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사회」라고 하는 개념과 「복지」라는 개념의 합성어이다. 먼저 「복지」라는 용어부터 살펴보면 웹스타 사전에서 「복지」는 만족한 상태, 안녕과 관련 상태나 조건, 특히 건강, 행복, 번영과 같은 상태로 규정하고 있다. 즉 불행과 고통이 없는 이상적인 상태를 의미하는 용어로 해석되고 있다. 한자(漢字)를 해석하는 학자들도 「福」자「祉」자를 해석하여 「福」=물질적인 풍요를 「祉」=정신적 안정 상태를 의미하는 용어라고 해석하고 있다. 즉 「복지」란 평안히 잘 지내는 상태를 말하며 「사회적(Social)」이란형용사를 붙여 「사회복지(Social Welfare)」라 하며, 사회복지란 사회적으로 행복한 상태, 인간생활의 이상적 상태를 의미 한다.
3. 광의의 사회복지와 협의의 사회복지
1) 광의의 사회복지
① 사회복지는 인간이 만들어낸 사회제도의 하나로서 다른 사회제도와 구별될 수 있는 특유의 사회적 기능을 가짐
② 사회전체 성원의 안녕은 그들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서 증진된다.
③ 사회성원의 안녕은 그들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증진됨
④ 사회복지는 인간생활을 향상시키려는 제반 시책과 노력을 포함함
: (정부의 시책, 민간부분의 노력, 전문분야ㆍ자원봉사의 영역까지 포괄함)
⑤ 사회복지는 사회질서를 유지하고 사회의 안정을 도모하는 수단
2)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협의의 사회복지
-사회복지를 전문 소셜웍(social work)을 중심으로 협의적 개념화하는 경향
-전국민의 복지 증진이라는 외형적인 모토와는 달리 대상의 범위가 제한적임
-전체 국민보다는 특수계층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정책
-협의적으로 복지가 공공부조와 동일시하는 경향
4. 잔여적 복지와 제도적 복지-윌렌스키와 르보의 구분
1) 잔여적 개념
-개념: 사회복지는 사회기능의 정상적 공급원으로서의 가족이나 시장경제가 제 기능을 원활이 수행치 못할 경우에 파생되는 문제를 보완ㆍ해소하기 위해 제도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복지는 필수적 요소라기보다는 임시적이고 보충적 요소라고 인식.
-안전망의 기능: 개인의 결함 또는 사회적 결함으로 인한 낙오자, 일탈자를 대상으로 최소한도의 보호를 제공함
-개인의 책임 강조
2) 제도적 개념
-개념: 핵가족화, 산업화에 따른 구조적 변화로 인하여 가족과 시장의 한계가 드러남.
사회복지는 보완적 제도가 아니라 사회복지가 사회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밖에 없다.
-사회구조적 책임 강조
ㆍ전통적 사회복지제도->잔여적 성격 강함
ㆍ현대적 사회복지제도->산업화에 따른 제도적 성격이 강함
5. 예외주의와 보편주의
1) 예외주의
-사회문제: 특정 범주에 속한 사람들에게서 예측할 수 없이 발생하는 것으로 예외적이고 개인의 결함, 사고, 불행한 상황 속에서 발생하며 해결하기 위한 수단도 자연히 개별적 접근방법에 의해야 함
2) 보편주의
-사회문제: 사회체제가 불완전하고 불공한 이유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 가능하기 때문에 공공의 노력으로서 예방이 가능함
2주차 3강 사회복지의 개념
- 프리드랜더(Friedlander)와 압테(Apte)의 사회복지와 소셜
3. 광의의 사회복지와 협의의 사회복지
1) 광의의 사회복지
① 사회복지는 인간이 만들어낸 사회제도의 하나로서 다른 사회제도와 구별될 수 있는 특유의 사회적 기능을 가짐
② 사회전체 성원의 안녕은 그들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서 증진된다.
③ 사회성원의 안녕은 그들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증진됨
④ 사회복지는 인간생활을 향상시키려는 제반 시책과 노력을 포함함
: (정부의 시책, 민간부분의 노력, 전문분야ㆍ자원봉사의 영역까지 포괄함)
⑤ 사회복지는 사회질서를 유지하고 사회의 안정을 도모하는 수단
2)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협의의 사회복지
-사회복지를 전문 소셜웍(social work)을 중심으로 협의적 개념화하는 경향
-전국민의 복지 증진이라는 외형적인 모토와는 달리 대상의 범위가 제한적임
-전체 국민보다는 특수계층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정책
-협의적으로 복지가 공공부조와 동일시하는 경향
4. 잔여적 복지와 제도적 복지-윌렌스키와 르보의 구분
1) 잔여적 개념
-개념: 사회복지는 사회기능의 정상적 공급원으로서의 가족이나 시장경제가 제 기능을 원활이 수행치 못할 경우에 파생되는 문제를 보완ㆍ해소하기 위해 제도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복지는 필수적 요소라기보다는 임시적이고 보충적 요소라고 인식.
-안전망의 기능: 개인의 결함 또는 사회적 결함으로 인한 낙오자, 일탈자를 대상으로 최소한도의 보호를 제공함
-개인의 책임 강조
2) 제도적 개념
-개념: 핵가족화, 산업화에 따른 구조적 변화로 인하여 가족과 시장의 한계가 드러남.
사회복지는 보완적 제도가 아니라 사회복지가 사회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밖에 없다.
-사회구조적 책임 강조
ㆍ전통적 사회복지제도->잔여적 성격 강함
ㆍ현대적 사회복지제도->산업화에 따른 제도적 성격이 강함
5. 예외주의와 보편주의
1) 예외주의
-사회문제: 특정 범주에 속한 사람들에게서 예측할 수 없이 발생하는 것으로 예외적이고 개인의 결함, 사고, 불행한 상황 속에서 발생하며 해결하기 위한 수단도 자연히 개별적 접근방법에 의해야 함
2) 보편주의
-사회문제: 사회체제가 불완전하고 불공한 이유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 가능하기 때문에 공공의 노력으로서 예방이 가능함
2주차 3강 사회복지의 개념
- 프리드랜더(Friedlander)와 압테(Apte)의 사회복지와 소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