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생태학 - 15.폐기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건생태학 - 15.폐기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5-1 폐기물의 정의 및 역사
15-2 폐기물 관리정책의 변천
15-3 폐기물의 분류
15-4 폐기물의 특성
15-5 폐기물의 관리체계
15-6 폐기물의 자원화와 에너지 회수
15-7 방사능 폐기물의 영향과 처리 및 처분

본문내용

Trichlorophenol 200톤, Hexachlorocyclohexane 600톤, Dodecyl mercaptan 2,400톤 등이었다. 이 지역에서 문제점이 생기기 시작한 것은 1978년이었다. Love canal 지역은 오염물질에 의하여 호흡기질환 뿐만 아니라 각종 통증, 유산율 증가, 정신 박약아 및 기형아 출산, 원인불명의 이상지환 등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미국 연방정부는 1980년 12월 Superfund법을 제정하여 장래 5년 동안 러브 커넬과 같은 유해지역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신속히 처리하기 위한 16억 달러 상당의 연방기금을 조성하고 유해지역의 조사와 처리 및 보상을 시작하였다.
15-2 폐기물 관리정책의 변천
오늘날 US.EPA는 폐기물관리 행동지침을 정하여, 현실적으로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환경오염을 막는 최선의 방법이 ①3Rs, 즉 소비절약을 통한 발생원 감소, 자원의 재사용 및 재활용을 통한 자원화와 ② 열회수방식의 폐기물소각과 ③철저한 위생매립을 통한 토지의 재이용 등을 동시에 실시하는 \'integrated solid waste management system\'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에 들면서 환경청이 환경처를 거쳐 환경부로 격상되었고, 폐기물의 자원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제고되면서 특정한 폐기물에 대한 부담금제도, 쓰레기종량제 및 환경마크제도의 판매촉진, 상품개발 등을 촉진하는 제도] 등이 도입되고, 폐기물의 자원화에 대한 규정이 포함되면서 기존의 폐기물 관리법 폐기물의 적정한 처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법률
을 대폭 수정하였다.
\'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제정한 법률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서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재활용이 꼭 필요하고, 재활용이 쉽도록 제품의 구조나 재질의 개선 등이 필요한 제품을 제 1종지정제품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재활용을 하기 위해 분리수거를 위한 표시를 의무화한 제 2종 지정제품을 지정하고 있다.
생산자책임활용제(EPR)는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의 일정량 이상을 재활용하도록 생산자에게 의무를 부여하고, 재활용 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실제 재활용에 소요되는 비용 이상을 생산자로부터 징수하는 제도를 말한다.
※재활용 대상※
텔레비전·냉장고·에어컨디셔너·세탁기·컴퓨터 등 가전제품, 타이어·윤활유·형광등·전지류·종이팩·금속캔·페트병·유리병과 이동전화단말기·오디오·플라스틱포장재·스티로폼 등
15-3 폐기물의 분류
우리나라 폐기물 관리법에서는 폐기물의 정의를 \"쓰레기, 소각재, 오니, 폐유, 폐산, 폐알칼리, 동물의 사체 등으로서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하게 된 물질을 말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현재는 폐기물을 성상별로 분류하고 있는데, 즉, 어디서 발생하였던지 간에 유해성에 기준을 두어 성상에 따라 일반 폐기물과 특정 폐기물로 구별하고 있다. 책에서는 3가지 일반적인 범주, 즉①도시고형폐기물 ②산업폐기물 ③유해폐기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1)도시 고형 폐기물
종류
분해기간
종류
분해기간
종이
2~5개월
우유팩
5년
담배필터
10~12년
나무젓가락
20년
일회용컵
20년 이상
가죽구두
25~40년
나일론천
30~40년
금속캔
100년
금속캔
100년
일회용기저귀
100년 이상
칫솔
100년 이상
알루미늄캔
500년 이상
플라스틱용기
500년이상
스티로폼
500년 이상
도시지역에서 발생되는 고형 폐기물, 즉 도시고형폐기물을 구성하는 물질로는 ①식품폐기물 ②쓰레기 ③소각잔류물 ④건축 및 해체폐기물 ⑤처리시설 폐기물 ⑥기타 폐기물로 구분할 수 있다.
(2)산업폐기물
산업 활동으로부터 파생되는 폐기물인데, 일반적으로 쓰레기, 회분, 각종 슬러지, 건축 및 해체폐기물 및 유해폐기물이 포함된다.
(3)유해폐기물
인간, 식물 or 동물에게 즉각적 또는 장기적으로 상당한 위험을 미치는 폐기물을 hazardous waste로 분류하는데, 4가지 특성 중 어떤 한 가지 특성을 나타내면 유해폐기물로 분류한다.
(1) 인화성(ignitability)
flash point가 60°C 이하인 액체. 단 알코올농도 24%(v/v) 이하의 수용액은 제외. 표준기압에서 마찰, 수분흡수, 자발적인 화학변화에 의한 발화, 연소할 수 있는 고체등 포함.
(2) 부식성(corrosivity)
pH 2.0 이하(강산) 또는 12.5 이상 (강염기)인 액체나, 철을 1년동안 6.35mm 이상 부식시키는 액체
(3) 반응성(reactivity)
폭발성 물질 or 환경 중에서 불안정하거나 쉽게 격렬히 반응하는 물질. 물과 격렬히 반응하거나 물에 의해 폭발성 또는 유해성 가스를 생성하는 물질 등도 포함.
(4) 독성특성(toxicity characteristics)
용출시험방법에 의해 특정 기준치를 초과하여 유해물질을 용출하는 폐기물이 포함된다.
15-4 폐기물의 특성
(1) 물리적 조성
① individual components
식품폐기물, 종이, 판지, 플라스틱, 천, 고무, 나무, 유리, 철금속, 비철금속, 회분 등으 로 분리, 나열하여 각각의 성분이 차지하는 비율(w/w %, v/v %)을 측정한느 방법.
폐기물의 3성분이라 함은 Moisture, Volatile Solids, Fixed Solids을 말한다.
② particle size
고형 폐기물 성분 물질의 크기는 물질의 회수에서 특히 회전 스크린 및 자력 분리기와 같은 기계적 수단을 이용할 때 중요.
③ moisture content
고형 폐기물의 수분 함유량은 대게 습한 물질 또는 건조 물질 단위 질량당의 수분질량 으로 나타낸다. wet mass측정법에서는, 시료 중의 수분을 그 물질 중의 습량 %로, dry mass법에서는, 건량 %로 나타낸다.
건량을 구하려면, 고형폐기물을 105°C에서 4시간동안 건조한다. 이 온도와 시간에서 는, 물질이 완전히 탈수되지만 휘발성 물질의 기화는 제한된다.
④ density
고형폐기물의 단위 부피당 차지하는 질량(m/v), 즉 밀도는 폐기물의 발생지역의 위치, 계절, 저장시간 등에 따라서 현저하게 달라지므로 대푯값을 선정할
  • 가격8,4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12.15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65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