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 본론
1. 한국의 고유사상
1) 단군 사상
2) 풍류도
2. 한국의 유교, 불교, 도교, 실학
1) 한국 유교와 성리학
2) 한국 불교
3) 한국 도교
4) 실학 사상
3. 한국인의 무속 모습
4. 한국 근대 민족종교사상
Ⅲ. 결론
Ⅱ. 본론
1. 한국의 고유사상
1) 단군 사상
2) 풍류도
2. 한국의 유교, 불교, 도교, 실학
1) 한국 유교와 성리학
2) 한국 불교
3) 한국 도교
4) 실학 사상
3. 한국인의 무속 모습
4. 한국 근대 민족종교사상
Ⅲ. 결론
본문내용
하는 것으로 전통사회에서는 예언의 필요성 때문에 설치된 기관으로서 국가의 공공기관인 관상람(觀象藍)이나 서운관(書雲觀) 등의 존재가 인정되었다. 무속은 단군까지 거슬러 올라가 그 연원을 찾아볼 수 있으며 과거부터 현재까지 무속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너무 무속에 의지를 하게 되면, 노력은 안하고 바라기만 하는 등 인간 본연의 합리성을 잃게되기도 한다. 무속은 현대인의 정신적 방황을 치유해줄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되겠다.
4. 한국 근대 민족종교사상
1800년대를 기점으로 한 19세기는 새로운 세계가 열리는 시기로 이때까지 있었던 사상, 이론이 뒤집어지고 음과 양이 교체되었다. 이를 개벽이라고도 하는데 이 시기 새로운 형식의 사유패턴이 한국에도 민족종교형식으로 나타났다. 한국 민중 사상을 보면 음의 시대에서 양의 시대로 바뀌었는데 이러한 양의 시대로 바뀐 예로 양반 중심에서 민중 중심으로 바뀌고, 남자 중심에서 여자 중심으로. 이성 중심에서 감성 중심으로 바뀜을 들 수 있다. 이 시기 천도교, 증산교, 원불교 등이 형성되었으며 한국의 종교에는 새로운 종교형태가 500여개가 넘었다. 이렇게 급속하게 새로운 종교가 형성되게 되는 원인에는 4가지 이론이 있는데 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①아노미 이론 : 사회에 급격한 변화가 나타났을 때 자살율이 급증하고 질서가 교란된다 → 이러한 혼란이 아노미 상태이다. →이때 새로운 종교가 나타났다.
②르상티만 이론 : 증오와 보복의 복합감정에 의해 나타나는 이론이다.
③상대적인 박탈감 : 합법적인 원망과 현실과 이상사이의 갈등, 불평등한 감정, 상대적인 박탈감이 나타난다.
④ 문화접변 이론 : 발달된 문화가 미개의 문화에 접촉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새로운 종교는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 시기 상황을 보면 정치사회경제적 불안, 종교사상적 위기 등 이루 헤아릴 수 없는 많은 문제를 지닌 어려운 상황이었다. 특히 이 당시 종교적 상황을 보면 당시 한국의 종교는 고대로부터 내려오던 무속을 비롯해서 불교, 유교, 도교, 그리고 서교 등이 공존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기존의 종교들은 역할과 사명을 다하지 못하고 대부분의 종교들이 현실 부정 등, 종말론적 메시아니즘의 현상을 드러내고 있었다. 결국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종교들은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러한 종교들 중 대표적으로 천도교와 증산교, 원불교를 들 수 있다. 이 종교들은 공통적으로 개벽사상과 선민사상, 민족주의적 사상을 띄고 있다. 또 인존사상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천도교의 동학에서는 ‘사람이 곧 하늘이다(人乃天)’라는 말에도 인존사상은 담겨져 있다. 또 ‘천존(天尊)과 지존(至尊)보다 인존(人尊)이 크니 이제는 인존시대니라’, ‘신은 사람이 부리는 데 따라서 흠향(歆饗)이 되느니라’ 라고 말한 증산교의 교리, 그리고 삼진귀일(三眞歸一)과 홍익인간의 이념을 강조하는 대종교 교리 즉, ‘내가 대하고 있는 모든 사물을 부처님 모시듯 하는 공겸심과 경외심을 갖고 생활하라’, ‘만유 전체를 부처님과 같이 공경하는 처처불상(處處佛像) 사사불공(私事佛供)하라’는 원불교의 법신불 일원상 신앙과 가르침 등은 인간을 신과 거의 동격으로 보거나 또는 신보다 더 고귀하고 더 존엄한 존재임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인존정신이 발전하여 종교들은 이타정신을 강조하였는데 이 정신이야말로 바로 보살정신이다. 이는 다른 사람이 잘되는 것으로 나의 즐거움을 삼는, 차원 높은 정신인 것이다. 이기적이 아닌 이타적인 삶을 강조하였으며, 상생의 원리를 주장하며 모두가 대립의 상황이 아닌, 양반과 상놈의 차별, 남녀의 차별이 없어지는 평등의 사상을 펼치고자 하였다.
Ⅲ. 결론
이상과 같이 한국사상의 흐름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사상은 단군에서부터 시작하여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의 문화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자연환경과 결합하여 독특한 사상체계를 발전시켜 왔다. 한국사상은 불교, 유교, 도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민중들의 사상에 있어서는 주로 무속이 다른 유교, 불교, 도교 등의 사상과 결합하여 그 모습을 띄고 있었다. 한국사상의 모습은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중국 철학 사상의 모습을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모습과 달리 고유의 독특한 모습 또한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고유의 사상체계는 한국인의 정신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앞으로도 잘 발전시켜 세계화 시대에 있어 한국인이라는 자부심과 주체성을 잃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4. 한국 근대 민족종교사상
1800년대를 기점으로 한 19세기는 새로운 세계가 열리는 시기로 이때까지 있었던 사상, 이론이 뒤집어지고 음과 양이 교체되었다. 이를 개벽이라고도 하는데 이 시기 새로운 형식의 사유패턴이 한국에도 민족종교형식으로 나타났다. 한국 민중 사상을 보면 음의 시대에서 양의 시대로 바뀌었는데 이러한 양의 시대로 바뀐 예로 양반 중심에서 민중 중심으로 바뀌고, 남자 중심에서 여자 중심으로. 이성 중심에서 감성 중심으로 바뀜을 들 수 있다. 이 시기 천도교, 증산교, 원불교 등이 형성되었으며 한국의 종교에는 새로운 종교형태가 500여개가 넘었다. 이렇게 급속하게 새로운 종교가 형성되게 되는 원인에는 4가지 이론이 있는데 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①아노미 이론 : 사회에 급격한 변화가 나타났을 때 자살율이 급증하고 질서가 교란된다 → 이러한 혼란이 아노미 상태이다. →이때 새로운 종교가 나타났다.
②르상티만 이론 : 증오와 보복의 복합감정에 의해 나타나는 이론이다.
③상대적인 박탈감 : 합법적인 원망과 현실과 이상사이의 갈등, 불평등한 감정, 상대적인 박탈감이 나타난다.
④ 문화접변 이론 : 발달된 문화가 미개의 문화에 접촉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새로운 종교는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 시기 상황을 보면 정치사회경제적 불안, 종교사상적 위기 등 이루 헤아릴 수 없는 많은 문제를 지닌 어려운 상황이었다. 특히 이 당시 종교적 상황을 보면 당시 한국의 종교는 고대로부터 내려오던 무속을 비롯해서 불교, 유교, 도교, 그리고 서교 등이 공존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기존의 종교들은 역할과 사명을 다하지 못하고 대부분의 종교들이 현실 부정 등, 종말론적 메시아니즘의 현상을 드러내고 있었다. 결국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종교들은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러한 종교들 중 대표적으로 천도교와 증산교, 원불교를 들 수 있다. 이 종교들은 공통적으로 개벽사상과 선민사상, 민족주의적 사상을 띄고 있다. 또 인존사상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천도교의 동학에서는 ‘사람이 곧 하늘이다(人乃天)’라는 말에도 인존사상은 담겨져 있다. 또 ‘천존(天尊)과 지존(至尊)보다 인존(人尊)이 크니 이제는 인존시대니라’, ‘신은 사람이 부리는 데 따라서 흠향(歆饗)이 되느니라’ 라고 말한 증산교의 교리, 그리고 삼진귀일(三眞歸一)과 홍익인간의 이념을 강조하는 대종교 교리 즉, ‘내가 대하고 있는 모든 사물을 부처님 모시듯 하는 공겸심과 경외심을 갖고 생활하라’, ‘만유 전체를 부처님과 같이 공경하는 처처불상(處處佛像) 사사불공(私事佛供)하라’는 원불교의 법신불 일원상 신앙과 가르침 등은 인간을 신과 거의 동격으로 보거나 또는 신보다 더 고귀하고 더 존엄한 존재임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인존정신이 발전하여 종교들은 이타정신을 강조하였는데 이 정신이야말로 바로 보살정신이다. 이는 다른 사람이 잘되는 것으로 나의 즐거움을 삼는, 차원 높은 정신인 것이다. 이기적이 아닌 이타적인 삶을 강조하였으며, 상생의 원리를 주장하며 모두가 대립의 상황이 아닌, 양반과 상놈의 차별, 남녀의 차별이 없어지는 평등의 사상을 펼치고자 하였다.
Ⅲ. 결론
이상과 같이 한국사상의 흐름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사상은 단군에서부터 시작하여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의 문화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자연환경과 결합하여 독특한 사상체계를 발전시켜 왔다. 한국사상은 불교, 유교, 도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민중들의 사상에 있어서는 주로 무속이 다른 유교, 불교, 도교 등의 사상과 결합하여 그 모습을 띄고 있었다. 한국사상의 모습은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중국 철학 사상의 모습을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모습과 달리 고유의 독특한 모습 또한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고유의 사상체계는 한국인의 정신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앞으로도 잘 발전시켜 세계화 시대에 있어 한국인이라는 자부심과 주체성을 잃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미술에 있어서 무작위의 사상적 근원
한국교회 성령운동의 역사적 흐름
한국 고대 사회 발전과 불교사상
한국 현대 교육사와 교육사상가
한국의 문학사의 시대적 흐름과 문학 이론(기원)
한국 고대 유교 사상의 특성
한국 현대 조경의 흐름
한국 불교의 역사와 흐름 -불교의 전래부터 조계종불교정화운동까지-
[민족주의][한국민족주의][민족주의사상]민족주의의 개념, 한국 민족주의, 동학민족주의, 일...
한국의 경료 효친 사상
한국경제에 짐으로 작용하는 외환 흐름(환율)과 국가/지방 부채, 물가와 이로 인한 국가경제...
한일어업협정의 흐름과 문제점으로 거론되는 독도 문제 및 한국과 일본의 국내적 반응들에 대...
한국 불교 및 원효 사상
A+ 경제사상사 리포트(한국의 1997년 경제위기/IMF)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