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이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직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직의 유용성
2. 권력자의 권력행사 방식
3. 일반인의 조직 가능성
4. 조직만들기의 이점
5. 조직의 주체
6. 조직을 만드는 이유와 만들지 않는 이유
7. 조직구성의 시기 및 방법
8. 조직구성의 장소
9. 조직의 출발
10. 조직의 시작
11. 조직구조의 쟁점

으로 구성되었습니다. 6장의 분량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문내용

영리 or 영리, 이슈)
11. 조직구조의 쟁점
: 조직에 특별히 알맞은 크기란 없다. 일을 수행하기에 적합하고 모든 사람이 소속과 참여의 느낌을 느낄 수 있을 만큼 작아야 한다.
1) 구성인원 :
조직이 관심을 갖는 이슈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조직의 입장을 공유하는 사람으로 구성원을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신념과 목표에 대한 공감이 필요하다.
2) 좋은 구조 :
- 좋은 구조란 소속과 참여의 느낌을 주고, 생각하는 것을 이야기할 기회를 주고, 조직에서 의미있는 역할을 담당할 기회를 주는 구조를 의미한다.
- 정부기관이나 기업과 달리 우리 조직의 권력은 구성원들로부터 온다.
- 소규모의 느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작은 단위로 쪼개거나 지부를 갖는 것. 단, 지부 구성원이 지부수준을 넘어서는 의사결정에 발언할 수 있다는 느낌을 느끼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3) 좋은 리더쉽 구조 :
- 조직이 성숙하기까지 지도력을 고정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 조직초기 단계의 지도자가 장기적으로도 가장 적합한 지도가 아닐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4) 법인 :
- 법인 전략가들이 정책결정 결과로 권력층과 부유층에 불리한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 고안해 내는 합법적인 책략이다. 조직이 법인이 될 때, 전체 조직은 하나의 개인으로 취급된다.
- 법인은 위원회 구성원이 외부의 공격에 대비하는 데 어느 정도 보호막이 된다.
- 주로 사적 비영리 지위를 획득하고자 할 때 필요하다. 현재와 미래의 조직의 역할에 대해 분명히 하고 신중한 계획과 구성원의 생각을 거쳐야 한다.
5) 지부 :
- 지부는 대형조직이 각 개인 구성원에게 작게 느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국지적인 행동의 자유가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6) 합병의 문제 :
- 시와 주, 국가 수준에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힘을 원하게 될 때 합병을 고려하게 된다.
- 소규모 집단이 대규모 집단이 되기로 했을 때는 매우 신중해야 한다. 소규모집단의 의사결정의 독립성과 어떤 영역에서의 활동이 제약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집단의 지도자와 구성원의 주의 깊은 생각과 토의가 필요하다. 이 때 집단 간의 관계를 결정짓는 조건을 명료화하여 이러한 합병의 장단점 모두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참고문헌
지역사회복지 실천전략 : Organizing, a guide for grassroots leaders by Si Kahn, 1991.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64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