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거래처리시스템(TPS)
2. 경영정보시스템(MIS)
3.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
4. 지식관리시스템(KMS)
5. 데이터베이스 DBMS
6. 전사적자원관리(ERP)
참고문헌
2. 경영정보시스템(MIS)
3.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
4. 지식관리시스템(KMS)
5. 데이터베이스 DBMS
6. 전사적자원관리(ERP)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듈로 분류된다. 하부 시스템과 모듈은 ERP의 특성 상 동일기업내의 독립된 조직을 분산,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하며, 기업간의 정보교환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분산된 조직이나 기업간의 정보도 처리되어야 하므로, 단일복수 제품이나 서비스의 지원, 단일복합 조직 지원, 단일복합 국가지원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 영업관리 하부 시스템 : 영업관리는 기업의 영업 및 마케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하부 시스템이다.
- 계획관리 하부 시스템 : 계획관리는 수요와 공급을 계획하는 데 필요한 기능이 포함되는
하부 시스템이다.
- 제조실행 하부 시스템 : 제조실행은 제조업의 생산 현장을 관리, 통제하는 기능이 포함된
하부 시스템이다.
- 기준정보관리 하부 시스템 : 기준정보관리는 기업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관리하는
하부 시스템이다.
- 공급망관리 하부 시스템 : 공급망관리는 제조활동에 필요한 물적 흐름을 관리 및 통제하
기 위해 기업 내부와 외부의 물류거점을 포괄적으로 관리하기 위
한 하부 시스템이다.
- 인적자원관리 하부 시스템 : 인적자원관리는 기업 조직 및 구성원과 관련한 업무를 관장
하는 시스템이다.
- 회계 및 재무관리 하부 시스템 : 회계 및 재무관리는 기업의 현금 및 자산에 대한 관리
및 통제기능을 수행하는 하부 시스템이다.
- 원가통제 하부 시스템 : 원가통제는 비용 및 이익관리를 위한 지원기능으로서 원가계산
관련 기능이 지원되는 하부 시스템이다.
ERP 지원분야
- 경영혁신 분야 : 경영혁신 분야는 ERP 시스템의 성공적 구현을 실현하는 강력한 도구가 된다.
- 정보화 지원기술 분야 : 정보화 지원기술 분야는 8개 하부 시스템에 대한 기업내의 효율
적 업무진행과 더불어 기업 외부와의 업무처리와 통합을 지원하는 정
보화 기술로 구성된다.
- 산업유형 지원분야 : 산업유형 지원분야는 적용업종의 형태에 따라 8개 하부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다르게 가져갈 수 있다. 업종에 따라 필요 기능을 적절
히 변화하여 산업유형에 따라 하부 시스템과 구성 모듈을 변화시키게
될 것이다.
- 전문화 분야 : 전문화 분야는 현재의 ERP 시스템 지원기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고
도의 ERP 구현 전문화 기술을 의미한다.
(3) 기술적 특징
클라이언트 서버 (C/S : Client Server)시스템
과거 중앙집중식 환경 하에서는 일반직원들이 사용하고 있는 터미널은 중앙의 주전산기로부터 얻어온 정보를 뿌려주는 단순한 단말기 역할만해서 더미(Dummy : 바보, 멍텅구리)라고 불려졌다. 그러나 지금 일반직원들이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PC는 기능이 강력해지면서 더이상 Dummy가 아니라 똑똑한 시스템으로 바뀌게 되었다. 분산처리 구조는 이러한 Client에게 새로운 역할을 주고, Server는 과거 중앙집중식 방식과 같이 모든 것을 가질 필요가 없어지는 따라서 부하가 크게 줄어들게 되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처리방식이다. ERP 시스템 역시 웬만한 일은 대부분 Client 수준에서 처리를 하게 되는 C/S에 기반을 둔 대표적인 분산처리 형태에서 등장한 패키지라고 할 수 있다.
4세대 언어 (4GL : 4Generation), CASE (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 Tool
갈수록 고도화 되어 가고 있는 산업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있어 기존의 프로그램 개발방식으로 한계에 부딪치게 되면서 4세대 언어(4GL)라고 불리는 프로그램 언어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4세대언어는 Visual Basic C++, Power builder, Delphi, Java 등이 있다. 이와 아울러 고기능성 산업용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별도의 방법론으로 등장한 것이 CASE(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 Tool이라는 것인데, 이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DBMS : 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
거의 모든 ERP시스템은 원장형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기존의 파일시스템 구조로는 데이터의 독립성, 종속성이 문제가 있기 때문에 ERP와 같은 고기능성 산업용 소프트웨어에는 상용 RDBMS를 채택해야만 한다. 현재 ERP시스템에서 돌아가고 있는 DB는 Oracle, Informix, Sybase, SQL 등인데 DB의 채택은 주로 운영환경(OS)과 하드웨어(H/W) 등 전체의 플랫폼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객체지향기술 (OOT : Object Oriented Technology)
ERP팩키지내의 각 모듈(프로세스)은 제각각 독립된 개체(Object)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ERP시스템은 이렇게 수많은 모듈들의 집합체이다. 각 모듈들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체적으로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시스템이 업그레이드되거나 기능이 추가 또는 삭제되는 경우에 객체지향적으로 설계된 ERP시스템은 전체를 건드릴 필요 없이 해당 모듈에 대한 교체만으로 시스템의 변경이 가능하다. 마치 레고블럭처럼 영업, 생산, 구매, 자재, 재고, 회계, 인사 등 각 모듈들을 서로 짜 맞추는 식으로 전체를 최적화시켜 나가면 되고, ERP시스템이 구축된 이후에도 언제나 단위 모듈의 변경이 가능하다.
(4) 기술적 구조
ERP 기술적 구조의 7계층
하드웨어 플랫폼 : 개발된 ERP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 등을 수용하는 컴퓨터 서 버이다. Unix, NT, AS/400 등이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 (OS) : 컴퓨터 운영체제로서 Unix, 윈도우NT, OS/400등이 해당된다.
- 데이터베이스 : ERP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나 정보를 보관 및 관리하는 자장소로서, ERP 시스템의 구현시에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오라클, 프로그레스, MS SQL 서버, 인포믹스, 등이 사용된다.
네트워크 :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연결, 동일 지역 또는 원격지에 있는 동일 기종 또는 이기종 시스템간의 물리적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TCP/IP, NETBIOS,
- 영업관리 하부 시스템 : 영업관리는 기업의 영업 및 마케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하부 시스템이다.
- 계획관리 하부 시스템 : 계획관리는 수요와 공급을 계획하는 데 필요한 기능이 포함되는
하부 시스템이다.
- 제조실행 하부 시스템 : 제조실행은 제조업의 생산 현장을 관리, 통제하는 기능이 포함된
하부 시스템이다.
- 기준정보관리 하부 시스템 : 기준정보관리는 기업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관리하는
하부 시스템이다.
- 공급망관리 하부 시스템 : 공급망관리는 제조활동에 필요한 물적 흐름을 관리 및 통제하
기 위해 기업 내부와 외부의 물류거점을 포괄적으로 관리하기 위
한 하부 시스템이다.
- 인적자원관리 하부 시스템 : 인적자원관리는 기업 조직 및 구성원과 관련한 업무를 관장
하는 시스템이다.
- 회계 및 재무관리 하부 시스템 : 회계 및 재무관리는 기업의 현금 및 자산에 대한 관리
및 통제기능을 수행하는 하부 시스템이다.
- 원가통제 하부 시스템 : 원가통제는 비용 및 이익관리를 위한 지원기능으로서 원가계산
관련 기능이 지원되는 하부 시스템이다.
ERP 지원분야
- 경영혁신 분야 : 경영혁신 분야는 ERP 시스템의 성공적 구현을 실현하는 강력한 도구가 된다.
- 정보화 지원기술 분야 : 정보화 지원기술 분야는 8개 하부 시스템에 대한 기업내의 효율
적 업무진행과 더불어 기업 외부와의 업무처리와 통합을 지원하는 정
보화 기술로 구성된다.
- 산업유형 지원분야 : 산업유형 지원분야는 적용업종의 형태에 따라 8개 하부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다르게 가져갈 수 있다. 업종에 따라 필요 기능을 적절
히 변화하여 산업유형에 따라 하부 시스템과 구성 모듈을 변화시키게
될 것이다.
- 전문화 분야 : 전문화 분야는 현재의 ERP 시스템 지원기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고
도의 ERP 구현 전문화 기술을 의미한다.
(3) 기술적 특징
클라이언트 서버 (C/S : Client Server)시스템
과거 중앙집중식 환경 하에서는 일반직원들이 사용하고 있는 터미널은 중앙의 주전산기로부터 얻어온 정보를 뿌려주는 단순한 단말기 역할만해서 더미(Dummy : 바보, 멍텅구리)라고 불려졌다. 그러나 지금 일반직원들이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PC는 기능이 강력해지면서 더이상 Dummy가 아니라 똑똑한 시스템으로 바뀌게 되었다. 분산처리 구조는 이러한 Client에게 새로운 역할을 주고, Server는 과거 중앙집중식 방식과 같이 모든 것을 가질 필요가 없어지는 따라서 부하가 크게 줄어들게 되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처리방식이다. ERP 시스템 역시 웬만한 일은 대부분 Client 수준에서 처리를 하게 되는 C/S에 기반을 둔 대표적인 분산처리 형태에서 등장한 패키지라고 할 수 있다.
4세대 언어 (4GL : 4Generation), CASE (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 Tool
갈수록 고도화 되어 가고 있는 산업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있어 기존의 프로그램 개발방식으로 한계에 부딪치게 되면서 4세대 언어(4GL)라고 불리는 프로그램 언어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4세대언어는 Visual Basic C++, Power builder, Delphi, Java 등이 있다. 이와 아울러 고기능성 산업용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별도의 방법론으로 등장한 것이 CASE(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 Tool이라는 것인데, 이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DBMS : 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
거의 모든 ERP시스템은 원장형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기존의 파일시스템 구조로는 데이터의 독립성, 종속성이 문제가 있기 때문에 ERP와 같은 고기능성 산업용 소프트웨어에는 상용 RDBMS를 채택해야만 한다. 현재 ERP시스템에서 돌아가고 있는 DB는 Oracle, Informix, Sybase, SQL 등인데 DB의 채택은 주로 운영환경(OS)과 하드웨어(H/W) 등 전체의 플랫폼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객체지향기술 (OOT : Object Oriented Technology)
ERP팩키지내의 각 모듈(프로세스)은 제각각 독립된 개체(Object)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ERP시스템은 이렇게 수많은 모듈들의 집합체이다. 각 모듈들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체적으로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시스템이 업그레이드되거나 기능이 추가 또는 삭제되는 경우에 객체지향적으로 설계된 ERP시스템은 전체를 건드릴 필요 없이 해당 모듈에 대한 교체만으로 시스템의 변경이 가능하다. 마치 레고블럭처럼 영업, 생산, 구매, 자재, 재고, 회계, 인사 등 각 모듈들을 서로 짜 맞추는 식으로 전체를 최적화시켜 나가면 되고, ERP시스템이 구축된 이후에도 언제나 단위 모듈의 변경이 가능하다.
(4) 기술적 구조
ERP 기술적 구조의 7계층
하드웨어 플랫폼 : 개발된 ERP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 등을 수용하는 컴퓨터 서 버이다. Unix, NT, AS/400 등이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 (OS) : 컴퓨터 운영체제로서 Unix, 윈도우NT, OS/400등이 해당된다.
- 데이터베이스 : ERP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나 정보를 보관 및 관리하는 자장소로서, ERP 시스템의 구현시에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오라클, 프로그레스, MS SQL 서버, 인포믹스, 등이 사용된다.
네트워크 :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연결, 동일 지역 또는 원격지에 있는 동일 기종 또는 이기종 시스템간의 물리적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TCP/IP, NETBIO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