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있는 사람만이 가능하다고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서기관과 바리새인보다 “더 나은 의”를 가진 사람들만이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갈 것이다. 존 브라이트의 「하나님의 나라」에서 그는 이러한 이해를 잘 설명하고 있다. 존 브라이트, 「하나님의 나라」, p. 254. 존 브라이트는 여기서 이렇게 말한다. “그것은 그 율법을 준수함으로써 하나님 나라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사람이 들어가기에 충분한 고상한 의를 낳을 수 있는 것도 못되었다: ”너희 의가 서기관과 바리새인보다 더 낫지 못하면 결단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리라(마 5:20)“
또한 죠지 E. 래드도 필자와 동일한 이해를 가지고 있다. 죠지 E. 래드, 「예수와 하나님의 나라」, p. 340~342.
그러므로 저자가 “더 나은 의”를 율법전체를 준수해야하는 것으로 이해한 것은 지극히 문자적인 해석으로 이는 다분히 문맥적으로 이해하지 못한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저자의 이해는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워드 마샬은 본서인「신약성서 신학」을 통해 신약성서의 다양성을 통하여 통일성을 찾아가려는데 주력하였고 필자도 신약성서의 다양성과 통일성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았다. 또한 신약성서의 각권에서 말하는 신학적인 주제와 해석적인 부분까지 어느 정도 정리할 수 있어서 과제하면서 개인적으로 유익한 시간이었다. 한편으로는 신약성서를 이해하는데 참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구나라는 생각을 하면서 거룩한 자극과 함께 더욱 더 주님의 말씀의 은혜를 구하면서 실력을 키워나가야 겠다는 결단을 해보면서 서평을 마친다.
또한 죠지 E. 래드도 필자와 동일한 이해를 가지고 있다. 죠지 E. 래드, 「예수와 하나님의 나라」, p. 340~342.
그러므로 저자가 “더 나은 의”를 율법전체를 준수해야하는 것으로 이해한 것은 지극히 문자적인 해석으로 이는 다분히 문맥적으로 이해하지 못한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저자의 이해는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워드 마샬은 본서인「신약성서 신학」을 통해 신약성서의 다양성을 통하여 통일성을 찾아가려는데 주력하였고 필자도 신약성서의 다양성과 통일성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았다. 또한 신약성서의 각권에서 말하는 신학적인 주제와 해석적인 부분까지 어느 정도 정리할 수 있어서 과제하면서 개인적으로 유익한 시간이었다. 한편으로는 신약성서를 이해하는데 참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구나라는 생각을 하면서 거룩한 자극과 함께 더욱 더 주님의 말씀의 은혜를 구하면서 실력을 키워나가야 겠다는 결단을 해보면서 서평을 마친다.
추천자료
기독론의 정의, 신학적 위치, 주제의 차원들
바울의 유대 묵시사상 연구
누가복음의 신학
원죄론에 대하여
`돌이 아니라 빵을` 읽고서
역사 속에 나타난 교회사회사업
[공관복음 양식 비평][공관복음 기독론적 칭호][공관복음 미드리쉬 비평][공관복음 생명에 대...
『사도교회의 역사와 성장』
[예배][교회예배][교회][예배(교회예배) 역사][그릇된 예배(교회예배)][바림직한 예배(교회예...
에베소서
교회헌금(재정)에 대한 납세의무 가능여부에 대한 연구
[목회][목회 근거][목회 교육][심방][치유사역][청년목회][정보화시대][정보화사회]목회의 의...
월터 라우쉔부쉬 (Walter Rauschenbush)의 윤리사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