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과정]영어_조기교육의_실태와_문제점_그리고_개선방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육과정]영어_조기교육의_실태와_문제점_그리고_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영어조기교육의 정의
2)부모들은 조기교육을 왜 하는가?
3)조기교육, 선행학습이라는 병
4)영어조기교육 교육의 공포마켓팅
5)영어 조기교육의 문제점
6)영어 조기교육 NO! 적기교육 YES!




3. 결 론
조기교육은 그릇을 채우는것이다.
그전에 그릇을 크게 만들자.

본문내용

비아, 브라질....
(4) 조기 영어 교육 실시에 따른 제도 교육의 문제점
1) 어학 실습실이나 시청각 기자재가 태부족.
2) 영어 담당 지도 교사 태부족.
3) 능력별 개인지도 불가능.
2. 조기 영어 교육에 대한 세계적인 경향은
어린이는 성인보다 더 빠르게, 더 능률적으로 외국어를 배운다.
In many countries the traditional age for the learning of a foreign language has been eleven or twelve : in the early years of secondary education. In recent time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body of opinion maintaining that this is already too late. It is claimed that we are not capitalizing on the natural ability to learn languages which the younger child possesses and which is already warning as the child apporoaches his teens. As a result the FLES(Foreign Language in the Elementary School) movement has spread rapidly, not only in the United States but also in the United Kingdua and suae countries of Eurout. Foreign language have long been taught at this early age in many countries of Asia and Africa where much of the child\'s education has had to be in a national or international language rather than in the vernacular. (Wilga M. River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8, P359)
이와 같이 11-12세에 시작하는 외국어 교육이 시기적으로 너무 늦다.
3. 세계 각국의 영어 교육 현황
아시아-제 2언어: 홍콩, 싱가폴
제2언어, 공용어: 필리핀, 말레이시아(초등학교 수업 언어)
방글라데시,네팔, 북한=4학년, 미얀마=1학년, 태국,이라크=5학년
일본
아프리카- 가나,케냐,라이베리아,나이지리아, 스와질란드, 우간다, 잠비아=초등 수업 언어
에티오피아=5학년
4, 유아때 영어 교육의 필요성
Chomsky, Slobin, Mcneil 등에 의하면 선천적으로 LAD를 가지고 태어난다고 보고 있으며, LAD는 외부로부터 받는 극히 제한적이고 불완전한 일차적인 언어 자료를 가지고도 그 언어의 문법 규칙을 형성하며 이 규칙으로써 무한한 문법적인 문장을 이해하고 또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LAD는 1-6세 사이에 가장 왕성한 작용을 하여 이 기간에는 어린이가 언어 환경에 자연스럽게 노출이 되기만 하면 몇 개의 언어라도 모국어와 같이 쉽게 배울 수 있게 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으며 사춘기가 되면 LAAD는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고 한다. 그러므로 외국어 교육은 LAD가 가장 왕성한 2-6세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한다.
5. LAD의 존재
It is a common experience in the district in Bengal in which the writer resides to hear English children threeenr fnur yearsenld who ha c been bnrn in the cnuntry cnn chilng freely at different times with their parents in English, with their ayahs(nurses) in Bengali, with the garden-cnolies in Santali, with the munshi(teacher) and much labnrinus effnrt just sufficient Hindustash to comprehend what the hnuse-servants are saylng(provided they do not speak too quickly)and to ir ue simpleenrdchi to them cnnnected with domestic affairs. It is e cn not unusal to seeeEnglish parents in India unableeto undchitand what their servants are saylng to them in Hindustash, and being dri cn in cnnsequence to bring along an English childen tfnur nr fi c yearsenld, if available, to act as interpreter.(Tombear25:53:cited by Scigleton 1989: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 Second language evidence)
인도에 거주하는 영국의 3-4세 된 유아가 부모와는 영어로, 보모에게는 뱅갈어로, 정원사에게는 산탈어로, 하녀에게는 힌두어로 자유스럽게 대화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었다.
6. 또 그런 사례
Andersen 은 Glenn Doman을 인용하여 Tommy라는 아이에 대한 실험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선천적으로 뇌에 심한 이상을 지니고 태어난 토미는 병원에서 진찰한 결과, div으로 말 할 수도 걸을 수도 없으리라는 진단을 받았으나 4세가 되었을 때 읽을 수 있엇다고 하는데 이것은 어린이에게 존재하는 LAD가 선천적으로 언어 능력을 발휘한 때문이다.
7. Andersen의 또 다른 보고.
Smith라는 미국의 한 소령은 직업상 부인과 4세된 아들을 데리고 그가 30세 되던 해에 독일로 갔다. 그는 독일에서 훌륭한 시설과 교수 밑에서 독일어를 열심히 배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7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12.24
  • 저작시기201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73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