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Term Project 주제 : 전기면도기
1)정상적인 사용조건은 무엇이고 온도, 하중, 충격, 부식 분위기 등의 제한조건이 있나?
※전기면도기 개요 & 원리
<전기면도기 구조>
□정상적인 사용조건
2) 정상작인 기능을 가지기 위해서 재료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성질, 특성은 무엇인가?
□정상적인 사용에 대한 재료의 관련하여
3) 어떤 종류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전기면도기 청소장치-Ni-Ti(니켈.티타늄)합금(물로 세척하지 않는 면도기의 경우)
□전기면도기 케이스-플라스틱
□전기면도기 겉날과 속날 그리고 망의 스테인리스강
4) 제품을 만들기까지의 공정은?
□전기면도기 청소장치-형상기억합금 공정
□전기면도기 케이스 - 플라스틱 사출성형 공정
□전기면도기 망 - 애칭공정
5) 열처리는 필요한가? 필요하다면 어떤 목적으로 어떤 처리를 해야 하나?
□ 열처리
□열처리방법
□강의 열처리
□전기 면도기 청소장치의 열처리
□ 플라스틱 사출금형재료의 필요조건
6) 표면처리는 필요한가? 필요하다면 어떤 목적으로 어떤 처리를 해야 하나?
□ 표면경화법
□ 플라스틱 사출 성형 표면 가공성이 우수할 것
7) 품질보증 및 검사방법은?
□ 품질관리란?
□품질인증마크로 보증
□ 검사방법
8) 기타 의견 혹은 소감
□보고서 작성을 마치면서
1)정상적인 사용조건은 무엇이고 온도, 하중, 충격, 부식 분위기 등의 제한조건이 있나?
※전기면도기 개요 & 원리
<전기면도기 구조>
□정상적인 사용조건
2) 정상작인 기능을 가지기 위해서 재료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성질, 특성은 무엇인가?
□정상적인 사용에 대한 재료의 관련하여
3) 어떤 종류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전기면도기 청소장치-Ni-Ti(니켈.티타늄)합금(물로 세척하지 않는 면도기의 경우)
□전기면도기 케이스-플라스틱
□전기면도기 겉날과 속날 그리고 망의 스테인리스강
4) 제품을 만들기까지의 공정은?
□전기면도기 청소장치-형상기억합금 공정
□전기면도기 케이스 - 플라스틱 사출성형 공정
□전기면도기 망 - 애칭공정
5) 열처리는 필요한가? 필요하다면 어떤 목적으로 어떤 처리를 해야 하나?
□ 열처리
□열처리방법
□강의 열처리
□전기 면도기 청소장치의 열처리
□ 플라스틱 사출금형재료의 필요조건
6) 표면처리는 필요한가? 필요하다면 어떤 목적으로 어떤 처리를 해야 하나?
□ 표면경화법
□ 플라스틱 사출 성형 표면 가공성이 우수할 것
7) 품질보증 및 검사방법은?
□ 품질관리란?
□품질인증마크로 보증
□ 검사방법
8) 기타 의견 혹은 소감
□보고서 작성을 마치면서
본문내용
시간은 제품 외관에 수축이 발생되지 않는 최소 시간이면 된다.
5.계량 시간은 수지의 고온 체류 열이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냉각 시간의 90%선 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Screw 회전속도가 너무 높아서(100RPM이상) 실버 등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는 냉각 시간을 늘려서 계량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6.인서트(Insert) 작업등은 Insert에 필요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런 체류에 의한 변색, 탄화도 유의하여야 한다.
(6)계량량
1.전진한계(Cushion량)는 5mm 이하가 되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2.너무 많은 전진한계(Cushion량)는 바리 불량, 열화 발생의 원인이 된다.
3.너무 작게 설정하면 Screw가 실린더에 부딪히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7)기타조건
1.계량 속도(RPM-분당 Screw 회전수):계량 속도(RPM)는 실린더내의 용융수지 의 온도에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ABS의 경우는 60-90회전 정도가 적당하 다.
2.석백(Suck Back-Decompression):석백은 가능한 한 사용한지 않는 것이 좋다 (사용시는 5mm이하).석백의 경우는 저온의 금형에 실린더가 접촉되어 노증 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가끔은 두룰링(Drooling-흘러내림) 방지를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3.간접조건 : 사출조건에 간접적인 영향은 계절 변화에 의한 환경온도 변화와 그에 따른 제반조건(냉각수온도, 금형온도)의 변화가 다소 있는바 고려하여 야 한다.
2)사출 성형별 각 공정
①금형체결 공정
형폐시점으로 사출 준비 완료 단계이다.
②사출공정
스크류의 회전이 중지된 상태로 고속, 고압의 직선운동을 하는 상태이다. 본 단계에서 고압의 직선운동을 하는 상태이다. 본 단계에서 스크류는 회전이 일어난다면 이는 체크링(Checkning, 일명Shut-off Ring)의 마모나 균열 등의 문제가 있는 경우이다. 캐비티의 대부분(약 95%-97%)을 이 공정에서 채운다.
③보압 공정
수지가 금형 내에서 냉각(고화)되면서 수축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잔여 수축 분을 보완하기 위한 압력이 작용하는 단계
④냉각,가소화,계량 공정
가소화단계로 수지가 금형 내에서 냉각되는 동안 노즐이 금형에 접촉된 상태로 스크류가 회정하여 수지를 요융하여 가열실린더의 스크류 선단으로 이동시키는 계량 공정으로써 이때 스크류는 용융수지가 PACKING됨에 따라 반발력으로 뒤로 후퇴한다.
⑤이형 취출 공정
금형이 열리면서 성형품이 추출되는 상태로, 일반적인 작동에서는 계량이 완료되어 스크류가 정지한 후 노즐이 후퇴하면서 금형이 열린다.
그러나 드롤링(Drolling)이 심한 수지의 경우는 노즐의 후퇴가 없이 이루어진다.
□전기면도기 망 - 애칭공정
에칭 (영어: etching)은 화학약품의 부식작용을 응용한 소형(塑型)이나 표면가공의 방법이다. 흔히 식각(蝕刻)이라고도 한다. 사용하는 소재에서 필요한 부위만 방식 (防蝕) 처리를 한 후 부식시켜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원하는 모양을 얻는다.
동판에 의한 판화, 인쇄기술로 발전해온 역사가 길기 때문에 구리나 아연 같은 금속가공으로 사용 되는 것이 많지만, 부식성만 있다면 다양한 소재의 소형, 표면가공에 응용이 가능하다.
프레스 가공에서 어렵고 복잡한 가공을 위해 에칭이 응용되고 있다. 집적회로의 리드 프레임, 전기면도기의 망, 컬러 음극선관의 쉐도우 마스크 같은 수십 ~ 수백 μm 두께의 금속판재부품을 제조하는 기술도 있다. 이 방법으로 제작된 모형의 부품을 에칭 부품이라고 불린다.
5) 열처리는 필요한가? 필요하다면 어떤 목적으로 어떤 처리를 해야 하나?
□ 열처리
열처리란 - 금속재료(주로 철강재료)에 요구하는 기계적, 물리적 성질을 부여하기 위해 가열과 냉각을 시행하는 열적 조작기술이며, 크게는 재료를 단단하게 만들어 기계적, 물리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과 재료를 무르게 하여 가공성을 개선시키는 기술로 대변할 수 있으며, 기타 특수한 목적을 위한 첨단 열처리 기술도 점차 개발되고 있다. 열처리를 통하여 강의 경도, 강도, 인성 등의 기계적 성질을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 주요한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기계적 성질의 개선
2) 조직의 미세화
3) 강재의 연화
4) 강재 중의 편석 제거
5) 표면만의 경화층을 형성시킴
이렇게 강이 열처리에 의하여 성질의 개선이 가능한 것은 강에는 변태가 있으며(특히,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의 변태가 열처리 상 가장 중요하다)
강중의 탄소 고용량이 변태 전후에 매우 다르게 되는 특성 때문이다.
▽ 열처리 종류
침탄, 침탄질화
내부도 약간경화
연질화, 가스질화
내부는 전혀 경화되지 않는다
고주파, 중주파, 화염열처리
필요한 부분만 표면경화 된다
(1) 표면경화열처리
조질처리
중탄소강, 구조용 합금강재(Sorbite 조직을 얻을 것)
Q.T처리
중, 고탄소강, 구조용 합금강재
진공열처리
고합금 공구강재(STD, STF, SKH, STS등)
(2) 전체 경화열처리 → 내부까지 경화
완전풀림
확산풀림
구상화 풀림
응력제거 풀림
중간풀림
연화풀림
2단 풀림
등온풀림
(3) 연화열처리 → 재료를 무르게 하여 가공성을 개선
불림처리
조직개선 및 표준화, 응력제거, 가공성 향상
용체화 처리
STS304등 Austenite계 스텐레스강의 강도, 가공성 향상, 내식성개선, 수명연장
취성제거처리
도금에서 발생된 수소취성 제거
수인처리
고 Mn강의 강도 가공성 향상
ADI처리
구상 흑연주철의 Austempering 처리, 기존 단조품에 열처리하던 것을 주조품으로 바꾸어 공정단축, 원가절감, 경량화에 의한 자동차 연비향상, 강도 향상등 자동차 부품에서 점차 일반부품으로 용도가 넓어지고 있음.
침붕처리
초, 고내 마모성을 요구하는 부품, HV1500이상의 고 경도를 얻을 수 있다.
(4) 기타열처리
□열처리방법
열처리방법을 크게 구분하면 주조나 단조후의 편석 및 잔류응력 등을 제거하여 균질화시키거나 또는 軟化를 목적으로 행하는 풀림(annealing), 결정립을 미세화하여 기계적성질이나 피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멀라이징(normalizing), 경화를 위하여 행하는
5.계량 시간은 수지의 고온 체류 열이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냉각 시간의 90%선 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Screw 회전속도가 너무 높아서(100RPM이상) 실버 등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는 냉각 시간을 늘려서 계량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6.인서트(Insert) 작업등은 Insert에 필요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런 체류에 의한 변색, 탄화도 유의하여야 한다.
(6)계량량
1.전진한계(Cushion량)는 5mm 이하가 되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2.너무 많은 전진한계(Cushion량)는 바리 불량, 열화 발생의 원인이 된다.
3.너무 작게 설정하면 Screw가 실린더에 부딪히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7)기타조건
1.계량 속도(RPM-분당 Screw 회전수):계량 속도(RPM)는 실린더내의 용융수지 의 온도에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ABS의 경우는 60-90회전 정도가 적당하 다.
2.석백(Suck Back-Decompression):석백은 가능한 한 사용한지 않는 것이 좋다 (사용시는 5mm이하).석백의 경우는 저온의 금형에 실린더가 접촉되어 노증 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가끔은 두룰링(Drooling-흘러내림) 방지를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3.간접조건 : 사출조건에 간접적인 영향은 계절 변화에 의한 환경온도 변화와 그에 따른 제반조건(냉각수온도, 금형온도)의 변화가 다소 있는바 고려하여 야 한다.
2)사출 성형별 각 공정
①금형체결 공정
형폐시점으로 사출 준비 완료 단계이다.
②사출공정
스크류의 회전이 중지된 상태로 고속, 고압의 직선운동을 하는 상태이다. 본 단계에서 고압의 직선운동을 하는 상태이다. 본 단계에서 스크류는 회전이 일어난다면 이는 체크링(Checkning, 일명Shut-off Ring)의 마모나 균열 등의 문제가 있는 경우이다. 캐비티의 대부분(약 95%-97%)을 이 공정에서 채운다.
③보압 공정
수지가 금형 내에서 냉각(고화)되면서 수축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잔여 수축 분을 보완하기 위한 압력이 작용하는 단계
④냉각,가소화,계량 공정
가소화단계로 수지가 금형 내에서 냉각되는 동안 노즐이 금형에 접촉된 상태로 스크류가 회정하여 수지를 요융하여 가열실린더의 스크류 선단으로 이동시키는 계량 공정으로써 이때 스크류는 용융수지가 PACKING됨에 따라 반발력으로 뒤로 후퇴한다.
⑤이형 취출 공정
금형이 열리면서 성형품이 추출되는 상태로, 일반적인 작동에서는 계량이 완료되어 스크류가 정지한 후 노즐이 후퇴하면서 금형이 열린다.
그러나 드롤링(Drolling)이 심한 수지의 경우는 노즐의 후퇴가 없이 이루어진다.
□전기면도기 망 - 애칭공정
에칭 (영어: etching)은 화학약품의 부식작용을 응용한 소형(塑型)이나 표면가공의 방법이다. 흔히 식각(蝕刻)이라고도 한다. 사용하는 소재에서 필요한 부위만 방식 (防蝕) 처리를 한 후 부식시켜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원하는 모양을 얻는다.
동판에 의한 판화, 인쇄기술로 발전해온 역사가 길기 때문에 구리나 아연 같은 금속가공으로 사용 되는 것이 많지만, 부식성만 있다면 다양한 소재의 소형, 표면가공에 응용이 가능하다.
프레스 가공에서 어렵고 복잡한 가공을 위해 에칭이 응용되고 있다. 집적회로의 리드 프레임, 전기면도기의 망, 컬러 음극선관의 쉐도우 마스크 같은 수십 ~ 수백 μm 두께의 금속판재부품을 제조하는 기술도 있다. 이 방법으로 제작된 모형의 부품을 에칭 부품이라고 불린다.
5) 열처리는 필요한가? 필요하다면 어떤 목적으로 어떤 처리를 해야 하나?
□ 열처리
열처리란 - 금속재료(주로 철강재료)에 요구하는 기계적, 물리적 성질을 부여하기 위해 가열과 냉각을 시행하는 열적 조작기술이며, 크게는 재료를 단단하게 만들어 기계적, 물리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과 재료를 무르게 하여 가공성을 개선시키는 기술로 대변할 수 있으며, 기타 특수한 목적을 위한 첨단 열처리 기술도 점차 개발되고 있다. 열처리를 통하여 강의 경도, 강도, 인성 등의 기계적 성질을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 주요한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기계적 성질의 개선
2) 조직의 미세화
3) 강재의 연화
4) 강재 중의 편석 제거
5) 표면만의 경화층을 형성시킴
이렇게 강이 열처리에 의하여 성질의 개선이 가능한 것은 강에는 변태가 있으며(특히,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의 변태가 열처리 상 가장 중요하다)
강중의 탄소 고용량이 변태 전후에 매우 다르게 되는 특성 때문이다.
▽ 열처리 종류
침탄, 침탄질화
내부도 약간경화
연질화, 가스질화
내부는 전혀 경화되지 않는다
고주파, 중주파, 화염열처리
필요한 부분만 표면경화 된다
(1) 표면경화열처리
조질처리
중탄소강, 구조용 합금강재(Sorbite 조직을 얻을 것)
Q.T처리
중, 고탄소강, 구조용 합금강재
진공열처리
고합금 공구강재(STD, STF, SKH, STS등)
(2) 전체 경화열처리 → 내부까지 경화
완전풀림
확산풀림
구상화 풀림
응력제거 풀림
중간풀림
연화풀림
2단 풀림
등온풀림
(3) 연화열처리 → 재료를 무르게 하여 가공성을 개선
불림처리
조직개선 및 표준화, 응력제거, 가공성 향상
용체화 처리
STS304등 Austenite계 스텐레스강의 강도, 가공성 향상, 내식성개선, 수명연장
취성제거처리
도금에서 발생된 수소취성 제거
수인처리
고 Mn강의 강도 가공성 향상
ADI처리
구상 흑연주철의 Austempering 처리, 기존 단조품에 열처리하던 것을 주조품으로 바꾸어 공정단축, 원가절감, 경량화에 의한 자동차 연비향상, 강도 향상등 자동차 부품에서 점차 일반부품으로 용도가 넓어지고 있음.
침붕처리
초, 고내 마모성을 요구하는 부품, HV1500이상의 고 경도를 얻을 수 있다.
(4) 기타열처리
□열처리방법
열처리방법을 크게 구분하면 주조나 단조후의 편석 및 잔류응력 등을 제거하여 균질화시키거나 또는 軟化를 목적으로 행하는 풀림(annealing), 결정립을 미세화하여 기계적성질이나 피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멀라이징(normalizing), 경화를 위하여 행하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