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샤의 혁신경영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샤의 혁신경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위해서다.
또, ERP시스템을 도입하여 경영활동을 신속하게 결정해 회사 전체의 IT시스템을 여러 국가에 공격적으로 진출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 적응할 수 있도록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추어 가고 있다. ERP시스템 구축을 통해 온오프라인 통합 마케팅을 강화할 수 있게 됐으며, 통합 IT체계 구축으로 실시간 의사결정체계를 확립해 향후 비용절감과 경영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샤의 해외 진출의 유통구조
미샤는 해외 진출에 대해서는 세계 각국을 크게 전략 국가와 비전략 국가로 나눴다. 전략 국가는 직접 진출을 원칙으로 하며 비전략 국가는 에이전트나 제휴 형태를 띠는 간접 진출을 기본으로 한다. 그 나라의 경제 상황, 화장품 시장, 소비자 의식 등을 고려해 어떤 방법이 쉽고 유리한 지를 종합해서 판단한다. 서영필 사장은 화장품 시장에 거품이 많은 것은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라며 ‘아예 세계 화장품의 판세를 바꿔 놓겠다’며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해외에서 가장 먼저 오픈한 시드니의 경우는 한국 제품 유통을 해 본 적이 있는 호주업체 코스트와 제휴를 했다. 싱가포르의 경우도 현지 사정에 밝은 티정션이라는 업체와 손을 잡았다. 시드니 점의 경우 일반적 제품의 가격은 1.5달러에서 12달러 선으로 책정하였다. 3~4개 품목을 한데 묶은 선물세트가 33달러다. 여기서 파는 제품들은 한국에서 만든 것이 70%이고 나머지 30%는 로스앤젤레스 등 미국에서 하청 생산한 것이다. 호주 진출에 있어서는 호주의 화장품 유통회사 코스트그룹이 미샤 수입판매를 위해 설립한 미샤 오세아니아와 지난달 판매 계약을 체결하였다. 에이블C&C와 계약을 맺은 현지 파트너는 호주와 싱가포르에 미샤 화장품을 독점 수입 판매하게 되며, 가맹점 사업도 벌일 수 있게 된다.
최근 일본 진출까지 모색하고 있는 미샤는일본 IT 전문 그룹인 라이브도어그룹의 ‘밸류클릭재팬㈜’과 일본내 온라인 판매 대행에 관한 업무 조인식을 체결했다. 일본 내의 판매는 주로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질 전망이라고 판단된다. 밸류클릭재팬㈜는 향후 미샤 재팬(www.misshjp.com) 사이트를 구축, 운영하면서 모기업인 ‘라이브도어(www.livedoor.com)’ 사이트를 중심으로 미샤 화장품의 온라인 판매를 대행하게 된다. 야후 재팬, 라쿠텐과 같은 일본내 유명 포탈사이트 및 인터넷 쇼핑몰에 입점하고 @cosme (www.cosme.net 일본의 화장품 관련 입소문 사이트)등의 화장품 리뷰 사이트 등을 적극 활용하여 미샤 화장품의 초기 브랜드 이미지 형성과 대대적인 온라인 판매망 구축에 전력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밸류클릭재팬㈜는 미샤 화장품의 일본 내 수입, 유통을 위해 화장품 전문 인력을 대거 채용했으며 나고야에 물류 창고까지 확보를 마친 상태이다. 구축 기간 2개월을 고려하면 오는 4월경 ‘미샤 재팬(www.misshajp.com)’사이트가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3.미샤의 혁신경영의 조사를 마치며
지난 2000년 대한화장품공업협회가 집계한 국내 화장품 업체는 178개로 나타났다. 지난 97년 130여개에 불과했던 것에 비하면 국내 화장품 시장도 매우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국 1만2864개(주간 코스메틱 집계, 2001년 10월 기준) 화장품 전문점들은 최근 인터넷 쇼핑몰의 등장과 방문 판매 시장의 활성화, 홈쇼핑의 발전 등으로 인해 극도로 점유율이 낮아지고 있는 형편이다. 실제 화장품 전문점의 개수는 지난 90년대 80%에 육박하던 것이 현재 38%로 줄어들었다. 이러한 유통 채널의 다변화는 국내 화장품 산업의 또 다른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인터넷 쇼핑몰이 2000여개로 늘어나면서 화장품업체들은 큰 고민에 빠졌다. 국내 화장품 유통 시장 가격 문란의 최대 원인도 인터넷에 있다는 말도 종종 나돌 정도다.
이런 화장품 현황 중 새로 등장한 화장품 제품이 있다. 국내 최초의 인터넷 전문 브랜드인 미샤가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미샤는 기존 화장품 시장의 불합리한 구조를 완전 개선하여 250가지 제품을 3300원에 제공할 수 있는 가격 경쟁력으로 판매자의 이익과 소비자 만족을 감동적으로 극대화 하였다. 또한 미샤는 전국에 100만명 이상의 여성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뷰티넷을 통하여 이제까지 화장품 대기업까지 제공하지 못하였던 온-오프라인 마케팅을 사용하고 있다. 또 인터넷과 TV, 라디오,신문, 잡지 등 모든 대중매체를 이용하여 적극적이고 활발한 홍보활동으로 브랜드 파워 및 인지도를도를 향상시킴 으로써 매출증대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번 광고에는 보아라는 인기 스타를 모델로 내세워 보아의 팬이 많은 10~20대를 타깃으로 이 연령대가 화장품의 주요 고객층이라는 사실만으로도 큰 효과를 거둘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거기에 정기적으로 제품의 정확한 이해를 돕는 제품교육과 최상의 고객 서비스를 유지시키기 위한 서비스 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제품의 생산에서 보관, 주문에 이르기까지 빈틈없는 품질관리와 전 제품을 테스트 할 수 있게 한 서비스까지 고객만족을 위한 최상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미샤는 1년 만에 매출이 10배가 올랐고 전국의 주요 유통 거점을 장악했다. 미샤를 만든 에이블씨엔씨의 서영필 사장은 1000만원으로 창업, 5년 만에 연매출 1000억원을 기록하는 ‘신화’의 주인공이 됐다. 미샤의 성공요인은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이었다. 원가를 높이는 주범인 화려한 용기를 바꾸고 케이스를 없앴다. 기존 유통구조에서 받아주지 않자 온라인으로 눈을 돌렸다.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대화를 나누고, 고객이 직접 화장품 가격을 결정하도록 했다. 온라인을 통해 입소문이 나자 오프라인 매장에도 고객이 몰려들었다. 인터넷 인프라를 이용하면 전통산업에서도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음을 미샤는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미샤는 이러한 여러 가지 면에 있어서 흥미로운 기업이었다. 우리 조가 미샤를 선택한, 가장 커다란 이유는 화장품 업계에서는 화장품 업계의 역사는 미샤가 등장한 이전과 이후로 나눠야 한다‘고 평가할 만큼 유통 체계에서의 획기적인 변화로 매출의 성장을 이루었기
  • 가격13,86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2.12.18
  • 저작시기200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68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