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선생님 님의 말 :
지금부터
선생님 님의 말 :
호나경기초시설설치에 관한 모의토른을 시작하겠습니다
선생님 님의 말 :
환경
선생님 님의 말 :
가나다라 지역중에서어느곳이 쓰레기 메립장을 설치하는데 적절한지
선생님 님의 말 :
자기의 의견을 말하여 주세요
정예린 님의 말 :
저는 라지역에 매립장을 설치하는데 적합할 것 같아요
차형규 님의 말 :
저는 가지역이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차형규 님의 말 :
익존입니다.
차형규 님의 말 :
형규:저는 라지역을 찬성합니다
선생님 님의 말 :
정예린 어린이는 라지역, 이익존 어린이는 가지역, 형규어린이는 라지역에 찬성한다고 했습니다
선생님 님의 말 :
그러한 이유를 말씀해주세요
정예린 님의 말 :
지금부터
선생님 님의 말 :
호나경기초시설설치에 관한 모의토른을 시작하겠습니다
선생님 님의 말 :
환경
선생님 님의 말 :
가나다라 지역중에서어느곳이 쓰레기 메립장을 설치하는데 적절한지
선생님 님의 말 :
자기의 의견을 말하여 주세요
정예린 님의 말 :
저는 라지역에 매립장을 설치하는데 적합할 것 같아요
차형규 님의 말 :
저는 가지역이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차형규 님의 말 :
익존입니다.
차형규 님의 말 :
형규:저는 라지역을 찬성합니다
선생님 님의 말 :
정예린 어린이는 라지역, 이익존 어린이는 가지역, 형규어린이는 라지역에 찬성한다고 했습니다
선생님 님의 말 :
그러한 이유를 말씀해주세요
정예린 님의 말 :
본문내용
을까요?
차형규 님의 말 :
형규:무엇보다도 인구가 많다..
정예린 님의 말 :
가지역의 장점은 수질오염 빼고는 별로 문제가 없다.그리고 평야는 아니지만 가장 무난한 것 같은데요.
차형규 님의 말 :
형규:일단은 물의오염이 심하기때문에.. 물을좀 깨끗하게 만든후에 살면 더좋지않을까요??
선생님 님의 말 :
가지역의 단점을 무엇일까요?
정예린 님의 말 :
가지역의 단점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예산이 적당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정예린 님의 말 :
그리고 하천과 가까워 환경전문가가 가지역은 물 오염이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정예린 님의 말 :
환경 운동가
정예린 님의 말 :
그리고 쓰레기를 매립하려면 넓은 땅이 있어야 하는데 가는 그렇게 땅이 넓지는 않은 것 같아요.
정예린 님의 말 :
작지는 않겠지만요.
차형규 님의 말 :
형규:그리고 또 제일 먼저 가지역이 좀 땅이 넓 기는 하지만은 그래도 라지역도 그렇게 짧지 않의니 가지역을 쓰레기 매립장 을 하기가 딱좋은 상태인거같아요..
차형규 님의 말 :
가지역에 쓰레기를 설치한다면은 그 오염된물들이 더 오염돼서 다른곳에 옴겨다 니면서.. 않좋은 물들이 돼어 건강을 해칠거 같습니다..
선생님 님의 말 :
라 지역에 설치할시의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정예린 님의 말 :
라지역에 매립장을 설치했을 때 장점은 일단 예산이 적당할 것 같고요. 또 넓은 땅이 있기 때문에 쓰레기를 묻고 매립하기에는 좋은 것 같습니다.
차형규 님의 말 :
라지역은 무엇보다도 공장이 없지만 그래도 물도 좀 괜찮은 편이고 공장들도 없고 쓰레기를 버리기에 딱좋죠..
정예린 님의 말 :
그리고 산 쪽에 버리면 다른 평평한 곳보다는 악취가 많이 나지 않을것 같아요.
선생님 님의 말 :
라 지역의 단점은 무엇일까요?
차형규 님의 말 :
익존 : 보상문제와 수질오염의 위험성이죠.
차형규 님의 말 :
라지역은 산지지역이므로
차형규 님의 말 :
쓰레기를 매립을하면
차형규 님의 말 :
밑으로 오염된 지하수가 빠져나갈것이죠.
정예린 님의 말 :
수질오염의 문제는 가지역처럼 정수시설을 만들면 될 것 같은데요.
차형규 님의 말 :
그게 문제입니다.
정예린 님의 말 :
지하수라...
차형규 님의 말 :
라지역은 땅속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정수시설을 제데로 설치하여서 정수가 제데로 될지 확실치 않다는 것이죠.
차형규 님의 말 :
그리고 목장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은
차형규 님의 말 :
그만큼 환경이 잘 보존되었다는 이야기인것 같은데요
정예린 님의 말 :
그것은 가 지역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가 지역도 쓰레기를 묻을 거니까요.
차형규 님의 말 :
그러면 라지역도 환경운동가의 거센 반발이 예측되고요
차형규 님의 말 :
가. 라지역 모두 지반에 대해서 나와있지 않기때문에
차형규 님의 말 :
오염된 빗물등이
차형규 님의 말 :
스며들어서 유출될지 안될지는 모르겠으나
차형규 님의 말 :
산지라는 조건이 있기때문에
차형규 님의 말 :
어디로 오염된 물이 흘러 들어갈지 모른다는 것이죠
정예린 님의 말 :
가 지역도 산지입니다.
차형규 님의 말 :
가지역은 강이 옆에있다면
차형규 님의 말 :
더군다나 산이라면.
차형규 님의 말 :
물은 흐르는곳으로 흐르지 않을까요?
차형규 님의 말 :
계속해서 흘러왔다는 것은 오염된 물들이 강쪽으로 흘러들어가서 수질오염이 된다는 말이었습니다.
선생님 님의 말 :
가지역의 문제 : 하천이 가까이 있다
차형규 님의 말 :
그러므로 가지역은 하천쪽에 정수처리시설을 하면 하천오염의 가능성을 90%이상 줄일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 님의 말 :
라지역의 문제 : 하천오염위험...주변의 주택
선생님 님의 말 :
가지역의 문제 : 예산문제
차형규 님의 말 :
가지역은 사람이 살고있다고 구체적으로 나와있지 않기때문에 보상문제는 제외된다고 생각하는데요.
정예린 님의 말 :
보상이 문제되지 않는다고 해도 땅 주인은 있을 것 같은데요.
차형규 님의 말 :
제말은 보상문제의 가격이 적다는 것이죠.
차형규 님의 말 :
아무것도 없는땅에 보상을 받는다면
차형규 님의 말 :
땅주인 입장으로는 훨씬더 이득이지 않을까요
차형규 님의 말 :
라지역은 미래를 볼때 더많은 예산이 들수있을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차형규 님의 말 :
하천오염과 그 주변에서 살고있었던 야생동물들에게도 피해가 갈것이고 라지역에서 다지역에게 피해를 끼칠수 있다고 합니다.
차형규 님의 말 :
다지역사람들의 땅값에 대한것도 예민할거라고 생각하고요.
정예린 님의 말 :
가지역도 하천오염이되지 않을까요?
정예린 님의 말 :
그리고 가지역에도 야생동물이 있을 것이고요.
차형규 님의 말 :
가지역은 고지대라고만 나와있고
차형규 님의 말 :
산지라고는 나와있지 않은것 같습니다.
차형규 님의 말 :
물론 야생동물이 있겠지만
정예린 님의 말 :
그래도 등고선이 그려져 있는 것 같은데...
차형규 님의 말 :
산지가 많은 라지역보다는, 원래 동물을 키우던 곳에 야생동물이 많지 않을까요
차형규 님의 말 :
그리고 가지역의 등고선은 40이고 라지역은 100가까이로 보입니다.
정예린 님의 말 :
그래도 산지이기는 한 것 같은데요.
차형규 님의 말 :
낮은 곳이라고 말씀드렸지 않습니까?
차형규 님의 말 :
야생동물에대해서는 자세히 나와있지 않으므로
차형규 님의 말 :
제외된다고 해봅시다.
정예린 님의 말 :
그래요.
차형규 님의 말 :
야생동물 말고도 목장사람들은 당장 생계가 걱정되는것 같은데요
차형규 님의 말 :
목장을 하던 사람들이 어디로 가서 목장을 할까요?
차형규 님의 말 :
보상이 된다고해도
차형규 님의 말 :
그분들이 평생 먹고 살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차형규 님의 말 :
또
차형규 님의 말 :
환경문제에 대해서 말씀하셨는데
차형규 님의 말 :
제 생각으로는 가지역은 정수시설을 강에 설치하면 되는것 같은대에 비해
차형규 님의 말 :
라지역은 물길을 찾을수가 없으니 어디에 정수시설을 설치하실것이죠?
정예린 님의 말 :
라지역도 강근처에 설치하면 되지 않을까요?
정예린 님의 말 :
그러면 가지역은 물길을 찾을 수 있어요?
차형규 님의 말 :
훗. 가지역은 하천과 가깝다는 이유로 하천오염으 위험이 거론
차형규 님의 말 :
형규:무엇보다도 인구가 많다..
정예린 님의 말 :
가지역의 장점은 수질오염 빼고는 별로 문제가 없다.그리고 평야는 아니지만 가장 무난한 것 같은데요.
차형규 님의 말 :
형규:일단은 물의오염이 심하기때문에.. 물을좀 깨끗하게 만든후에 살면 더좋지않을까요??
선생님 님의 말 :
가지역의 단점을 무엇일까요?
정예린 님의 말 :
가지역의 단점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예산이 적당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정예린 님의 말 :
그리고 하천과 가까워 환경전문가가 가지역은 물 오염이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정예린 님의 말 :
환경 운동가
정예린 님의 말 :
그리고 쓰레기를 매립하려면 넓은 땅이 있어야 하는데 가는 그렇게 땅이 넓지는 않은 것 같아요.
정예린 님의 말 :
작지는 않겠지만요.
차형규 님의 말 :
형규:그리고 또 제일 먼저 가지역이 좀 땅이 넓 기는 하지만은 그래도 라지역도 그렇게 짧지 않의니 가지역을 쓰레기 매립장 을 하기가 딱좋은 상태인거같아요..
차형규 님의 말 :
가지역에 쓰레기를 설치한다면은 그 오염된물들이 더 오염돼서 다른곳에 옴겨다 니면서.. 않좋은 물들이 돼어 건강을 해칠거 같습니다..
선생님 님의 말 :
라 지역에 설치할시의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정예린 님의 말 :
라지역에 매립장을 설치했을 때 장점은 일단 예산이 적당할 것 같고요. 또 넓은 땅이 있기 때문에 쓰레기를 묻고 매립하기에는 좋은 것 같습니다.
차형규 님의 말 :
라지역은 무엇보다도 공장이 없지만 그래도 물도 좀 괜찮은 편이고 공장들도 없고 쓰레기를 버리기에 딱좋죠..
정예린 님의 말 :
그리고 산 쪽에 버리면 다른 평평한 곳보다는 악취가 많이 나지 않을것 같아요.
선생님 님의 말 :
라 지역의 단점은 무엇일까요?
차형규 님의 말 :
익존 : 보상문제와 수질오염의 위험성이죠.
차형규 님의 말 :
라지역은 산지지역이므로
차형규 님의 말 :
쓰레기를 매립을하면
차형규 님의 말 :
밑으로 오염된 지하수가 빠져나갈것이죠.
정예린 님의 말 :
수질오염의 문제는 가지역처럼 정수시설을 만들면 될 것 같은데요.
차형규 님의 말 :
그게 문제입니다.
정예린 님의 말 :
지하수라...
차형규 님의 말 :
라지역은 땅속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정수시설을 제데로 설치하여서 정수가 제데로 될지 확실치 않다는 것이죠.
차형규 님의 말 :
그리고 목장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은
차형규 님의 말 :
그만큼 환경이 잘 보존되었다는 이야기인것 같은데요
정예린 님의 말 :
그것은 가 지역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가 지역도 쓰레기를 묻을 거니까요.
차형규 님의 말 :
그러면 라지역도 환경운동가의 거센 반발이 예측되고요
차형규 님의 말 :
가. 라지역 모두 지반에 대해서 나와있지 않기때문에
차형규 님의 말 :
오염된 빗물등이
차형규 님의 말 :
스며들어서 유출될지 안될지는 모르겠으나
차형규 님의 말 :
산지라는 조건이 있기때문에
차형규 님의 말 :
어디로 오염된 물이 흘러 들어갈지 모른다는 것이죠
정예린 님의 말 :
가 지역도 산지입니다.
차형규 님의 말 :
가지역은 강이 옆에있다면
차형규 님의 말 :
더군다나 산이라면.
차형규 님의 말 :
물은 흐르는곳으로 흐르지 않을까요?
차형규 님의 말 :
계속해서 흘러왔다는 것은 오염된 물들이 강쪽으로 흘러들어가서 수질오염이 된다는 말이었습니다.
선생님 님의 말 :
가지역의 문제 : 하천이 가까이 있다
차형규 님의 말 :
그러므로 가지역은 하천쪽에 정수처리시설을 하면 하천오염의 가능성을 90%이상 줄일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 님의 말 :
라지역의 문제 : 하천오염위험...주변의 주택
선생님 님의 말 :
가지역의 문제 : 예산문제
차형규 님의 말 :
가지역은 사람이 살고있다고 구체적으로 나와있지 않기때문에 보상문제는 제외된다고 생각하는데요.
정예린 님의 말 :
보상이 문제되지 않는다고 해도 땅 주인은 있을 것 같은데요.
차형규 님의 말 :
제말은 보상문제의 가격이 적다는 것이죠.
차형규 님의 말 :
아무것도 없는땅에 보상을 받는다면
차형규 님의 말 :
땅주인 입장으로는 훨씬더 이득이지 않을까요
차형규 님의 말 :
라지역은 미래를 볼때 더많은 예산이 들수있을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차형규 님의 말 :
하천오염과 그 주변에서 살고있었던 야생동물들에게도 피해가 갈것이고 라지역에서 다지역에게 피해를 끼칠수 있다고 합니다.
차형규 님의 말 :
다지역사람들의 땅값에 대한것도 예민할거라고 생각하고요.
정예린 님의 말 :
가지역도 하천오염이되지 않을까요?
정예린 님의 말 :
그리고 가지역에도 야생동물이 있을 것이고요.
차형규 님의 말 :
가지역은 고지대라고만 나와있고
차형규 님의 말 :
산지라고는 나와있지 않은것 같습니다.
차형규 님의 말 :
물론 야생동물이 있겠지만
정예린 님의 말 :
그래도 등고선이 그려져 있는 것 같은데...
차형규 님의 말 :
산지가 많은 라지역보다는, 원래 동물을 키우던 곳에 야생동물이 많지 않을까요
차형규 님의 말 :
그리고 가지역의 등고선은 40이고 라지역은 100가까이로 보입니다.
정예린 님의 말 :
그래도 산지이기는 한 것 같은데요.
차형규 님의 말 :
낮은 곳이라고 말씀드렸지 않습니까?
차형규 님의 말 :
야생동물에대해서는 자세히 나와있지 않으므로
차형규 님의 말 :
제외된다고 해봅시다.
정예린 님의 말 :
그래요.
차형규 님의 말 :
야생동물 말고도 목장사람들은 당장 생계가 걱정되는것 같은데요
차형규 님의 말 :
목장을 하던 사람들이 어디로 가서 목장을 할까요?
차형규 님의 말 :
보상이 된다고해도
차형규 님의 말 :
그분들이 평생 먹고 살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차형규 님의 말 :
또
차형규 님의 말 :
환경문제에 대해서 말씀하셨는데
차형규 님의 말 :
제 생각으로는 가지역은 정수시설을 강에 설치하면 되는것 같은대에 비해
차형규 님의 말 :
라지역은 물길을 찾을수가 없으니 어디에 정수시설을 설치하실것이죠?
정예린 님의 말 :
라지역도 강근처에 설치하면 되지 않을까요?
정예린 님의 말 :
그러면 가지역은 물길을 찾을 수 있어요?
차형규 님의 말 :
훗. 가지역은 하천과 가깝다는 이유로 하천오염으 위험이 거론
추천자료
사형 제도에 대한 찬반 토론 연구보고서
미용성형에 대한 찬반 토론- 찬성입장
혼전동거에 대한 영어회화 찬반토론
환경운동과 시민참여
탈민족 시대,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찬반 토론//발표자료
장기매매 관련 법에 대한 발표 토론
사회복지 조직에서 인사관리가 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인사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을 ...
[레포트] 오답노트의 필요성에 대한 찬반 토론
진보와 보수 세력의 갈등구조에서 과연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정책방향은 어떻게 가야할지 토...
스페인 투우(鬪牛)에 대한 찬반 토론
맞벌이 부모를 위해 정부에서 실시되는 온종일 돌봄 보육 사업에 대해 장단점을 토론하고 개...
최근 저출산이 사회문제가 되면서 무자녀가족에 대한 논란이 증가하고 있다. 무자녀 가족에 ...
보육교사 - 6가지 토론 주제에 대한 나의 생각
결혼에 대한 이해와 오해들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서로가 진짜 사랑한다면 해결 못할 문제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