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Chapter1
근골격계 물리치료 개요
Ⅰ.질병
정의-신체의 일부 혹은 전체가 구조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비정상적인 상태에 놓인 것을 의미
장애의 개념
어떤 질병이나 장해가 있으면 이로 말미암아 생리적, 심리적 또는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의 손실 또는 이상을 의미하는 손상이 초래
장애가 발생하면 사회적 역할 수행이 제한되거나 불가능해지는 상태
→일 수행결함의 발생, 기능적 수행능력의 제한과 결여
사회적 제약 (장애에 의해 사회적 불이익 당하는 상태→역할 결함의 발생)
Ⅱ. 퇴행성 변화와 대사이상
1.위축(Atrophy)
-정상적으로 발달한 실질 조직이나 장기의 용적이 장애로 인하여 작아지는 것
단순위축-장기의 중요한 구성성분인 실질세포가 각각 축소되기 때문에 장기 전체가 위축
수적위축-실질세포의 수가 감소한 결과 장기가 위축
*종류 disuse atrophy →일정기간 사용하지 않아 생긴 위축(골절후 고정, 오랜 침상생활)
pressure atrophy →기계적 압박이 계속적으로 가해져 나타나는 위 축(욕창)
생리적 위축
기아성 위축
*동화작용(혈액공급, 산소, 영양공급)의 저하로 인해 조직 세포의 크기가 축소 및 감소
2.변성(degeneration)
3.괴사(necrosis)
-세포의 죽음 나타냄
-효소의 진행성, 퇴행성 작용에 의해서 일어난다
4.괴저(gangrene)
-괴사조직의 외계의 영향으로 부패하는 현상
→혈관폐색, 부패균에 감염
Ⅲ.진행성 변화
1.비대
-장기나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가 원래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실질세포의 크기가 증가하여 조직이나 장기의 부피가 증가하는 것
-증식은 실질세포의 크기는 일정하나 세포의 수가 증가하여 조직 또는 장기의 부피가 증대되는 것으로 수적비대
2.이식
-살아있는 조직이나 생활체에서 일단 절단한 다음 조직 조각을 동일한 개체 또는 다른 개체의 신체 일부에 심는 것
Ⅳ.순환장애
1.허혈(Ischemia)
-신체 국소부위에 혈액 공급이 감소하거나 단절 된 상태
원인 동맥벽에 동맥경화증, 동맥염 등의 병변
혈전증, 색전증에 의한 혈관폐쇄
종양 등에 의한 외부에서의 압박
결과 침범된 부위에 산소나 영양공급이 감소
2.충혈(Hyperemia)
-조직이나 장기로 유입되는 국소의 혈관이 확대되어 그 부위의 혈액량이 증가한 상태
-세동맥이나 모세혈관의 확대가 주된 변화
-충혈을 일으킨 부위는 혈량 증가로 말미암아 선홍색을 나타낸다.
3.울혈(Congestion)=수동성 충혈
-정맥혈의 유출이 잘 되지 않아서 병변 부위에 흐르는 혈액량이 증가한 상태
*종류 - 국소울혈: 국소의 정맥혈이 혈류장애를 받아 청색증의 원인
전신울혈: 심장판막증이나 심근장애, 폐기종 등이 있을 경우 출현
4.출혈(Hemorrhage)
-혈액이 혈관 밖으로 나가는 현상
-파열성 출혈
-누출성 출혈(혈관벽이 파열되지 않는 상태에서 출혈이 일어난다)
5.혈전증(Thrombosis)
-심혈관계 내에서 응고된 덩어리를 형성하는 것
*생성과정
1)혈관내피의 손상이나 혈류속도가 느릴 경우→혈소판이 혈관벽에 부착되기 쉽다
2)혈소판이나 fibrinogen이 증가→혈액의 응고성이 높아져도 혈전이 되기가 쉽다
6.색전증(Embolism)
-혈관 내의 이물이 혈류를 따라 순환하다 더 이상 통과할 수 없는 작은 혈관에까지 운반되어 그곳에서 혈관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쇄시켜 혈류를 차단시키는 현상으로 이 혈류를 차단시킨 이물질을 색전이라 한다.
-색전의 99%가 혈전에서 유래한다.
7.부종(Edema)
-세포 사이의 간질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거나, 체강 내에 수분이 저류되어 있는 것을 의미
-부종의 발생기전은 정수압의 증가, 혈장교질 삼투압의 감소, 나트륨 저류, 림프관의 폐쇄, 혈관의 투과성 항진이 있다.
Ⅴ.염증
-증상으로는 발적, 종창, 발열, 통증
-원인 과민반응 일으키는 면역반응 기계적, 화학적, 방사선 손상 및 열상 세균감염
<부정적 결과>
염증과정은 생체의 유익한 방어 반응
→But, 자가면역질환이나 관절의 강직 등과 같이 오히려 해가 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함
Chapter2
Ⅰ골절의 개론
1.정의
-뼈나 뼈끝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또는 불완전하게 소실되어 선상의 변형을 일으킨 상태
2.분류
1)골절의 정도에 의한 분류
완전골절: 양측 피질의 연속성이 완전히 소실되는 경우
종류
-단순골절, 감입골절: 골절된 뼈의 한쪽 끝이 다른 쪽 뼈 속에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의 골절
-분쇄골절, 개방골절, 합병골절: 주위조직에 있는 중요한 조직이나 기관에 손상을 일으킨 골절
-압박골절: 뼈몸통부의 골절을 일의지 않고 견고한 뼈몸통부가 뼈몸통끝속으로 감입되는 상태의 골절
불완전골절: 한쪽 피질의 연속성만 소실되는 경우
종류
-생목골절: 소아에게 주로 많이 발생하고, 뼈겉질의 일부가 떨어져 나간 상태의 골절
-균열골절: 골편의 전위가 없는 상태에서 뼈에 금이 간 상태의 골절
-관통골절: 총상과 같이 커다란 힘이 적은 면적에 가해질 때 일어나는 골절
-함몰골절: 머리뼈에서 주로 많이 발생하며, 외력에 의해 접시모양으로 들어간 상태의 골절
2)골절의 방향(골절선의 형태)에 의한 분류
골절이 방사선상 어떻게 보이는가에 따른 분류로 가로(횡상), 경사(사상), 나선상, 세로(종상)
-가로골절: 골절면이 뼈의 장축에 직각을 이루며 뼈에 직접력이 작용한 경우에 의해서도 발생
-경사골절과 나선상골절: 구별이 어려울
근골격계 물리치료 개요
Ⅰ.질병
정의-신체의 일부 혹은 전체가 구조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비정상적인 상태에 놓인 것을 의미
장애의 개념
어떤 질병이나 장해가 있으면 이로 말미암아 생리적, 심리적 또는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의 손실 또는 이상을 의미하는 손상이 초래
장애가 발생하면 사회적 역할 수행이 제한되거나 불가능해지는 상태
→일 수행결함의 발생, 기능적 수행능력의 제한과 결여
사회적 제약 (장애에 의해 사회적 불이익 당하는 상태→역할 결함의 발생)
Ⅱ. 퇴행성 변화와 대사이상
1.위축(Atrophy)
-정상적으로 발달한 실질 조직이나 장기의 용적이 장애로 인하여 작아지는 것
단순위축-장기의 중요한 구성성분인 실질세포가 각각 축소되기 때문에 장기 전체가 위축
수적위축-실질세포의 수가 감소한 결과 장기가 위축
*종류 disuse atrophy →일정기간 사용하지 않아 생긴 위축(골절후 고정, 오랜 침상생활)
pressure atrophy →기계적 압박이 계속적으로 가해져 나타나는 위 축(욕창)
생리적 위축
기아성 위축
*동화작용(혈액공급, 산소, 영양공급)의 저하로 인해 조직 세포의 크기가 축소 및 감소
2.변성(degeneration)
3.괴사(necrosis)
-세포의 죽음 나타냄
-효소의 진행성, 퇴행성 작용에 의해서 일어난다
4.괴저(gangrene)
-괴사조직의 외계의 영향으로 부패하는 현상
→혈관폐색, 부패균에 감염
Ⅲ.진행성 변화
1.비대
-장기나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가 원래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실질세포의 크기가 증가하여 조직이나 장기의 부피가 증가하는 것
-증식은 실질세포의 크기는 일정하나 세포의 수가 증가하여 조직 또는 장기의 부피가 증대되는 것으로 수적비대
2.이식
-살아있는 조직이나 생활체에서 일단 절단한 다음 조직 조각을 동일한 개체 또는 다른 개체의 신체 일부에 심는 것
Ⅳ.순환장애
1.허혈(Ischemia)
-신체 국소부위에 혈액 공급이 감소하거나 단절 된 상태
원인 동맥벽에 동맥경화증, 동맥염 등의 병변
혈전증, 색전증에 의한 혈관폐쇄
종양 등에 의한 외부에서의 압박
결과 침범된 부위에 산소나 영양공급이 감소
2.충혈(Hyperemia)
-조직이나 장기로 유입되는 국소의 혈관이 확대되어 그 부위의 혈액량이 증가한 상태
-세동맥이나 모세혈관의 확대가 주된 변화
-충혈을 일으킨 부위는 혈량 증가로 말미암아 선홍색을 나타낸다.
3.울혈(Congestion)=수동성 충혈
-정맥혈의 유출이 잘 되지 않아서 병변 부위에 흐르는 혈액량이 증가한 상태
*종류 - 국소울혈: 국소의 정맥혈이 혈류장애를 받아 청색증의 원인
전신울혈: 심장판막증이나 심근장애, 폐기종 등이 있을 경우 출현
4.출혈(Hemorrhage)
-혈액이 혈관 밖으로 나가는 현상
-파열성 출혈
-누출성 출혈(혈관벽이 파열되지 않는 상태에서 출혈이 일어난다)
5.혈전증(Thrombosis)
-심혈관계 내에서 응고된 덩어리를 형성하는 것
*생성과정
1)혈관내피의 손상이나 혈류속도가 느릴 경우→혈소판이 혈관벽에 부착되기 쉽다
2)혈소판이나 fibrinogen이 증가→혈액의 응고성이 높아져도 혈전이 되기가 쉽다
6.색전증(Embolism)
-혈관 내의 이물이 혈류를 따라 순환하다 더 이상 통과할 수 없는 작은 혈관에까지 운반되어 그곳에서 혈관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쇄시켜 혈류를 차단시키는 현상으로 이 혈류를 차단시킨 이물질을 색전이라 한다.
-색전의 99%가 혈전에서 유래한다.
7.부종(Edema)
-세포 사이의 간질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거나, 체강 내에 수분이 저류되어 있는 것을 의미
-부종의 발생기전은 정수압의 증가, 혈장교질 삼투압의 감소, 나트륨 저류, 림프관의 폐쇄, 혈관의 투과성 항진이 있다.
Ⅴ.염증
-증상으로는 발적, 종창, 발열, 통증
-원인 과민반응 일으키는 면역반응 기계적, 화학적, 방사선 손상 및 열상 세균감염
<부정적 결과>
염증과정은 생체의 유익한 방어 반응
→But, 자가면역질환이나 관절의 강직 등과 같이 오히려 해가 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함
Chapter2
Ⅰ골절의 개론
1.정의
-뼈나 뼈끝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또는 불완전하게 소실되어 선상의 변형을 일으킨 상태
2.분류
1)골절의 정도에 의한 분류
완전골절: 양측 피질의 연속성이 완전히 소실되는 경우
종류
-단순골절, 감입골절: 골절된 뼈의 한쪽 끝이 다른 쪽 뼈 속에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의 골절
-분쇄골절, 개방골절, 합병골절: 주위조직에 있는 중요한 조직이나 기관에 손상을 일으킨 골절
-압박골절: 뼈몸통부의 골절을 일의지 않고 견고한 뼈몸통부가 뼈몸통끝속으로 감입되는 상태의 골절
불완전골절: 한쪽 피질의 연속성만 소실되는 경우
종류
-생목골절: 소아에게 주로 많이 발생하고, 뼈겉질의 일부가 떨어져 나간 상태의 골절
-균열골절: 골편의 전위가 없는 상태에서 뼈에 금이 간 상태의 골절
-관통골절: 총상과 같이 커다란 힘이 적은 면적에 가해질 때 일어나는 골절
-함몰골절: 머리뼈에서 주로 많이 발생하며, 외력에 의해 접시모양으로 들어간 상태의 골절
2)골절의 방향(골절선의 형태)에 의한 분류
골절이 방사선상 어떻게 보이는가에 따른 분류로 가로(횡상), 경사(사상), 나선상, 세로(종상)
-가로골절: 골절면이 뼈의 장축에 직각을 이루며 뼈에 직접력이 작용한 경우에 의해서도 발생
-경사골절과 나선상골절: 구별이 어려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