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실험 기구 및 시약
A. 실험 기구
B. 시약
3. 실험 방법
실험 A. 평형 상수의 결정
실험 B. 용해도곱 상수의 결정
4. 참고 사항
2. 실험 기구 및 시약
A. 실험 기구
B. 시약
3. 실험 방법
실험 A. 평형 상수의 결정
실험 B. 용해도곱 상수의 결정
4. 참고 사항
본문내용
은 방법으로 묽힌 Fe(NO) 용액을 5번 시험관까지 채운다. 용액을 묽힐 때마다 눈금실린더와 비커를 깨끗이 씻어야 한다.
6) 1번과 2번 시험관을 종이로 둘러싸고 느슨하게 테이프를 붙여서 시험관 옆에서 빛이 들어오지 않도록 만든다. 종이 속의 시험관이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흰 종이 위에 두 시험관을 나란히 세운 후에 깨끗하게 씻어서 말린 빈 시험관 하나를 더 준비한다.
7) 1번과 2번 시험관을 위쪽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두 용액의 색깔이 같아질 때까지 스포이드를 이용해서 1번 시험관의 용액을 빈 시험관에 한 방울씩 덜어낸다.
8) 시험관을 둘러싼 종이를 벗겨내고, 밀리미터 단위의 눈금이 새겨진 그래프 용지를 시험관 뒤에 세워서 1번과 2번 시험관에 들어있는 용액의 높이를 측정한다.
9) 3, 4, 5번 시험관에 들어있는 용액도 같은 방법으로 1번 시험관에 들어있는 용액의 색깔과 비교해서 그 높이를 측정한다.
실험 B. 용해도곱 상수의 결정
1) 깨끗하게 씻어서 말린 100 mL 비커 4개에 각각 증류수, 0.10 M, 0.050 M, 0.025 MNaOH 용액을 25 mL 눈금 실린더로 50 mL씩 넣는다.
2) 각 비커에 시약주걱으로 반 정도의 수산화 칼슘 고체를 넣고 10분간 잘 저어서 평형에 도달하도록 한다.
3) 각 비커의 용액을 뷰흐너 깔때기를 이용해서 감압해서 거르고, 거른액을 따로 보관한다.이 때 거른액이 묽혀지면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하고, 각 용액의 온도를 기록한다.
4) 거른액 25 mL를 눈금 실린더로 취해서 100 mL 삼각 플라스크에 담고, 페놀프탈 레인 지시약 2~3 방울을 가한 다음에 0.10 M HCl 표준 용액으로 적정한다.
4. 참고 사항
1) 공통 이온 효과(common ion effect) : 이온 평형계에 그 평형에 참여하는 이온과 공통되는 이온을 외부에서 넣어 주면, 평형은 그 이온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이론이다.
2) 르샤틀리에의 원리(Le Chatelier's principle) : 열역학적 평형이동에 관한 원리로 평형상태에 있는 물질계의 온도나 압력을 바꾸었을 때, 그 평형상태가 어떻게 이동하는가를 설명하는 원리이다. 이 원리에서 물리적, 화학적 변화에 대하여 평형을 이루는 방향으로 운동이나 반응이 진행됨을 알 수 있다.
3) 착이온(complex ion) : 금속 이온을 중심 원자로 하여 리간드가 배위 결합을 한 안정한 이온
6) 1번과 2번 시험관을 종이로 둘러싸고 느슨하게 테이프를 붙여서 시험관 옆에서 빛이 들어오지 않도록 만든다. 종이 속의 시험관이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흰 종이 위에 두 시험관을 나란히 세운 후에 깨끗하게 씻어서 말린 빈 시험관 하나를 더 준비한다.
7) 1번과 2번 시험관을 위쪽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두 용액의 색깔이 같아질 때까지 스포이드를 이용해서 1번 시험관의 용액을 빈 시험관에 한 방울씩 덜어낸다.
8) 시험관을 둘러싼 종이를 벗겨내고, 밀리미터 단위의 눈금이 새겨진 그래프 용지를 시험관 뒤에 세워서 1번과 2번 시험관에 들어있는 용액의 높이를 측정한다.
9) 3, 4, 5번 시험관에 들어있는 용액도 같은 방법으로 1번 시험관에 들어있는 용액의 색깔과 비교해서 그 높이를 측정한다.
실험 B. 용해도곱 상수의 결정
1) 깨끗하게 씻어서 말린 100 mL 비커 4개에 각각 증류수, 0.10 M, 0.050 M, 0.025 MNaOH 용액을 25 mL 눈금 실린더로 50 mL씩 넣는다.
2) 각 비커에 시약주걱으로 반 정도의 수산화 칼슘 고체를 넣고 10분간 잘 저어서 평형에 도달하도록 한다.
3) 각 비커의 용액을 뷰흐너 깔때기를 이용해서 감압해서 거르고, 거른액을 따로 보관한다.이 때 거른액이 묽혀지면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하고, 각 용액의 온도를 기록한다.
4) 거른액 25 mL를 눈금 실린더로 취해서 100 mL 삼각 플라스크에 담고, 페놀프탈 레인 지시약 2~3 방울을 가한 다음에 0.10 M HCl 표준 용액으로 적정한다.
4. 참고 사항
1) 공통 이온 효과(common ion effect) : 이온 평형계에 그 평형에 참여하는 이온과 공통되는 이온을 외부에서 넣어 주면, 평형은 그 이온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이론이다.
2) 르샤틀리에의 원리(Le Chatelier's principle) : 열역학적 평형이동에 관한 원리로 평형상태에 있는 물질계의 온도나 압력을 바꾸었을 때, 그 평형상태가 어떻게 이동하는가를 설명하는 원리이다. 이 원리에서 물리적, 화학적 변화에 대하여 평형을 이루는 방향으로 운동이나 반응이 진행됨을 알 수 있다.
3) 착이온(complex ion) : 금속 이온을 중심 원자로 하여 리간드가 배위 결합을 한 안정한 이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