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단계:자녀독립기
2. 2단계:결혼을 통한 가족구성 단계
3. 3단계:부모기
4. 4단계:청소년기 가족(사춘기 자녀를 둔 단계)
5. 5단계:자녀진수기(자녀가 집을 떠나 세상이라는 바다로 나가는 단계)
6. 6단계:노년기 가족
2. 2단계:결혼을 통한 가족구성 단계
3. 3단계:부모기
4. 4단계:청소년기 가족(사춘기 자녀를 둔 단계)
5. 5단계:자녀진수기(자녀가 집을 떠나 세상이라는 바다로 나가는 단계)
6. 6단계:노년기 가족
본문내용
이 단계의 부모의 나이는 40대 중반부터 60대 중반 사이
- 이 단계는 가장 새롭고 가장 긴 단계이며,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여러 가지 면에서 모든 단계 중에서 가장 문제가 많은 단계
- 자신의 주요 에너지를 자녀에게만 쏟아 왔던 여성들은 ‘빈둥지 시기’ 경험
- 중년세대는 연로한 부모세대를 봉양하는 책임을 지게 되는데 이 책임과 자율성 간의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 이 전환 시기에 부부의 유대가 다시 중요시된다.
- 가족 체계 내의 여러 힘이 결혼생활을 다시 구성하고, 검토하며, 다르게 배열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
- 자녀를 떠나보낸 후 부부는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된다.
- 부모는 자녀의 결혼을 통해 그들 자신의 결혼을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 조부모 세대의 죽음이나 자신의 죽음에 대한 각성은 삶의 질을 높여야겠다는 욕구를 강하게 만든다.
자녀진수기의 정신건강 문제
단계 정신건강 문제
자녀진수기:
자녀가 집을 떠나 세상이라는 바다로 나가는 단계
- 정서 관련:불안, 우울, 외로움, 공허
- 배우자 관련:부부갈등, 불화, 불신, 외도, 이혼
- 자녀 관련:가족체계로부터 자녀독립을 수용하지 못하는 것에서 오는 과잉밀착
- 부부 요인 : 부부간 불화, 갈등, 대화 단절
- 개인 요인 : 새로운 부부체계 형성의 어려움
- 가족 요인 : 인척과 손자를 포함하기 위한 관계의 재조정
- 부모(조부모)의 신체적 노화와 죽음을 다룸
2) 가족 과업
- 의미 있는 새로운 삶의 활동을 발견해야 한다.
- 부모들은 부모에서 조부모의 위치로 이동할 준비를 하고 동시에 자신들의 부모들을 돌보아야 할 책임감에 대한 준비를 하여야 한다.
- 자신만의 시간을 가지거나 여가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 부부관계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새로운 영역이나 역할을 개척하여 제 2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6. 6단계:노년기 가족
1) 정신건강 문제와 가족 요인
- 노인이 있는 가족은 하나의 체계로서 주요한 적응상의 도전에 직면
- 은퇴를 하거나 홀로 되는 것, 조부모가 되는 것, 질병 등의 변화는 가족의 지지와 상실에 대한 적응, 그리고 방향의 재설정과 재조직을 필요로 한다.
- 이 단계에서 성공적인 전환을 위하여 가족이 다루어야 할 문제는 은퇴, 배우자 상실, 조부모 역할, 질환과 신체적인 쇠퇴 및 의존성 등
- 과거와 현재의 가족관계는 노년기의 주요 심리사회적 과업을 수행하고, 자신의 삶과 죽음을 받아들이는 통합성 또는 절망감을 갖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노년기 가족의 정신건강 문제
단계 정신건강 문제
노년기 가족
정서 관련:우울, 불안, 무기력, 자녀 이혼위기로 인한 불안, 편집증 행동 관련:알코올 중독, 가출, 자살 자녀 관련:자녀와의 갈등, 관계 단절, 결혼문제로 자녀와의 불화, 자녀와의 폭언 및 폭행 생존 관련:경제적 의존, 건강악화, 피부양 및 거취문제
노년기 가족의 가족 요인
단계 가족과 관련된 요인
노년기 가족
가족 요인 - 경제적인 문제로 인한 갈등
- 가족 내에서의 소외감, 대화단절
- 원가족과의 갈등
- 결혼한 자녀와의 지나친 밀착
부부 요인 - 부부간 갈등, 의사소통 단절, 폭력, 싸움, 이혼
- 남편의 불성실, 불신, 음주, 외도
- 경제적 무능력 개인 요인 - 삶의 절망에서 오는 우울, 부적응
2) 가족 과업
- 은퇴 이후 은퇴한 배우자의 가정 내의 합류:부부 역할 관계 재구성 및 부부관계 강화
- 은퇴 이후의 재정적인 불안감에 대한 대처
- 근친자 및 배우자의 상실에 대한 극복
- 노년세대는 자신의 세력이 약화된 것을 수용하고 다른 가족 성원에게 의존하는 것을 허용하는 자세
- 자녀세대는 늙어가는 부모에 대한 책임감과 지원
- 피할 수 있는 없는 일들에 대한 수용, 상실을 최소화하며 수용하는 것
참고문헌
정신보건 사회복지의 이해 이영호, 심경순 외 1명 저
정신보건사회복지론 권진숙, 김정진 외 2명 저 | 공동체 |
정신보건 사회사업론 정원철 저 | 공동체 |
김청송(2006). 이상심리학. 서울: 영진.COM
김용식 외(2008). 비정형 항정신병제의 임상.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아리타 히데오(2007). 뇌를 행복하게 하라. 성기홍 외(역). 서울: 푸른솔
ERIC J.MASH 외(2007). 아동이상심리학. 조현춘 외(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RITA WICKS NELSON 외(2005). 아동기 행동장애. 정명숙 외(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청소년 아이프랜드. 이상심리학 http://www.i-friend.org
- 이 단계는 가장 새롭고 가장 긴 단계이며,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여러 가지 면에서 모든 단계 중에서 가장 문제가 많은 단계
- 자신의 주요 에너지를 자녀에게만 쏟아 왔던 여성들은 ‘빈둥지 시기’ 경험
- 중년세대는 연로한 부모세대를 봉양하는 책임을 지게 되는데 이 책임과 자율성 간의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 이 전환 시기에 부부의 유대가 다시 중요시된다.
- 가족 체계 내의 여러 힘이 결혼생활을 다시 구성하고, 검토하며, 다르게 배열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
- 자녀를 떠나보낸 후 부부는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된다.
- 부모는 자녀의 결혼을 통해 그들 자신의 결혼을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 조부모 세대의 죽음이나 자신의 죽음에 대한 각성은 삶의 질을 높여야겠다는 욕구를 강하게 만든다.
자녀진수기의 정신건강 문제
단계 정신건강 문제
자녀진수기:
자녀가 집을 떠나 세상이라는 바다로 나가는 단계
- 정서 관련:불안, 우울, 외로움, 공허
- 배우자 관련:부부갈등, 불화, 불신, 외도, 이혼
- 자녀 관련:가족체계로부터 자녀독립을 수용하지 못하는 것에서 오는 과잉밀착
- 부부 요인 : 부부간 불화, 갈등, 대화 단절
- 개인 요인 : 새로운 부부체계 형성의 어려움
- 가족 요인 : 인척과 손자를 포함하기 위한 관계의 재조정
- 부모(조부모)의 신체적 노화와 죽음을 다룸
2) 가족 과업
- 의미 있는 새로운 삶의 활동을 발견해야 한다.
- 부모들은 부모에서 조부모의 위치로 이동할 준비를 하고 동시에 자신들의 부모들을 돌보아야 할 책임감에 대한 준비를 하여야 한다.
- 자신만의 시간을 가지거나 여가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 부부관계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새로운 영역이나 역할을 개척하여 제 2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6. 6단계:노년기 가족
1) 정신건강 문제와 가족 요인
- 노인이 있는 가족은 하나의 체계로서 주요한 적응상의 도전에 직면
- 은퇴를 하거나 홀로 되는 것, 조부모가 되는 것, 질병 등의 변화는 가족의 지지와 상실에 대한 적응, 그리고 방향의 재설정과 재조직을 필요로 한다.
- 이 단계에서 성공적인 전환을 위하여 가족이 다루어야 할 문제는 은퇴, 배우자 상실, 조부모 역할, 질환과 신체적인 쇠퇴 및 의존성 등
- 과거와 현재의 가족관계는 노년기의 주요 심리사회적 과업을 수행하고, 자신의 삶과 죽음을 받아들이는 통합성 또는 절망감을 갖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노년기 가족의 정신건강 문제
단계 정신건강 문제
노년기 가족
정서 관련:우울, 불안, 무기력, 자녀 이혼위기로 인한 불안, 편집증 행동 관련:알코올 중독, 가출, 자살 자녀 관련:자녀와의 갈등, 관계 단절, 결혼문제로 자녀와의 불화, 자녀와의 폭언 및 폭행 생존 관련:경제적 의존, 건강악화, 피부양 및 거취문제
노년기 가족의 가족 요인
단계 가족과 관련된 요인
노년기 가족
가족 요인 - 경제적인 문제로 인한 갈등
- 가족 내에서의 소외감, 대화단절
- 원가족과의 갈등
- 결혼한 자녀와의 지나친 밀착
부부 요인 - 부부간 갈등, 의사소통 단절, 폭력, 싸움, 이혼
- 남편의 불성실, 불신, 음주, 외도
- 경제적 무능력 개인 요인 - 삶의 절망에서 오는 우울, 부적응
2) 가족 과업
- 은퇴 이후 은퇴한 배우자의 가정 내의 합류:부부 역할 관계 재구성 및 부부관계 강화
- 은퇴 이후의 재정적인 불안감에 대한 대처
- 근친자 및 배우자의 상실에 대한 극복
- 노년세대는 자신의 세력이 약화된 것을 수용하고 다른 가족 성원에게 의존하는 것을 허용하는 자세
- 자녀세대는 늙어가는 부모에 대한 책임감과 지원
- 피할 수 있는 없는 일들에 대한 수용, 상실을 최소화하며 수용하는 것
참고문헌
정신보건 사회복지의 이해 이영호, 심경순 외 1명 저
정신보건사회복지론 권진숙, 김정진 외 2명 저 | 공동체 |
정신보건 사회사업론 정원철 저 | 공동체 |
김청송(2006). 이상심리학. 서울: 영진.COM
김용식 외(2008). 비정형 항정신병제의 임상.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아리타 히데오(2007). 뇌를 행복하게 하라. 성기홍 외(역). 서울: 푸른솔
ERIC J.MASH 외(2007). 아동이상심리학. 조현춘 외(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RITA WICKS NELSON 외(2005). 아동기 행동장애. 정명숙 외(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청소년 아이프랜드. 이상심리학 http://www.i-friend.org
추천자료
가족주기별 발달과업의 개념을 쓰고, 듀발의 가족주기 8단계의 발달단계를 설명.
[남북화해교류, 교류단계, 평화통일, 이산가족]남북화해교류와 교류단계, 남북화해교류와 평...
가족생활주기(가족주기, 가족생활주기단계, 콜린즈, 듀발) 요약
듀발의 가족생활주기를 참고하여 현재 자신의 가족생활주기 단계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현재 ...
[가족복지론_건강가족] 건강가족의 개념, 건강가족의 특성, 건강가족의 발달(건강가족 만들기...
가족발달 단계에서 자신이 현재 어느 단계에 속하는지 규정하고, 현 가족의 고민과 문제를 조사.
[가족복지론] 가족치료의 이론 중에서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와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의...
가족생활주기 단계를 구분하고 단계별 주요 발달과제를 조사하여 정리하시오. 또한 자신이 속...
나의 가족을 분석하고(가족의 구조적, 기능적 특성, 가족가치관, 가족생활주기의 단계 등), ...
가족관계론] 나의 가족을 분석하고(가족의 구조적, 기능적 특성, 가족가치관, 가족생활주기의...
이혼가족의 생활주기의 특성을 단계별로 기술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단계별 상황에 따라 가족생...
우리가족(본인의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생활주기별 정신건강과 관련된 자신의 현재 단계를 서...
가족상담및치료-가족생활주기에 대하여 정리하고 그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가족생활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