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반 산업, 음원의 유통 구조 체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반 산업, 음원의 유통 구조 체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사 배경

2. 음반 산업 현황

3. 유통 과정과 문제점
Ⅰ. 음반(CD,테이프)
Ⅱ. 디지털 음원

4. 결론 및 개선방안

본문내용

을 요구하며, 반품도 거의 허용되지 않는다. 사실 이들 음반사에서 도매상에게 이러한 요구를 하면서 내세우는 근거로 음반도매상과 소매상들이 시장에서 소화될 수 있는 양 이상으로 과도한 주문을 함으로 인해 반품물량이 많아질까 우려하기 때문이라고들 한다.
하지만 이들의 변명은 같은 업체들의 입장에서는 무척 궁색하게 여겨지며, 오로지 약자에게 군림하려는 소인배로 밖에 보이지 않는 것이다. 조금 전에도 언급하였지만, 현재 한국의 소매상, 도매상 관련자들이 음반사 음반을 주문할 때 예측하는 주문수량이라는 것이 거의 경험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들 음반사가 제시하는 위와 같은 거래조건이란 것이 자칫 음반도매상의 담당실무자의 생사, 더 나아가 음반도매상의 생사까지도 손아귀에 넣어 쥐고 흔드는 처사 인 것이다. 더 나아가 이들의 부도덕한 거래행태로 인해서 음반도, 소매상만이 부담을 느끼는 것은 아니다. 힘없고 인기 없는 음반을 취급하는 수많은 중소 음반사들이 같이 피해를 보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들 힘 있는 음반사에서 소위 말하는 대박 음반이 출시되는 시점에 힘없는 중소 음반사들이 음반도매상에 가서 결제를 받는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음반 도매상들이 그들의 요구에 따라 그들에게 결제해주고 나면 영세한 중소 음반사들은 결제일이 되어도 도매상들에게 쉽게 끌려다니게 된다.
●일본의 음반시장
이에 비해 이웃나라 일본의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본의 음반사들은 그들이 만든 음반에 대해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 모든 책임을 지기위해서 얼마나 많은 노력들을 하는가? 일본 빅터사를 주축으로 한 120여 음반사는 NRC를 통해서, 일본 소니는 JARED, 여타의 음반사는 JDS를 통해서 음반의 예상소비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전산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근거로 관련 업체(도매상, 소매상)에 컨설팅 서비스를 해주며, 신속한 정보제공과 신속한 물량공급을 해준다.
진정 힘을 가진 자로서 약자들에게 모든 편의를 제공하는 모범이 우리나라에겐 도전과제로 남아 있다.
이웃나라 일본과 비교할 때 비즈니스의 룰도, 체계적 시스템과 윤리의식이 부족한 우리네 음반사를 볼 때면 정말 한국의 음반 도,소매상은 극히 열악하다.
음반사와 도매상과의 역학관계: 한마디로 한국의 음반도매상은 음반사에 휘둘리기 쉽고 도매상간의 과당경쟁, 제살깎기 경쟁 Back DC 경쟁등의 문제가 있다. 아마도 이 때문에 음반유통이 복마전이란 이야기를 듣게 되는 것이다.
인기 없는 인디레이블 음반을 음반 도,소매상에 납품을 하여 조금이라도 좋은 매장에, 매장의 좋은 위치에 음반을 진열하고자 하는 영세 음반사들은 어쩔 수 없이 음반 도,소매상의 실무자 및 사장들에게 리베이트를 제공하게 된다. 음반 유통의 경험이 없는 영세음반사들로선 음반 소매상과 많은 얘기를 나누게 된다. 하지만 그들과 대화할 때 하나같이 얘기하길 꺼려 하는 것이 있었다. 그것은 각 소매상들이 거래하는 도매처와 그 도매상으로부터 받는 음반 납품가(음반도매가)를 밝히기 꺼려 한다는 것이었다. 불투명한 유통시스템은 그들과 약 1년이란 시간이 지나서야 그 이유를 들을 수 있었고, 그들로부터 자신들의 거래 도매상 및 음반 납품가를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⑴ 음반 도매상들간의 과당경쟁이 주원인 이었다.
⑵ 음반 도매상들이 새로운 거래처를 확보하기위해 가게별(거래처별)로 탄력적으로 위에서 잠깐 언급한 적이 있는 원래의 음반도매가에서 할인(일명 Back DC)을 해주고 있었던 것이었다. 이는 가게별로 소매매출규모를 보면서 등급을 매기고 최고 18%에서 최저5%까지 차등적용하면서 할인을 해 주는 도매상의 대소매상 영업 Tool의 한가지였다.
⑶ 도매상 영업 사원들이 음반을 소매상에 납품하면서, 납품가를 가게마다 다르게 적용하고, 할인율 혜택을 받고 있는 소매상에게는 이웃 소매상에게 절대 알리지 말라고 당부하고, 만약 이웃 소매상이 알게 되면 그러한 혜택을 줄 수 없을 것이라는 반 협박까지 하면서 당부를 하니, 힘이 약한 소매상은 그 나마의 혜택도 박탈당할까 봐 전전긍긍 감추고 있었던 것이었다.
⑷ 또 음반 소매상의 입장에서도 세금을 누락하기위해, 음반의 반품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통상적으로 2-3개의 도매상과 거래를 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주거래 도매상의 노출을 극도로 꺼려하고 있다.
이러한 음반도매상과 음반 소매상간의 웃지 못할 사정들로 인해 다른 사람들이 보았을 때 한국 음반시장을 복마전과 같다라고 하지 않았는가 생각한다.
● 중간유통업자(소매겸업 지방중도매상, 나까마)
음반업계에 몸담고 있는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한국 음반유통구조를 얘기할 때 늘 상 매도 당하는 사람들이 이들 중간도매상이란 것이 좀처럼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한다. 물론 이들이 예전에는 법망을 교묘히 피해 다니면서 유통시장질서(가격 등)를 흐리게 하고, 정비자(정품 생산공장의 생산라인 실무자와 결탁하여 빼돌려진 음반)음반의 유통을 하면서 폭리를 취한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이들 중간 도매상이 예전처럼 활동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자신들의 소매에만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예전에 도매상의 마진율이 좋을 때는 이들의 활약이 두각을 나타내었으나, 현재 도매상간의 과당경쟁으로 도매마진율이 거의 8%도 되지 않는 실정에서 이들이 취할 수 있는 현실적인 이익률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지금은 이들 중간도매상이 약간의 이익으로 큰 도매상의 관리가 된지 않는 영세한 소매상, 지방산간오지의 소매상등에 물건을 납품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 중간도매상 들의 역할을 볼 때 대동맥과 세포혈관을 잊는 일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 음반소매상의 실태와 문제점
(1) 음반소매상의 쇄태
IMF전 6-7000천 개를 상회하던 음반소매상이 2000년을 거처 현재에 이르는 동안 2-3000개로 줄었다. 이는 동네 레코드방이 사라지고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음반산업협회가 조사하여 발표한 2000년 국내시장의 매출규모를 보면 약간은 터무니 없어 보인다. 음반 소매상이 없어지고 있는데 국내음반시장은 성장하고 있다니 뭔가 기형적인 느낌이 드는 것은 왜 일까? 물론, 음반소매의 질적인 성장(메가

키워드

음반,   음악,   산업,   시장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11.30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31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