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북한의 식량난의 원인
북한의 식량난 해결방안
본인의 느낌
북한의 식량난 해결방안
본인의 느낌
본문내용
꾸면서 2년 후
식량 자급자족국이 됐고 그리고 베트남은 80년대 중반까지 식량 부족으로 국민들이 많은 어려움 격어 오다가 87년에 농업정책
에서 농산물의 생산과 유통을 대폭 자유화 하고 농지의 장기 사용과 매매, 양도 등 각종 권리 행사를 허용함으로서 농산물 생
산을 크게 증가 시켜 현재는 세계 2위의 쌀 수출국으로 부상했습니다.
지금도 북한은 부족한 식량을 원조를 통해 조달할 생각입니다. 북한의 피해사실을 대대적으로 외부에 알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다른 나라나 우리나라는 지원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쌀이 넘쳐 소비를 못하고 있기 때문에 도와주기에 식량의 아까움도 없지만 이렇게 계속 가다간 북한에선 계속해서 지원을 바랄 것 입니다.
그러므로 북한은 앞으로도 계속 지원만 바랄뿐만 아니라 내부적으로 농업정책을 개선해서 식량생산량을 늘리게 된다면 자급자족 할뿐만 아니라
식량 수출국으로 변화될 것 이라 생각합니다.
참고 및 인용문헌.
blog 북한의 만성적인 식량난의 원인. 원철칼럼
blog 베트남 농업생산정보. 추억의상자
blog 북한식량문제
chosun [북한탐구]
북한의 식량난 해결을 위해서는 농업복구 및 개발이 필요 권태진 북한연구소
식량 자급자족국이 됐고 그리고 베트남은 80년대 중반까지 식량 부족으로 국민들이 많은 어려움 격어 오다가 87년에 농업정책
에서 농산물의 생산과 유통을 대폭 자유화 하고 농지의 장기 사용과 매매, 양도 등 각종 권리 행사를 허용함으로서 농산물 생
산을 크게 증가 시켜 현재는 세계 2위의 쌀 수출국으로 부상했습니다.
지금도 북한은 부족한 식량을 원조를 통해 조달할 생각입니다. 북한의 피해사실을 대대적으로 외부에 알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다른 나라나 우리나라는 지원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쌀이 넘쳐 소비를 못하고 있기 때문에 도와주기에 식량의 아까움도 없지만 이렇게 계속 가다간 북한에선 계속해서 지원을 바랄 것 입니다.
그러므로 북한은 앞으로도 계속 지원만 바랄뿐만 아니라 내부적으로 농업정책을 개선해서 식량생산량을 늘리게 된다면 자급자족 할뿐만 아니라
식량 수출국으로 변화될 것 이라 생각합니다.
참고 및 인용문헌.
blog 북한의 만성적인 식량난의 원인. 원철칼럼
blog 베트남 농업생산정보. 추억의상자
blog 북한식량문제
chosun [북한탐구]
북한의 식량난 해결을 위해서는 농업복구 및 개발이 필요 권태진 북한연구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