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목차
제 1주 개인적 삶과 공동체적 삶의 관계
제 2주 자유란 무엇인가?
제 3주차 자유의 역사
제 4주 자유주의란?
제 5주차 자유주의와 자본주의
제 6주 현대사회와 자유민주주의
7주차 디지털 시대의 자유민주주의
제 9주차 평등이란 무엇인가
제 10주차 평등사회를 위한 평등 사례
제 11주차 한국사회의 평등
제 12주차 동영상 정리
제 13주차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제 14주차 자유로운 평등사회를 향하여
제 2주 자유란 무엇인가?
제 3주차 자유의 역사
제 4주 자유주의란?
제 5주차 자유주의와 자본주의
제 6주 현대사회와 자유민주주의
7주차 디지털 시대의 자유민주주의
제 9주차 평등이란 무엇인가
제 10주차 평등사회를 위한 평등 사례
제 11주차 한국사회의 평등
제 12주차 동영상 정리
제 13주차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제 14주차 자유로운 평등사회를 향하여
본문내용
선할수도 악할수도 있는 가변적 존재
· 자율성과 제도적 정비통한 견제와 균형에 의한 질수유지
· 자유민주주의(혹은 사회민주주의) : 사회과학적 관점
5.1 자유주의 사회의 기본틀
● 자유주의와 민주자본주의는 국가운영의 기조를 ‘자유’이념 , 즉 개인주의와 사회적 효율성에 둠
● 사회주의 혹은 공산주의는 국가운영의 기조를 ‘평등’이념 즉 공동체주의와 사회적 균등성에 둠
6.사회운영체제의 역사적 평가
● 개인적 자율성 인정하지 않고 국가계획 강조한 공산주의체제 붕괴(1980년대)
● 자유주의 체제 역시 민주화에 따른 자유의 확대라는 기대 충족시키지 못함 → 물질적 소비욕구 증폭시켜 ‘풍요속의 빈곤현상’ 초래
7. 미래사회의 과제
● 새로운 패러다임에 바탕한 개인적 삶과 공동체적 삶의 모색
→ 사회발전의 궁극적 목표는 사회성원들의 행복한 삶을 보장하거나 증진하는 방향으로의 변화
→ 20세기 후반 이후 자유와 평등의 조화, 다시 말해 ‘자유로운 평등사회’ 구현을 추구
→ 행복감 = 소유가치 / 욕구
제 2주 자유란 무엇인가?
1. 인간의 자유는 어디서부터 시작되는가?
한나 아렌트(1906 1975) “생각없이 사는 일상적 삶이 악의 근원이다.”
● 인간은 행동하는 존재 → 행동은 환경과의 교호작용 산물
● 자극-반응 과정에 중추신경의 작용에 의해 사유, 판단, 표상 등의 의식적 활동과 선택 행위가 이루어짐
● 환경의 자극에 의해 모든 행동이 결정되는 것은 아님
☞ 인간의 4가지 천부 능력 << 자아의식, 상상력, 양심, 자유의지 >> ☜
● 자유는 무전 반사의 세계에서는 존재하지 않고 사람이 생각하고, 판단에 따라 행동할 때 형성됨
● 사회적 존재로서의 개인에게는 타인이 간섭할 수 없는 어떤 사적 영역이 있음
2. 자유란 무엇인가?
● 자유에 대한 여러 논의들
→ 철학에서의 논점 : 강제 또는 필연에 대립하는 의미로서 자유의지 강조
→ 법적 측면 : 인간은 누구나 자유롭게 태어났으며 자유로울 권리가 있다는 형식적 자유를 강조
→ 정치 이념 : 자유란 모든 사람이 인간다운 삶을 누리는데 있어 핵심가치
→ 사회적 측면 : 자유란 좀더 강한 권력에 대한 관계, 또는 좀더 약한 권력에 대한
사회관계속에서 향유되는 특권
● 자유의 본질
→ 타인의 강제성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결정과 선택에 따라 행동할수 있는 상태
→ 자기 자신의 행위를 선택하고 이끌수 있는 능력, 자신의 삶을 틀잡고 영위할수 있는 능력
● 사회적 가치로서의 자유 :
→ 억압된 상태로부터의 행방
→ 해방은 기쁜 것이요, 즐거운 것이며, 우리 삶에 활력을 주는 것
→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조건적이요, 잠정적이며, 일시적인 것
3. 자율(autonomy)이란?
→ ‘자기’스스로 상황에 적합하게 행동하여 질서를 창출하고, 범례가 되도록 하는 행위. 따라서
자율은 지극히 도덕적 행위
→ 자율은 외부의 규제대신 스스로 규제하는 행위
→ 일반적으로 인간이 ‘나는 어엿한 인간이다’라고 느끼는 인간적 질감은 자율감각과 정비례 :
자율에 비례해서 인간적 희열감, 생도감, 주체감이 솟는다.
→ 자율은 사기(士氣) 의 원천이고 성취.생산의 원리
3-1. 자율의 내재적 조건
● 인간적 존재의 덕목 (P.Tillich. Courage to be)
→ 참여하는 용기(Courage to participate) : 집단의 일원으로 해야할 일에는 겪는 어떤 두려움을
무릅쓰는 용기
→ 자기가 되는 용기(Courage to be oneself) :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행동하는 용기
→ 초월하는 용기(Courage to transcend) : 생사와 시비 등 모든 것을 넘어서는 용기
4. 자유에 대한 주요 학자들의 견해
☞ 아리스토 텔레스 : 외부 환경의 예속에서 벗어나 자신의 의지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가능성
☞ 토마스아퀴나스 : 신은 자유롭기 때문에 신의 의지에 따르는 인간의 예정된 사유나 행위는 자유로운 것으로 봄
☞ 루소 : 인간이 자연상태에서 지니는 속성
∴ [ 자유는 다른 사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성립한다.]
☞ 밀 : 자유란 개성있는 자발적 선택 , 무간섭의 생활 영역
☞ 프롬 : 소극적 자유 ‘~으로부터의 자유’ , 적극적자유 ‘~에의 자유’
☞ 벌린 : 소극적 자유 : 외부의 간섭이나 방해가 없는 상태
적극적 자유 : 이성에 의한 자기 지배 상태
☞ 하이예크 : 인간은 이성적 존재이므로 무한한 자유를 향유할수 있다는 전제하에 ‘ 자유의 무한성’ 강조
원래적 의미의 자유 어떤사람이 자기 자신의 결정과 계획에 따라 행동 할수 있는 가능성
비원래적 의미의 자유 오랜 역사적 과정에서 파생된 자유유형 :
(1.정치적자유 2.내면적자유 3.능력으로서의 자유)
능력의로서의 자유 원하는 것을 행할수 있는 힘 똔느 대안들의 선택 정도
- 강제와 억제의 부재
- 미국 실용주의 정치철학자들의 견해 : J.R. Commons/ John dewey등
“ 자유는 능력이며 구체적인 것들을 하기 위한 효과적 능력 ”
자유를 능력으로 받아들일 때 필연적으로 자유와 경제적 부를 동일시하게되어
자유의 이름으로 자유를 억압하거나 포기하는 과오를 초래함
5. 자유의 존립 조건
● 자유는 ‘제약의 울타리’ 속에서 존립
→ 제약의 울타리가 무너질 때 자유는 증발해 버림
☞ 마리 앙트와네트 : 오! 자유여!! 너의 이름으로 얼마나 많은 무고한 생명을 앗아 갔느뇨!“
☞ 포퍼 : 무제한 자유는 자기 파괴적 , 자유는 적정히 제약될 때 ‘자유의 폭’을 넓히고
‘질 높은 자유’를 누릴수 있다고 봄
● 자유는 ‘제약과 경쟁’에 의해 지켜지고, ‘질 높은 자유’가 됨
→ 자유가 해방감으로 호소력을 지닐수 있엇던 것은 전제적 질서와 자의적 권력의 존재 때문
→ 이러한 질서와 권력은 미주화의 진전에 따라 점차 사라짐
☞ 로렌스 : “인간은 그 무엇인가에 복종하고 제약될 때 자유를 느낀다”
☞ 하이예크 : “인간이 합리적 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경쟁하기 때문에
합리적으로 생각한다.”
● 제약의 방법
→ 자율적 방법 : 내 스스로 자유를 제약하는 방법
이성에 의한 제약 합
· 자율성과 제도적 정비통한 견제와 균형에 의한 질수유지
· 자유민주주의(혹은 사회민주주의) : 사회과학적 관점
5.1 자유주의 사회의 기본틀
● 자유주의와 민주자본주의는 국가운영의 기조를 ‘자유’이념 , 즉 개인주의와 사회적 효율성에 둠
● 사회주의 혹은 공산주의는 국가운영의 기조를 ‘평등’이념 즉 공동체주의와 사회적 균등성에 둠
6.사회운영체제의 역사적 평가
● 개인적 자율성 인정하지 않고 국가계획 강조한 공산주의체제 붕괴(1980년대)
● 자유주의 체제 역시 민주화에 따른 자유의 확대라는 기대 충족시키지 못함 → 물질적 소비욕구 증폭시켜 ‘풍요속의 빈곤현상’ 초래
7. 미래사회의 과제
● 새로운 패러다임에 바탕한 개인적 삶과 공동체적 삶의 모색
→ 사회발전의 궁극적 목표는 사회성원들의 행복한 삶을 보장하거나 증진하는 방향으로의 변화
→ 20세기 후반 이후 자유와 평등의 조화, 다시 말해 ‘자유로운 평등사회’ 구현을 추구
→ 행복감 = 소유가치 / 욕구
제 2주 자유란 무엇인가?
1. 인간의 자유는 어디서부터 시작되는가?
한나 아렌트(1906 1975) “생각없이 사는 일상적 삶이 악의 근원이다.”
● 인간은 행동하는 존재 → 행동은 환경과의 교호작용 산물
● 자극-반응 과정에 중추신경의 작용에 의해 사유, 판단, 표상 등의 의식적 활동과 선택 행위가 이루어짐
● 환경의 자극에 의해 모든 행동이 결정되는 것은 아님
☞ 인간의 4가지 천부 능력 << 자아의식, 상상력, 양심, 자유의지 >> ☜
● 자유는 무전 반사의 세계에서는 존재하지 않고 사람이 생각하고, 판단에 따라 행동할 때 형성됨
● 사회적 존재로서의 개인에게는 타인이 간섭할 수 없는 어떤 사적 영역이 있음
2. 자유란 무엇인가?
● 자유에 대한 여러 논의들
→ 철학에서의 논점 : 강제 또는 필연에 대립하는 의미로서 자유의지 강조
→ 법적 측면 : 인간은 누구나 자유롭게 태어났으며 자유로울 권리가 있다는 형식적 자유를 강조
→ 정치 이념 : 자유란 모든 사람이 인간다운 삶을 누리는데 있어 핵심가치
→ 사회적 측면 : 자유란 좀더 강한 권력에 대한 관계, 또는 좀더 약한 권력에 대한
사회관계속에서 향유되는 특권
● 자유의 본질
→ 타인의 강제성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결정과 선택에 따라 행동할수 있는 상태
→ 자기 자신의 행위를 선택하고 이끌수 있는 능력, 자신의 삶을 틀잡고 영위할수 있는 능력
● 사회적 가치로서의 자유 :
→ 억압된 상태로부터의 행방
→ 해방은 기쁜 것이요, 즐거운 것이며, 우리 삶에 활력을 주는 것
→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조건적이요, 잠정적이며, 일시적인 것
3. 자율(autonomy)이란?
→ ‘자기’스스로 상황에 적합하게 행동하여 질서를 창출하고, 범례가 되도록 하는 행위. 따라서
자율은 지극히 도덕적 행위
→ 자율은 외부의 규제대신 스스로 규제하는 행위
→ 일반적으로 인간이 ‘나는 어엿한 인간이다’라고 느끼는 인간적 질감은 자율감각과 정비례 :
자율에 비례해서 인간적 희열감, 생도감, 주체감이 솟는다.
→ 자율은 사기(士氣) 의 원천이고 성취.생산의 원리
3-1. 자율의 내재적 조건
● 인간적 존재의 덕목 (P.Tillich. Courage to be)
→ 참여하는 용기(Courage to participate) : 집단의 일원으로 해야할 일에는 겪는 어떤 두려움을
무릅쓰는 용기
→ 자기가 되는 용기(Courage to be oneself) :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행동하는 용기
→ 초월하는 용기(Courage to transcend) : 생사와 시비 등 모든 것을 넘어서는 용기
4. 자유에 대한 주요 학자들의 견해
☞ 아리스토 텔레스 : 외부 환경의 예속에서 벗어나 자신의 의지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가능성
☞ 토마스아퀴나스 : 신은 자유롭기 때문에 신의 의지에 따르는 인간의 예정된 사유나 행위는 자유로운 것으로 봄
☞ 루소 : 인간이 자연상태에서 지니는 속성
∴ [ 자유는 다른 사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성립한다.]
☞ 밀 : 자유란 개성있는 자발적 선택 , 무간섭의 생활 영역
☞ 프롬 : 소극적 자유 ‘~으로부터의 자유’ , 적극적자유 ‘~에의 자유’
☞ 벌린 : 소극적 자유 : 외부의 간섭이나 방해가 없는 상태
적극적 자유 : 이성에 의한 자기 지배 상태
☞ 하이예크 : 인간은 이성적 존재이므로 무한한 자유를 향유할수 있다는 전제하에 ‘ 자유의 무한성’ 강조
원래적 의미의 자유 어떤사람이 자기 자신의 결정과 계획에 따라 행동 할수 있는 가능성
비원래적 의미의 자유 오랜 역사적 과정에서 파생된 자유유형 :
(1.정치적자유 2.내면적자유 3.능력으로서의 자유)
능력의로서의 자유 원하는 것을 행할수 있는 힘 똔느 대안들의 선택 정도
- 강제와 억제의 부재
- 미국 실용주의 정치철학자들의 견해 : J.R. Commons/ John dewey등
“ 자유는 능력이며 구체적인 것들을 하기 위한 효과적 능력 ”
자유를 능력으로 받아들일 때 필연적으로 자유와 경제적 부를 동일시하게되어
자유의 이름으로 자유를 억압하거나 포기하는 과오를 초래함
5. 자유의 존립 조건
● 자유는 ‘제약의 울타리’ 속에서 존립
→ 제약의 울타리가 무너질 때 자유는 증발해 버림
☞ 마리 앙트와네트 : 오! 자유여!! 너의 이름으로 얼마나 많은 무고한 생명을 앗아 갔느뇨!“
☞ 포퍼 : 무제한 자유는 자기 파괴적 , 자유는 적정히 제약될 때 ‘자유의 폭’을 넓히고
‘질 높은 자유’를 누릴수 있다고 봄
● 자유는 ‘제약과 경쟁’에 의해 지켜지고, ‘질 높은 자유’가 됨
→ 자유가 해방감으로 호소력을 지닐수 있엇던 것은 전제적 질서와 자의적 권력의 존재 때문
→ 이러한 질서와 권력은 미주화의 진전에 따라 점차 사라짐
☞ 로렌스 : “인간은 그 무엇인가에 복종하고 제약될 때 자유를 느낀다”
☞ 하이예크 : “인간이 합리적 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경쟁하기 때문에
합리적으로 생각한다.”
● 제약의 방법
→ 자율적 방법 : 내 스스로 자유를 제약하는 방법
이성에 의한 제약 합
키워드
추천자료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현실과 효율적 시행을 위한 개선 방안
효율적인 학습전략
한국 경제의 나아갈 길 ( 한국경제의 과거와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부제 : 한국 경제의 비효...
생활체육지도자의 효율적 관리 및 생활체육 발전방안
[문화정책][문화정책 활용방안][문화정책 사례][문화산업]문화정책의 범주, 문화정책의 변화,...
한국존슨물류효율화 사례
빈곤가정 아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저비용, 고효율적 측면)
학교현장에서 효율적인 통합교육 방안 및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역할
[글쓰기] 글로벌 리더 양성을 위한 외국어고등학교 존속 -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인재들을 효...
유기농산물 소비성향 변화에 따른 판매 효율화 전략
다문화가정 영유아들의 언어발달 도모를 위한 본인이 생각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안과 보육시...
길버트와 스펙트에 따른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고, 사회복지서비스가 ...
[교육사회/학력경쟁] 현재의 치열한 학력경쟁, 과연 효율적인 것인가?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과 전통적 실천방법 중 클라이언트 문제해결에 있어 어떠한 접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