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결과 및 분석
2. 토의
3. 느낀점
2. 토의
3. 느낀점
본문내용
os180, 20sin140+20sin180)
= (-35, 12)
= 37 (g)
실험상 40g
조금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 이번 실험에서는 길이의 정확성이 요구되었지만 실질적으로 길이를 같게 하여 잘랐다고 하더라도 링에 묶고 함으로써 정확하게 맞지 않았다. 그 점에서 오차가 발생 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된다. 또한 링에 묶음으로써 애초에 세 실이 한 점에서 출발하는 게 아니었고 각도 상에서도 약간씩 오차가 발생하였다고 생각 된다.
2. 토의
|| = [||2 + ||2 + 2|||| cosθ]1/2
이번 실험을 통해 벡터의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힘의 합력을 구하는 법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힘을 이용하여 힘이 평형이 되도록 맞추는데 사용할 수 있었다. force table을 사용하면서 그 사용법을 알게 되었고 조교님께서 다음으로 주신 좀 더 아날로그식의 실험 장치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서 힘이 평행이 되는 조건을 알 수 있었고, 직접 힘이 평형이 되도록 맞춰보고 실현해 낼 수 있었다. 하지만 실험을 하면서 실의 길이에서도 차이가 났고 세 실을 링에 묶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히 세 실이 한 점에서 만나는 것도 아니었고, 각도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추가 적으로 세 실이 링이 아닌 한 점에서 만나는 것으로 시작 될 수 있는 실험 도구가 필요한 것 같았다.
3. 느낀점
이번 실험은 생각보다 조금 간단한 실험이었다. 많은 차례의 실험을 요구 했을 뿐. 그래도 이번 실험을 통해서 힘이 평형이 되는 조건도 알 수 있었고 실제로 구현도 해 볼 수 있었다. 아쉬웠던 점은 역시 세 개의 실이 한 점에서 만남으로써 시작되는 게 아니라는 점이었다. 링에 연결하다보니 그 만큼 오차가 생길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게다가 처음에는 길이를 맞춰야 된다는 생각을 못하고 그냥 해가지고 다시 하였는데, 같은 길이로 맞추고 자른 다음에 링에 묶는 바람에 또 오차가 발생하였다. 최대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다시 이번에는 우선 링에 묶고 같은 길이로 잘라서 실험하였다. 그나마 오차가 조금 줄어들었다. 그리고 테이블이 너무 낮아서 추의 무게를 조절하는 데에 있어서 너무 한정적이고 제약이 심했다. 그리고 이런 추만으로 이용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서 미니카를 이용한다던지, (물론 같은 조건의 미니카를 이용함으로써) 뭔가 좀 더 움직임 있는 물체를 사용함으로써의 힘의 합력을 구해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다.
= (-35, 12)
= 37 (g)
실험상 40g
조금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 이번 실험에서는 길이의 정확성이 요구되었지만 실질적으로 길이를 같게 하여 잘랐다고 하더라도 링에 묶고 함으로써 정확하게 맞지 않았다. 그 점에서 오차가 발생 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된다. 또한 링에 묶음으로써 애초에 세 실이 한 점에서 출발하는 게 아니었고 각도 상에서도 약간씩 오차가 발생하였다고 생각 된다.
2. 토의
|| = [||2 + ||2 + 2|||| cosθ]1/2
이번 실험을 통해 벡터의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힘의 합력을 구하는 법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힘을 이용하여 힘이 평형이 되도록 맞추는데 사용할 수 있었다. force table을 사용하면서 그 사용법을 알게 되었고 조교님께서 다음으로 주신 좀 더 아날로그식의 실험 장치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서 힘이 평행이 되는 조건을 알 수 있었고, 직접 힘이 평형이 되도록 맞춰보고 실현해 낼 수 있었다. 하지만 실험을 하면서 실의 길이에서도 차이가 났고 세 실을 링에 묶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히 세 실이 한 점에서 만나는 것도 아니었고, 각도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추가 적으로 세 실이 링이 아닌 한 점에서 만나는 것으로 시작 될 수 있는 실험 도구가 필요한 것 같았다.
3. 느낀점
이번 실험은 생각보다 조금 간단한 실험이었다. 많은 차례의 실험을 요구 했을 뿐. 그래도 이번 실험을 통해서 힘이 평형이 되는 조건도 알 수 있었고 실제로 구현도 해 볼 수 있었다. 아쉬웠던 점은 역시 세 개의 실이 한 점에서 만남으로써 시작되는 게 아니라는 점이었다. 링에 연결하다보니 그 만큼 오차가 생길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게다가 처음에는 길이를 맞춰야 된다는 생각을 못하고 그냥 해가지고 다시 하였는데, 같은 길이로 맞추고 자른 다음에 링에 묶는 바람에 또 오차가 발생하였다. 최대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다시 이번에는 우선 링에 묶고 같은 길이로 잘라서 실험하였다. 그나마 오차가 조금 줄어들었다. 그리고 테이블이 너무 낮아서 추의 무게를 조절하는 데에 있어서 너무 한정적이고 제약이 심했다. 그리고 이런 추만으로 이용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서 미니카를 이용한다던지, (물론 같은 조건의 미니카를 이용함으로써) 뭔가 좀 더 움직임 있는 물체를 사용함으로써의 힘의 합력을 구해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다.
추천자료
도플러효과 결과보고서
결과보고서-연산증폭기
결과보고서_빛의 편광
레지스터_결과보고서
<결과보고서> 포물체 도달거리 대 각(포물체 운동)
결과보고서 실험 3. 가산기와 감산기 (Adder & Subtractor)
(결과보고서) 개수로의 유속분포 실험
전전컴실 9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베이스바이어스
전전컴실 8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다이오드 접합을 시험하기 위한 저항계의 사용
전전컴실 15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전압분배 바이어스
전전컴실 14결과보고서-공통콜렉터 증폭기(이미터폴로워)
(결과보고서) 선운동량 보존 법칙
오차론 결과보고서
[물리실험결과보고서] 마찰계수 - 서로 접촉하고 있는 물체들의 표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