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느끼거나 하는 것이 아니며 단순히 맹목적으로 신을 거절할 뿐이다. 요컨데 자신이 받은 깊은 상처 때문에 생긴 분노가 진리를 가로막는 경우 발생하는 인간 유형이다.
이상적인 인간
그는 다양하고 심층적으로 절망적 인간을 분석했는데 단순히 분석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이상적인 인간을 제시함으로써 절망으로부터의 나름대로의 해결책도 마련하였다. 그것이 설사 인간으로선 거의 불가능할 꿈에 불과할지라도.
그가 제시한 이상적 인간상은 앞서 언급한 절망자의 분석에 다 드러난 것이었기도 한다. 그는 ‘신은 일체를 가능하게 한다.’는 성경의 구절을 이용하며 구원은 하늘로부터 내려온다고 했다. 그런데 위에 언급했듯이 신이 인간에게 진리를 알려 주었을 때 이성(혹은 오성)은 파괴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성은 인간에게 있어서 의지할 수 있는 전부이기도 하다. 따라서 인간의 구원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어린 아이의 그것과 같은 무한한 체념이다.
이때 이상적 인간으로 등장하는 인물이 바로 구약의 <아브라함>이다. 아브라함은 하나님께 아들을 제물로 바치기 위해 오랜 시간 산을 걸어 올라간다. 아브라함은 평생을 기다리다가 할아버지가 되어서야 아들을 얻었기 때문에 그에게 아들은 목숨보다 귀한 존재이다. 이런 아브라함에게 아들을 제물로 바친다는 사건은 윤리적 범주의 살인을 훨씬 뛰어넘은 극단적인 체념을 요구하는 일이다. 자신의 목숨을 누군가를 위해 온전히 바치는 데는 인간의 역량을 넘을 무한한 체념을 필요로 한다. 한때 자신의 목숨을 바치겠다고 굳을 결심을 할지라도 막상 현실에서는 기왕의 체념보다는 오히려 살고자 하는 본능을 가진 것이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는 자신의 목숨보다 소중한 존재를 제물로 바치려고 며칠 동안 산을 걸어 올라간다. 이는 광신이고, 신 앞에 선 무한한 체념이다. 흔히들 이 일화를 아브라함의 순종과 그것에 대한 미리 예비된 양으로 그 양쪽을 대등하게 여기고서 설교를 하고, 현실에서는 기복 신앙을 설파하지만 키에르케고르는 실존적 인간이 신을 어떻게 믿는가를 연구하면서 아브라함의 이해 불가능한 역설적인 무한한 체념을 생각했던 것이다. 예비된 양이 있는 사실은 아브라함에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 마치 나사로가 되살아난 것이 전혀 문제가 아니라 오히려 그 앞에 그 자체로 \'생명이요 진리\'인 예수라는 존재가 중요했던 것처럼 양이 미리 예비 되어 있던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완전히 신 앞에 체념한 채로 한발 한발을 내
이상적인 인간
그는 다양하고 심층적으로 절망적 인간을 분석했는데 단순히 분석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이상적인 인간을 제시함으로써 절망으로부터의 나름대로의 해결책도 마련하였다. 그것이 설사 인간으로선 거의 불가능할 꿈에 불과할지라도.
그가 제시한 이상적 인간상은 앞서 언급한 절망자의 분석에 다 드러난 것이었기도 한다. 그는 ‘신은 일체를 가능하게 한다.’는 성경의 구절을 이용하며 구원은 하늘로부터 내려온다고 했다. 그런데 위에 언급했듯이 신이 인간에게 진리를 알려 주었을 때 이성(혹은 오성)은 파괴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성은 인간에게 있어서 의지할 수 있는 전부이기도 하다. 따라서 인간의 구원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어린 아이의 그것과 같은 무한한 체념이다.
이때 이상적 인간으로 등장하는 인물이 바로 구약의 <아브라함>이다. 아브라함은 하나님께 아들을 제물로 바치기 위해 오랜 시간 산을 걸어 올라간다. 아브라함은 평생을 기다리다가 할아버지가 되어서야 아들을 얻었기 때문에 그에게 아들은 목숨보다 귀한 존재이다. 이런 아브라함에게 아들을 제물로 바친다는 사건은 윤리적 범주의 살인을 훨씬 뛰어넘은 극단적인 체념을 요구하는 일이다. 자신의 목숨을 누군가를 위해 온전히 바치는 데는 인간의 역량을 넘을 무한한 체념을 필요로 한다. 한때 자신의 목숨을 바치겠다고 굳을 결심을 할지라도 막상 현실에서는 기왕의 체념보다는 오히려 살고자 하는 본능을 가진 것이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는 자신의 목숨보다 소중한 존재를 제물로 바치려고 며칠 동안 산을 걸어 올라간다. 이는 광신이고, 신 앞에 선 무한한 체념이다. 흔히들 이 일화를 아브라함의 순종과 그것에 대한 미리 예비된 양으로 그 양쪽을 대등하게 여기고서 설교를 하고, 현실에서는 기복 신앙을 설파하지만 키에르케고르는 실존적 인간이 신을 어떻게 믿는가를 연구하면서 아브라함의 이해 불가능한 역설적인 무한한 체념을 생각했던 것이다. 예비된 양이 있는 사실은 아브라함에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 마치 나사로가 되살아난 것이 전혀 문제가 아니라 오히려 그 앞에 그 자체로 \'생명이요 진리\'인 예수라는 존재가 중요했던 것처럼 양이 미리 예비 되어 있던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완전히 신 앞에 체념한 채로 한발 한발을 내
추천자료
안락사에 관한 레포트
유진스미스
우메자키 하루오의 사쿠라지마를 읽고...
[독후감/서평/요약]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을 읽고
읽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안락사(安樂死)는 허용 되어야 하는가 허용 된다면 그 범위
(노인복지) 노인의 특성 분석과 노인을 위한 노인의 주거환경 개선 방안 (구체적이고, 실제적...
노인복지 문제의 실태와 문제점 및 노인복지 방안 (2007년 우수레포트 선정)
[간호학]ADI 대상자 간호 (급성 약물 중독)
임종기의 의의와 단계, 특성과 증상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
조울증의 진단 및 치료 - 영화 미스터 존스(Mr. Jones) 를 중심으로
말기암 환자에 대한 간호윤리
등교거부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