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습이론
2. 학습이론의 학습원리
3. 관찰학습의 과정
4. 학습이론의 예
5. 학습이론의 평가
6. 결론 및 나의 의견
참고문헌
2. 학습이론의 학습원리
3. 관찰학습의 과정
4. 학습이론의 예
5. 학습이론의 평가
6. 결론 및 나의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환경 이론은 발달 변인들의 중요성을 과소 평가한 것이 될 것이다. 즉, 그는 아동들이 그들 스스로 배우고, 모델링이 아동 자신의 현재 단계에 의해서 영향받는 정도를 간과해 버렸다. 더불어 반두라는 학습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으로 상호 결정주의 개념을 가져왔다. 그러나 학습자의 자기지시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는 자기 효능감이 중요하나 한계를 가진 학급상황에서 개개 학습자의 자기규제체제와 효능감을 발달시키기는 어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andura는 환경적인 힘이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대해 상당한 공헌을 하였다. 또 학교 교육을 위한 중요한 공헌은 강화와 처벌에 대한 자세한 기술 부분이다. 처벌이나 처벌의 부재는 대리적 강화와 마찬가지로 작용하며, 둘 다 실제 교실 상황에서 나타난다. 아마도 이론의 가장 중요한 공헌은 매스미디어로부터 학습되는 행동과 태도의 범위를 명확히 규정해 냈다는 점일 것이다. 사회에서 증가되는 폭력과 공격성의 표출이 사회학습 이론에서 설명된 관찰학습 개념으로 설명되어진다. 99
참고문헌
이용남 외, 신교육 심리학, 학지사, 2004
이인정 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 2006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론, 학지사, 2003
참고문헌
이용남 외, 신교육 심리학, 학지사, 2004
이인정 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 2006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론, 학지사,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