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6. 실험 결과
실험1 : 질량이 큰 것 T= 26℃
실험2 : 질량이 작은 것 T=26℃
7. 질문사항
(1) 부력(浮力; buoyancy)이란 무엇입니까?
(2) 아르키메데스의 원리(Archimedes' principle)란 무엇입니까?
(3) 비중(比重;specific gravity)이란 무엇인가 설명하여 봅시다.
(4) 온도에 따른 고체의 비중 변화는 어떻게 됩니까?
7. 결과 및 토의 사항
※ 참고사항
실험1 : 질량이 큰 것 T= 26℃
실험2 : 질량이 작은 것 T=26℃
7. 질문사항
(1) 부력(浮力; buoyancy)이란 무엇입니까?
(2) 아르키메데스의 원리(Archimedes' principle)란 무엇입니까?
(3) 비중(比重;specific gravity)이란 무엇인가 설명하여 봅시다.
(4) 온도에 따른 고체의 비중 변화는 어떻게 됩니까?
7. 결과 및 토의 사항
※ 참고사항
본문내용
일치한다. 대부분 비중과 밀도는 그 값이 같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4) 온도에 따른 고체의 비중 변화는 어떻게 됩니까?
고체의 비중 구하는 식 S=(W/(W-W\'))×ST 인데 여기서 온도에 변화에 따라 변하는 것은 ST이다. 온도가 올라갈수록 ST는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온도에 따른 고체의 비중변화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비중은 작아진다’라고 정리할 수 있다.
7. 결과 및 토의 사항
고체의 비중을 물의 밀도를 이용하여 구하는 실험이었는데 처음엔 왜 물에 물체를 넣는지 몰랐다. 하지만 실험을 하면서 알아 갔다. 물체를 물에 넣는 이유는 물체의 부력과 물의 밀도를 이용해서 비중을 구하기 위함 이었다. 그리고 부력에 대해서도 이제 좀더 자세히 알 수 있었다. 부력은 물에 뜨는 성질을 말하며 물질마다 고유의 부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이 되었다. 그리고 오차에 대해서 인데 거의 오차가 나지 않는 것이 주였던 사실을 미루어 볼때 이번실험은 매우 성공적 이었던것 같다. 오차가 생긴 이유가 몇가지 있는데, 이것은 아무래도 물 속에 들어있는 이물질(먼지 같은 종류의 잔유물들이 떠 다니고 있었다.) 때문에, 그리고 저울의 눈금이 정교하지 않아서 대략적으로 무게가 측정되었다는 점. 실험으로 물체를 넣었다 뺏다를 반복하고 물과 신체 접촉으로 미약한 온도 상승 혹은 하락으로 온도에 따른 물의 밀도가 틀려졌을 수 도 있다.
심험을 할 때는 주의를 기울여서 하였지만 실험이 끝난 후 돌이켜보면 항상 오차가 생기도록 행동하는 것 같다. 앞으로는 더욱더 주의 깊게 실험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 참고사항
밀도 密度 (density)
보통 단위부피당 물질의 질량.그 값은 수치상 비중과 거의 일치한다(유효숫자는 5자리 이내). 물질 속의 원자나 원자 배열의 소밀도(疎密度), 합금이나 혼합물 속의 성분비(成分比) 등을 알아내는데 이용된다. 넓은 뜻으로는 질량 이외의 각종 물리량의 단위부피당 크기, 단위넓이 당 크기, 단위길이 당 크기도 말하며, 각각 부피밀도 넓이밀도(또는 면밀도) 선밀도라고 한다. 엷은 판이나 막 모양의 물체, 또는 실 모양의 물체 등에서 질량의 면밀도선밀도를 쓰는 경우가 많다. 인구밀도는 면밀도의 일종이다.
황동 黃銅 (brass)
구리에 아연을 가하여 만든 합금. 놋쇠라고도 한다. 청동과 함께 중요한 구리합금으로, 황동이 인공적으로 제조된 것은 1520년경 아연원소가 발견된 후부터이다.
(4) 온도에 따른 고체의 비중 변화는 어떻게 됩니까?
고체의 비중 구하는 식 S=(W/(W-W\'))×ST 인데 여기서 온도에 변화에 따라 변하는 것은 ST이다. 온도가 올라갈수록 ST는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온도에 따른 고체의 비중변화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비중은 작아진다’라고 정리할 수 있다.
7. 결과 및 토의 사항
고체의 비중을 물의 밀도를 이용하여 구하는 실험이었는데 처음엔 왜 물에 물체를 넣는지 몰랐다. 하지만 실험을 하면서 알아 갔다. 물체를 물에 넣는 이유는 물체의 부력과 물의 밀도를 이용해서 비중을 구하기 위함 이었다. 그리고 부력에 대해서도 이제 좀더 자세히 알 수 있었다. 부력은 물에 뜨는 성질을 말하며 물질마다 고유의 부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이 되었다. 그리고 오차에 대해서 인데 거의 오차가 나지 않는 것이 주였던 사실을 미루어 볼때 이번실험은 매우 성공적 이었던것 같다. 오차가 생긴 이유가 몇가지 있는데, 이것은 아무래도 물 속에 들어있는 이물질(먼지 같은 종류의 잔유물들이 떠 다니고 있었다.) 때문에, 그리고 저울의 눈금이 정교하지 않아서 대략적으로 무게가 측정되었다는 점. 실험으로 물체를 넣었다 뺏다를 반복하고 물과 신체 접촉으로 미약한 온도 상승 혹은 하락으로 온도에 따른 물의 밀도가 틀려졌을 수 도 있다.
심험을 할 때는 주의를 기울여서 하였지만 실험이 끝난 후 돌이켜보면 항상 오차가 생기도록 행동하는 것 같다. 앞으로는 더욱더 주의 깊게 실험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 참고사항
밀도 密度 (density)
보통 단위부피당 물질의 질량.그 값은 수치상 비중과 거의 일치한다(유효숫자는 5자리 이내). 물질 속의 원자나 원자 배열의 소밀도(疎密度), 합금이나 혼합물 속의 성분비(成分比) 등을 알아내는데 이용된다. 넓은 뜻으로는 질량 이외의 각종 물리량의 단위부피당 크기, 단위넓이 당 크기, 단위길이 당 크기도 말하며, 각각 부피밀도 넓이밀도(또는 면밀도) 선밀도라고 한다. 엷은 판이나 막 모양의 물체, 또는 실 모양의 물체 등에서 질량의 면밀도선밀도를 쓰는 경우가 많다. 인구밀도는 면밀도의 일종이다.
황동 黃銅 (brass)
구리에 아연을 가하여 만든 합금. 놋쇠라고도 한다. 청동과 함께 중요한 구리합금으로, 황동이 인공적으로 제조된 것은 1520년경 아연원소가 발견된 후부터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일반물리실험 / 전자측정연습 (결과레포트)
고체의 선팽창계수 측정 - 결과보고서
질량측정과 액체 옮기기(예비, 결과 모두 포함)
회전관성과 관성모멘트 측정 실험 결과 및 분석
식수의 경도 측정 - 결과
(결과) 열의 일당량 측정
(결과) 피토관을 이용한 유속측정 실험
(결과) 물질의 분자량 측정
전자의 비전하 측정 예비- 결과 보고서
액정의 특성 측정 실험 결과보고서 (LCD 의 기본구조와 간단한 동작원리, LCD의 재료, 말루스...
Chapter 01.길이의 측정 (실험결과 및 분석) - 버니어 캘리퍼 & 마이크로미터
이슬점의 온도 측정(결과보고서)
화학chemistry 엔탈피 결과 레포트-엔탈피 측정(Measurement of Enthalpy)
화학반응열의 측정과 Hess의 법칙(결과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