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와이맥스(Wi-Max)란
2. 와이맥스의 개념 및 어떤방식으로 서비스 되는지
3. 우리나라에서는 언제 상용화 되는지
4. 와이맥스의 대역폭등에 대한 설명
5. 와이맥스의 장단점
6. 향후 전망에 대해서
7. WiMAX 안테나 시장개요
8. 광대역 안테나 설계
9. WiMAX에 대한 적용 확대
참고문헌
2. 와이맥스의 개념 및 어떤방식으로 서비스 되는지
3. 우리나라에서는 언제 상용화 되는지
4. 와이맥스의 대역폭등에 대한 설명
5. 와이맥스의 장단점
6. 향후 전망에 대해서
7. WiMAX 안테나 시장개요
8. 광대역 안테나 설계
9. WiMAX에 대한 적용 확대
참고문헌
본문내용
Hz 이상의 주파수 광대역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3점의 독립된 공진점을 갖도록 2개의 오픈 스타브와 1개의 쇼트 스타브를 갖는 구조로 했다. 반사손실이 어떤 임계치 이하로 되는 주파수대역이 주어진 범위에서 최대가 되는 조건으로 전송선로 이론을 이용하여 각각의 선로길이를 계산했다. 제1의 오픈 스타브는 급전점으로부터 16mm 길이, 제2의 오픈 스타브는 마찬가지로 13mm 길이로 되었다. 제3의 쇼트 스타브는 루프 구조로 되어, 그 루프 길이는 45mm로 되었다. 전체의 안테나 사이즈로서는 40(w)×33(h)mm로 되었다.
2) 안테나의 시제
이러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필름형 UWB 안테나를 시제했다. 그림 5에 그 사진을 나타낸다. 안테나 도체에는 구리판을 이용하여 양면을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래미네이트했다. 안테나 두께는 0.3mm 이하로 되었다. 급전에는 1.1mm 지름의 가느다란 동축 케이블을 사용했다. 시제한 안테나에서는 저주파측 및 중앙의 공진주파수는 계산 결과와 거의 일치했지만, 고주파측의 공진주파수는 300MHz 정도 저주파측으로 시프트했다. 또, 공진주파수에 있어서의 반사는 시뮬레이션 결과보다 낮게 억제되었다. 이러한 편차는 시뮬레이션과 실제로 시제한 안테나의 급전 방법의 차이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추측된다. 이 결과에서, 실제로 본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3GHz 이상의 넓은 대역을 가진 안테나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9. WiMAX에 대한 적용 확대
이번에 개발한 광대역 안테나를 모의 케이스에 설치하여 실용화 검토를 진행함과 동시에, 2007년부터 각국에서 본격적으로 보급이 예상되는 WiMAX(IEEE802.16e-2005, 대응 주파수 2.5, 3.5, 5.8GHz(예정)에 대한 적용도 시야에 넣은 주파수 대역의 확대를 검토했다. 안테나 탑재 주변 환경도 고려하고, 한층 더 주파수대역을 넓히기 위해, 각 방사소자 길이를 재계산하여 최적화를 꾀했다. 다음에, 그 계산 결과에 근거하여 안테나를 시제하고, 당 회사 표준의 모의 케이스에 설치한 상태에서 각종 안테나 특성을 측정했다.
UWB, WiMAX, 무선LAN의 모든 것을 망라할 수 있는 박형, 소형의 광대역 필름 안테나를 설계했다. 개발한 안테나의 여러 특성에 대해서 언급하였으며, 실용화 환경에서도 그 성능이 충분하다는 것을 실증했다. 향후, 노트북 PC 등의 모바일 기기에는 각종 무선 시스템 및 그에 따르는 안테나가 탑재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거의 표준 탑재가 되고 있는 무선LAN은 물론, 이미 일부 북미에서 채용되기 시작한 GSM/PCS 등의 휴대전화 액세스용, 그리고 UWB, WiMAX 등의 차세대 통신 시스템용 안테나 등의 탑재가 전망된다. 무선LAN에 관해서도,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의 채택이 예정되어 있어, 안테나 탑재 개수로서는 3개 이상이 표준으로 될 전망이다. 이와 같이 노트북 PC 등에서의 안테나 탑재 개수는 증가하는 한편, 휴대성을 중요시하는 모바일 기기는 소형화, 경량화가 진행되고 있어, 안테나 탑재 공간은 금후 한층 좁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에 개발한 광대역 안테나는 UWB, WiMAX, 무선LAN의 모든 주파수를 망라하고 있으며, 모듈측에서 필터 분기 등의 배려가 필요하지만, 각각의 통신 시스템을 조합한 콤보안테나로서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면, UWB와 무선LAN 등). 이것은 결과적으로 모바일 기기에의 안테나 탑재 개수를 줄일 수 있어 기기의 소형화, 경량화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WiMAX Release 2.0 Stage-2 Section 6”, Naehyun Lim Samsung
2) 안테나의 시제
이러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필름형 UWB 안테나를 시제했다. 그림 5에 그 사진을 나타낸다. 안테나 도체에는 구리판을 이용하여 양면을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래미네이트했다. 안테나 두께는 0.3mm 이하로 되었다. 급전에는 1.1mm 지름의 가느다란 동축 케이블을 사용했다. 시제한 안테나에서는 저주파측 및 중앙의 공진주파수는 계산 결과와 거의 일치했지만, 고주파측의 공진주파수는 300MHz 정도 저주파측으로 시프트했다. 또, 공진주파수에 있어서의 반사는 시뮬레이션 결과보다 낮게 억제되었다. 이러한 편차는 시뮬레이션과 실제로 시제한 안테나의 급전 방법의 차이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추측된다. 이 결과에서, 실제로 본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3GHz 이상의 넓은 대역을 가진 안테나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9. WiMAX에 대한 적용 확대
이번에 개발한 광대역 안테나를 모의 케이스에 설치하여 실용화 검토를 진행함과 동시에, 2007년부터 각국에서 본격적으로 보급이 예상되는 WiMAX(IEEE802.16e-2005, 대응 주파수 2.5, 3.5, 5.8GHz(예정)에 대한 적용도 시야에 넣은 주파수 대역의 확대를 검토했다. 안테나 탑재 주변 환경도 고려하고, 한층 더 주파수대역을 넓히기 위해, 각 방사소자 길이를 재계산하여 최적화를 꾀했다. 다음에, 그 계산 결과에 근거하여 안테나를 시제하고, 당 회사 표준의 모의 케이스에 설치한 상태에서 각종 안테나 특성을 측정했다.
UWB, WiMAX, 무선LAN의 모든 것을 망라할 수 있는 박형, 소형의 광대역 필름 안테나를 설계했다. 개발한 안테나의 여러 특성에 대해서 언급하였으며, 실용화 환경에서도 그 성능이 충분하다는 것을 실증했다. 향후, 노트북 PC 등의 모바일 기기에는 각종 무선 시스템 및 그에 따르는 안테나가 탑재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거의 표준 탑재가 되고 있는 무선LAN은 물론, 이미 일부 북미에서 채용되기 시작한 GSM/PCS 등의 휴대전화 액세스용, 그리고 UWB, WiMAX 등의 차세대 통신 시스템용 안테나 등의 탑재가 전망된다. 무선LAN에 관해서도,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의 채택이 예정되어 있어, 안테나 탑재 개수로서는 3개 이상이 표준으로 될 전망이다. 이와 같이 노트북 PC 등에서의 안테나 탑재 개수는 증가하는 한편, 휴대성을 중요시하는 모바일 기기는 소형화, 경량화가 진행되고 있어, 안테나 탑재 공간은 금후 한층 좁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에 개발한 광대역 안테나는 UWB, WiMAX, 무선LAN의 모든 주파수를 망라하고 있으며, 모듈측에서 필터 분기 등의 배려가 필요하지만, 각각의 통신 시스템을 조합한 콤보안테나로서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면, UWB와 무선LAN 등). 이것은 결과적으로 모바일 기기에의 안테나 탑재 개수를 줄일 수 있어 기기의 소형화, 경량화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WiMAX Release 2.0 Stage-2 Section 6”, Naehyun Lim Samsung
추천자료
[공과대]-위성통신에 대하여
GIS 용어정리 QR
인터리빙,다중접속
SCM상에서의 RFID 활용방안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RFID와 프라이버시에 대한 시민합의
배구경기규칙
RF 무선 통신 실험 예비 보고서
Hardware Implementation of Smart Antenna Systems
결과보고서-RF통신
결과보고서-RF통신
[공학기술]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우주의 탐구 - 전파 망원경 조사
[무선 랜][무선LAN][랜]무선 랜(무선LAN)의 개요, 구성요소, 무선 랜(무선LAN)의 표준화규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