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디자인-도시 브랜드 마케팅-디자인을 활용한 도시브랜딩, 세계의 디자인 도시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공디자인-도시 브랜드 마케팅-디자인을 활용한 도시브랜딩, 세계의 디자인 도시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들의 실험은 성공해 현재 세계 많은 나라로부터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이 프로젝트로 인해 삭막했던 군 기지가 ‘아트’라는 소재를 통해 지역 주민과의 원활한 소통이라는 성과까지 이루어 냈다. 동경을 중심으로 일본 어디에서든 공공미술과 결합한 공공디자인의 영향은 쉽게 감지할 수 있는데, 특이한 것은 일본의 경우 주민들과의 합의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사실이다.
예술이라는 틀 안에 있는 미술을 어렵게만 느끼지 않고 어린아이부터 노년층 까지 남녀노소 구분 없이 언제 어디에서나 미술을 즐기고 느끼는 것. 이 과정의 반복을 통해 다치카와시 주민, 관광객 모두에게 긍정정인 효과를 가져다주는 파레 다치카와프로젝트는 어느 하나 내세울 것 없던 지역에 예술과의 자유로운 소통, 언제 어디에서나 함께하는 예술로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확고히 했다. 이 디자인 도시 사례는 Ahnholt-GMI에서 PLACE(장소)와 PEOPLE(사람)으로 정해보았는데 이유는 지역전체의 여러 장소에 프로젝트에 걸 맞는 예술품을 수시로 접할 수 있고, 그 지역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프로젝트로 장소명성을 확실히 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사람은 지역주민들 스스로가 이 프로젝트로 인해 지역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고 있고 관광객들 또한 생활 속의 예술이라는 독특한 프로젝트에 큰 매력을 느끼고 일본 방문 시 재방문의 기회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오다이바의 공공디자인-
도쿄만에 있는 대규모 인공섬으로 1800년대 방어목적으로 조성되었다. 1990년대 이후 중요한 상업·거주 및 레저의 복합지역으로 크게 발전하였다.1990년대 초 정부관료 스즈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12.07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46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