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 단진자 운동
2. 실험 목적
3. 이론
4. 실험방법
5. 실험 결과
6. 분석 및 토의
7. 참고 문헌
2. 실험 목적
3. 이론
4. 실험방법
5. 실험 결과
6. 분석 및 토의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을 알 수 있는데, 이것 또한 공기 저항의 영향 때문이다. 또한 이런 현상 때문에 반대편으로 이동할 때 처음 각도보다는 약간 작은 각이 나오게 된다.
두 번째는 전향력이다. 이상적인 단진자는 2차원 적으로 움직이나, 실제로는 지구의 전향력 때문에 단진자가 약간 회전하게 된다. 이것 때문에 단진자의 이동거리가 길어져 주기가 길게 나왔을 것이다.
하지만, 실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 실험 중 실수로 인해 오차가 난 것도 있었다. 우선 진자를 놓을 때 실수이다. 진자를 정렬하고 놓을 때 정중앙으로 맞추지 못하고 약간 대각선 방향으로 놓는 바람에 단진자 운동 방향이 약간 틀어졌다. (사실 아까 얘기했던 전향력 보다 지금 이 실험상의 오류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 것 같음.)
다른 하나는 장력의 문제이다. 구에 매달려 있던 실은 굵기가 일정하지 않았다. (이를테면, 두 번 감아서 매듭져 있거나 실이 끊어져 다른 두 재질의 실로 매듭) 또한 마지막 실험에서 구리로 된 구의 주기를 측정할 때 그것을 매달았던 실이 두 종류였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실험 때와는 다른 장력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고 그것이 실험값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7. 참고 문헌
일반물리학 및 실험
두 번째는 전향력이다. 이상적인 단진자는 2차원 적으로 움직이나, 실제로는 지구의 전향력 때문에 단진자가 약간 회전하게 된다. 이것 때문에 단진자의 이동거리가 길어져 주기가 길게 나왔을 것이다.
하지만, 실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 실험 중 실수로 인해 오차가 난 것도 있었다. 우선 진자를 놓을 때 실수이다. 진자를 정렬하고 놓을 때 정중앙으로 맞추지 못하고 약간 대각선 방향으로 놓는 바람에 단진자 운동 방향이 약간 틀어졌다. (사실 아까 얘기했던 전향력 보다 지금 이 실험상의 오류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 것 같음.)
다른 하나는 장력의 문제이다. 구에 매달려 있던 실은 굵기가 일정하지 않았다. (이를테면, 두 번 감아서 매듭져 있거나 실이 끊어져 다른 두 재질의 실로 매듭) 또한 마지막 실험에서 구리로 된 구의 주기를 측정할 때 그것을 매달았던 실이 두 종류였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실험 때와는 다른 장력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고 그것이 실험값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7. 참고 문헌
일반물리학 및 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