 님의 말 :
다지역사람들의 땅값에 대한것도 예민할거라고 생각하고요.
정예린 님의 말 :
가지역도 하천오염이되지 않을까요?
정예린 님의 말 :
그리고 가지역에도 야생동물이 있을 것이고요.
차형규 님의 말 :
가지역은 고지대라고만 나와있고
차형규 님의 말 :
산지라고는 나와있지 않은것 같습니다.
차형규 님의 말 :
물론 야생동물이 있겠지만
정예린 님의 말 :
그래도 등고선이 그려져 있는 것 같은데...
차형규 님의 말 :
산지가 많은 라지역보다는, 원래 동물을 키우던 곳에 야생동물이 많지 않을까요
차형규 님의 말 :
그리고 가지역의 등고선은 40이고 라지역은 100가까이로 보입니다.
정예린 님의 말 :
그래도 산지이기는 한 것 같은데요.
차형규 님의 말 :
낮은 곳이라고 말씀드렸지 않습니까?
차형규 님의 말 :
야생동물에대해서는 자세히 나와있지 않으므로
차형규 님의 말 :
제외된다고 해봅시다.
정예린 님의 말 :
그래요.
차형규 님의 말 :
야생동물 말고도 목장사람들은 당장 생계가 걱정되는것 같은데요
차형규 님의 말 :
목장을 하던 사람들이 어디로 가서 목장을 할까요?
차형규 님의 말 :
보상이 된다고해도
차형규 님의 말 :
그분들이 평생 먹고 살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차형규 님의 말 :

차형규 님의 말 :
환경문제에 대해서 말씀하셨는데
차형규 님의 말 :
제 생각으로는 가지역은 정수시설을 강에 설치하면 되는것 같은대에 비해
차형규 님의 말 :
라지역은 물길을 찾을수가 없으니 어디에 정수시설을 설치하실것이죠?
정예린 님의 말 :
라지역도 강근처에 설치하면 되지 않을까요?
정예린 님의 말 :
그러면 가지역은 물길을 찾을 수 있어요?
차형규 님의 말 :
훗. 가지역은 하천과 가깝다는 이유로 하천오염으 위험이 거론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3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