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채란? ----------------------------------- 1P
2. 숙채란? ----------------------------------- 1P
3. 숙채와 생채의 이용되는 채소류 ------------- 2P
4. 생채의 종류 ------------------------------ 3P
5. 생채의 조리법과 효능 ------------------- 4~5P
6. 숙채의 종류 ------------------------------ 6P
7. 숙채의 조리법과 효능 ------------------- 7~8P
2. 숙채란? ----------------------------------- 1P
3. 숙채와 생채의 이용되는 채소류 ------------- 2P
4. 생채의 종류 ------------------------------ 3P
5. 생채의 조리법과 효능 ------------------- 4~5P
6. 숙채의 종류 ------------------------------ 6P
7. 숙채의 조리법과 효능 ------------------- 7~8P
본문내용
목 차
1. 생채란? ----------------------------------- 1P
2. 숙채란? ----------------------------------- 1P
3. 숙채와 생채의 이용되는 채소류 ------- 2P
4. 생채의 종류 ----------------------------- 3P
5. 생채의 조리법과 효능 ------------------ 4~5P
6. 숙채의 종류 ----------------------------- 6P
7. 숙채의 조리법과 효능 ------------------ 7~8P
참고문헌 : 우리 음식 백가지2, 한국음식의 맛과 멋
한국음식에 이해, 한국음식
1. 생채란?
생채(生菜)는 계절마다 새로 나오는 생식가능한 싱싱한 채소들을 익히지 않고 초장, 고추장, 겨자장을 묻힌 것을 말하며 일반적인 찬품을 말한다. 양념으로는 식초와 설탕을 사용하여 숙채(熟菜)와는 달리 새콤한 맛을 나게 한다. 또한 파, 마늘을 많이 쓰지않고, 진한 맛보다는 산뜻한 맛을 내는 것이 좋다. 겨자채나 냉채는 생채 분류에 속하며 특히 겨자채는 채소 외에 편육이나 전복, 새우 등의 해산물을 삶아 차게 식혀서 함께 무치기도 한다.
2. 숙채란?
숙채(熟菜)는 익혀서 만드는 채소요리와 나물요리이다. 물에 데치거나 기름에 볶은 나물을 말하고. 우리나라 음식의 부식 중 가장 기본적이고 대중적인 음식이다 나물은 숙채와 생채의 총칭이나 보통 나물이라 하면 숙채를 말하고 숙채류의 재료는 모든 채소를 쓰고있으며, 또 제철에 나는 채소들을 여러 방법으로 말려 두었다가 겨울이나 이른봄에 불려서 먹기도한다.
무침나물은 채소를 찌거나 데친후 소금이나 간장 또는 고추장으로 간을 맞추고 파.마늘.
깨소금.들깨가루.참기름.고춧가루 등의 양념을 넣어 양념이 나물에 잘 배이도록 무쳐낸 것이다 빛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서는 깨 소금 대신 잣가루 간장 대신 소금을 쓰고 손으로 주물러 손맛과 정성이 들어가는 음식이며 볶음나물은 채소를 날 것 그래도 또는 1~2%가량의
소금에 절여서 꼭 짠것 또는 데친 것을 기름에 볶아서 갖은 양념으로 한것이다.
뜯어온 나물이 많으면 잘 말려 꼭꼭 묶어 두었다가 입맛 없을때 겨울철에 큰반친이다
자연의 내음을 제대로 느끼게 해주는 우리의 토종나물 깊은 산골 양지별 녹둔에서 맑은 이슬 맞고 신선한 공기속에서 자란 무공해 나물이다.
3. 생채와 숙채의 이용되는 채소류
표 - 나물, 생채의 이용되는 채소류
분류
종류
잎.줄기채소
고구마줄기.고들빼기.고사리.고춧잎.구기자잎.냉이.달래.돌나물.양배추.상추.쑥주.쑥갓.순채.슴바귀 .죽순.호박잎.씀바귀 .시금치 등이잇구
뿌리채소
감자.고구마.더덕.도라지.무.양파.연근.우엉.인삼.토란
열매채소
가지.노각.동과.박.애호박.오이.풋고추.호박
산나물
고사리.고잣바기.냉이.물망이.다북쑥.달래.돌나무.메꽃.물쑥
들나물
고들빼기.슴바귀.소루쟁이.물쑥.다래
버섯류
까치버섯.느타리버섯.능이버섯.목이버섯.싸리버섯.석이버섯.송이버섯
표 - 나물, 생채의 이용되는 양념및 부재료
나물
주된 양념
선별이용된 양념
부재료
무침나물
간장.소금.파.마늘.깨소금.참기름
생강.된장.고추장.고춧가루.실고추.식초.새우젓.들깨즙.잣즙.겨자.설탕.통깨.양지머리국물
잣.배.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
1. 생채란? ----------------------------------- 1P
2. 숙채란? ----------------------------------- 1P
3. 숙채와 생채의 이용되는 채소류 ------- 2P
4. 생채의 종류 ----------------------------- 3P
5. 생채의 조리법과 효능 ------------------ 4~5P
6. 숙채의 종류 ----------------------------- 6P
7. 숙채의 조리법과 효능 ------------------ 7~8P
참고문헌 : 우리 음식 백가지2, 한국음식의 맛과 멋
한국음식에 이해, 한국음식
1. 생채란?
생채(生菜)는 계절마다 새로 나오는 생식가능한 싱싱한 채소들을 익히지 않고 초장, 고추장, 겨자장을 묻힌 것을 말하며 일반적인 찬품을 말한다. 양념으로는 식초와 설탕을 사용하여 숙채(熟菜)와는 달리 새콤한 맛을 나게 한다. 또한 파, 마늘을 많이 쓰지않고, 진한 맛보다는 산뜻한 맛을 내는 것이 좋다. 겨자채나 냉채는 생채 분류에 속하며 특히 겨자채는 채소 외에 편육이나 전복, 새우 등의 해산물을 삶아 차게 식혀서 함께 무치기도 한다.
2. 숙채란?
숙채(熟菜)는 익혀서 만드는 채소요리와 나물요리이다. 물에 데치거나 기름에 볶은 나물을 말하고. 우리나라 음식의 부식 중 가장 기본적이고 대중적인 음식이다 나물은 숙채와 생채의 총칭이나 보통 나물이라 하면 숙채를 말하고 숙채류의 재료는 모든 채소를 쓰고있으며, 또 제철에 나는 채소들을 여러 방법으로 말려 두었다가 겨울이나 이른봄에 불려서 먹기도한다.
무침나물은 채소를 찌거나 데친후 소금이나 간장 또는 고추장으로 간을 맞추고 파.마늘.
깨소금.들깨가루.참기름.고춧가루 등의 양념을 넣어 양념이 나물에 잘 배이도록 무쳐낸 것이다 빛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서는 깨 소금 대신 잣가루 간장 대신 소금을 쓰고 손으로 주물러 손맛과 정성이 들어가는 음식이며 볶음나물은 채소를 날 것 그래도 또는 1~2%가량의
소금에 절여서 꼭 짠것 또는 데친 것을 기름에 볶아서 갖은 양념으로 한것이다.
뜯어온 나물이 많으면 잘 말려 꼭꼭 묶어 두었다가 입맛 없을때 겨울철에 큰반친이다
자연의 내음을 제대로 느끼게 해주는 우리의 토종나물 깊은 산골 양지별 녹둔에서 맑은 이슬 맞고 신선한 공기속에서 자란 무공해 나물이다.
3. 생채와 숙채의 이용되는 채소류
표 - 나물, 생채의 이용되는 채소류
분류
종류
잎.줄기채소
고구마줄기.고들빼기.고사리.고춧잎.구기자잎.냉이.달래.돌나물.양배추.상추.쑥주.쑥갓.순채.슴바귀 .죽순.호박잎.씀바귀 .시금치 등이잇구
뿌리채소
감자.고구마.더덕.도라지.무.양파.연근.우엉.인삼.토란
열매채소
가지.노각.동과.박.애호박.오이.풋고추.호박
산나물
고사리.고잣바기.냉이.물망이.다북쑥.달래.돌나무.메꽃.물쑥
들나물
고들빼기.슴바귀.소루쟁이.물쑥.다래
버섯류
까치버섯.느타리버섯.능이버섯.목이버섯.싸리버섯.석이버섯.송이버섯
표 - 나물, 생채의 이용되는 양념및 부재료
나물
주된 양념
선별이용된 양념
부재료
무침나물
간장.소금.파.마늘.깨소금.참기름
생강.된장.고추장.고춧가루.실고추.식초.새우젓.들깨즙.잣즙.겨자.설탕.통깨.양지머리국물
잣.배.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
추천자료
[물과 건강- 상수와 하수] 수원의 종류와 수질환경기준(수질오염지표) 및 상수처리방법, 수질...
<영유아 11월 3번째 일일 계획안> 책 - 책의 종류 : 책의 종류를 알고 책이 주는 즐거움과 이...
<영유아 11월 1번째 일일 계획안> 책 - 책의 종류 : 책의 종류를 알고 책이 주는 즐거움과 이...
<영유아 11월 1번째 일일 계획안> 책 - 책의 종류 : 책의 종류를 알고 책이 주는 즐거움과 이...
[자성체, 자성체 정의, 자성체 종류, 자성체 재료, 자성체 이용분야, 자성체물질, 자성체 이...
[보청기, 보청기 개요, 보청기 종류, 보청기 발전과정, 보청기 선택, 보청기 취급, 보청기 상...
[유산, 유산 개념, 유산 종류, 유산과 인공유산, 유산과 습관성유산, 유산과 유산휴가제도, ...
[버섯, 버섯 정의, 버섯 종류, 버섯 특징, 영양소, 서식지, 탄자니아버섯산업]버섯의 정의, ...
[징계, 징계 의미, 징계 종류, 징계 범위, 징계 시효, 징계 효력, 징계와 징계해고, 징계해고...
소리의 세계 - 사람의 음성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음성의 종류 (말,후두의 기능,음성의 종류)
공공부조와 사회보험의 차이점을 비교분석 한 후 우리나라 공공부조제도의 종류와 사회보험의...
[건설建設시공학] 건축공사시 인·허가 종류와 그 내용 - 건축허가 정의, 건축 인허가의 절차,...
컨테이너 하역장비 : 컨테이너 운송의 개요와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운송의 장단점, 선형...
공공부조와 사회보험의 차이점 비교분석한 후 우리나라 공공부조제도의 종류와 사회보험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