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분석/조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만 [분석/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비만의 정의와 개념 1
2. 비만도 측정 방법 1
3. 비만의 원인 3
가. 유 전
나. 과 식
다. 불규칙한 식사
라. 간 식
마. 운동 부족
바. 심리적 원인
사. 약 물
아. 호르몬의 요인
4. 비만의 종류 4
5. 비만이 되기 쉬운 체질 5
6. 비만인 사람들의 생활습관 5
7. 비만을 유발시키는 음식들 6
8. 비만으로 인한 질병 6
9. 비만의 위험성 6
가. 순환기계 질환
나. 내분비 대사계 질환
다. 소화기계 질환
라. 호흡기계 질환
10. 비만과 정상인의 수명, 건강 차이 7
11. 비만인 사람의 피해와 문제 7
12. 비만의 치료와 효과 8
가. 식이요법
나. 운동요법
다. 행동수정요법(인지행동치료)
라. 약물치료
13. 비만 관리(치료) 비용 10
14. 요요현상 10
15. 비만을 피하기 위한 12가지 방법 11

본문내용

비만의 정의와 개념
비만 [肥滿, obesity] - 과다한 체지방을 가진 상태를 이르는 말.
비만이란 과다한 체지방을 가진 상태를 의미한다.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일 때, 임상적으로는 BMI(Body Mass Index:체질량지수)가 30.1 이상인 경우, 현재체중이 이상체중을 20% 초과하는 경우로 정의된다.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비만이란 에너지 섭취가 에너지 소비보다 많은 에너지 불균형의 결과로 소비되지 않고 남은 에너지가 지방조직에 체지방으로 축적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쉽게 말해서 체중이 평균보다 과하게 많이 나가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체중이 많이 나간다고 하여서 그것이 꼭 비만은 아니라는 것 입니다. 비만은 체지방의 양에 대한 개념일 뿐이고 체지방의 양이 반드시 체중과 비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체지방은 나쁜 것일까요?
물론 아닙니다. 우리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지방은 필수적이죠. 그런데 이 필수적 지방양 에는 남녀의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남자는 지방조직보다는 근육조직이 발달되어있고 여자는 근육조직보다는 지방조직이 훨씬 발달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비만을 판단하는데 남녀의 기준이 다릅니다.
남자의 경우 체지방량이 체중의 14 ~ 17%이면 정상, 여자의 경우는 19 ~ 22% 정도의 체지방량을 가지는 경우 정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비만은 체지방량이 남자는 체중의 25% 이상, 여성은 30% 이상인 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
비만도 측정 방법
비만의 측정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명칭과 방법들을 한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올바른 신체 계측 방법
2. 표준체중(Ideal body weight) 구하기
- 가쓰라의 방법(일반적인 방법)
공식⇒표준체중=[{신장(cm)-100}× 0.9]kg
판정⇒표준체중의 ± 10% : 정상(44.79kg~54.75kg)
- 브로커의 방법
공식⇒표준체중={신장(cm)-100}kg
판정⇒표준체중의 ± 10% : 정상(49.77kg~60.83kg)
- 존스의 방법
공식⇒표준체중=[신장(cm)-100-{(신장-150)/4}]kg
판정⇒표준체중의 ± 10% : 정상(48.57kg~59.37kg)
- 마쓰타니 등의 방법
공식⇒표준체중={(신장-100)× 0.6+20}kg
판정⇒표준체중의 ± 10% : 정상(47.86kg~58.50kg)
3. 비만도 구하기(100-120: 과체중, 120이상: 비만)
- 가쓰라의 방법(일반적인 방법)
공식⇒비만도 = 실제체중/표준체중× 100
- 브로커의 방법
공식⇒비만도 = 실제체중/표준체중× 100
- 존스의 방법
공식⇒비만도 = 실제체중/표준체중× 100
- 마쓰타니 등의 방법
공식⇒비만도 = 실제체중/표준체중× 100
4.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구하기
공식⇒BMI = 체중(kg)/
판정⇒BMI : 20~24.9kg/ = 정상.
5. 허리/엉덩이 둘레비(Waist/hip ratio, WHR) 구하기
공식⇒WHR = 허리둘레/엉덩이둘레
판정⇒여자의 경우 0.83(0.90)이상일 때 복부비만
6. 허리둘레 측정을 통한 복부비만도 구하기
공식⇒67~73cm(26.4~28.7inch)
판정⇒정상
7. 피하지방 두께 측정법(Measurement of skinfold thickness and circumference)
- 피부 주름두께 측정법은 캘리퍼(caliper)를 사용하여 위팔의 뒤쪽 부위와 어깨뼈의 밑 부분에서 피부 주름 두께를 측정하고 그 합으로부터 체밀도를 계산하는 식으로 체지방률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상완부와 견갑부의 피하지방 두께를 더하여 남자에서는 45㎜이상,
여자에서는 60㎜이상을 비만으로 판정한다.
8. 로러지수(Rohrer index)
공식⇒RI = {체중(kg)/(cm)}×
판정⇒RI가 160 이상이면 비만
9. 수중 체밀도법(Hydrodensitometry)
10. 생체 전기저항 측정법(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BIA)
11. 초 음파법(Ultrasound assessment of fat)
12. 근 적외선 측정법(Near infrared absorption assessment of fat)
13. 팔 X선 지방측정(Arm X-ray assessment of fat) 등등
분량 상 더 추가하지 못하지만 이 외에도 더욱 많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비만의 원인
그렇다면 왜 비만이 되는 것일까요?
저는 비만의 원인을 6가지로 요약해 보았습니다.
유 전 - 비만의 원인 중 가장 큰 것으로 보이는 유전은 부모가 모두 비만이면 그 자녀가 살이 찔 가능성은 70% 정도이고, 부모 중 한 사람이 비만일 경우는 40% 정도이며, 부모가 모두 비만이 아닌 경우에는 약 10%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모가 비만이면 그 자녀들도 비만이 되는 확률이 높은 이유는 유전인자가 강한데다 생후 부모의 식습관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뚱뚱한 가정의 경우, 부모의 기호식품(햄버거, 피자 등 열량이 많은 것들)을 자녀가 똑같이 먹거나 많이 접하기 때문에 살이 찌게 되는 것이죠.
과 식 - 비만의 기본적인 원인은 섭취에너지가 소비에너지보다 높아서 생기는 것입니다. 과식 이라 하면 생리적 요구량 이상으로 음식물을 섭취하는 일인데, 이는 식욕이 보통 이상으로 높아진 경우에 발생합니다. 음식물은 일정량까지는 체내에서 조절기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정도가 약하지만 과도하게 되면 비만이 되게 됩니다. 하지만 많이 먹더라도 그 보다 소비가 더 많다면 과식이 아니며, 조금 먹더라도 소비가 적다면 과식이 되죠. 과식은 섭식 행동을 조절하는 신경중추의 기능 이상으로 생겨날 수 있으며 과잉 인슐린의 공복중추 자극, 뇌 속의 아민 기구의 이상, 페프티드 호르몬의 이상,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적 욕구충족 등 모두가 과식의 원인입니다.
불규칙한 식사 - 현대인들은 시간에

키워드

  • 가격8,4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12.18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68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