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화의 세계 12 / 11 / 01>
*마법
1.[물귀신 닉세]-‘물의요정’
1.similia similibus
2.Pars pro toto
2.[그라이프 새]
3.[뱀에 대한 동화]
[황금 아이들]
[두 형제]
< 2012 / 11 / 06 화요일, 동화의 세계 >
황금아이들- 식물과 인간의 운명 공동체
[두 형제] - 무생물[칼]과 운명 공유
3.교감마법
4. 말마법
5.음악마법
< 동화의 세계 12 / 11/ 08 목 >
*경이로움
(1) 인간중심적 세계관
(2)경이로움의 유발자: 현실세계 속에 있음.
< 동화의 세계 , 12 / 11 / 13 >
(3) 인물의 평면성
(4) 공간의 일차원성
(5) 승화의 법칙
1. 죽 음 : 살 인
[노간주나무]
[오누이].[백설공주] 죽음 ---> 줄거리 지연 기능
[오누이]
2. 죽 음 : 형 벌
열두 오빠 - 모계 사회의 시절 동화로 추정
< 동화의 세계, 12 / 11 / 15 >
-죽음과 결부된 잔인성
Ⅱ 죽음의 문화학적 해석
1.죽음:형벌
[대부로 삼은 저승사자]- <생명의 불에 대한 믿음>
< 고대 문화 의식 -> 공주 희생, 의식적 왕 희생 그림 >
죽음(형벌) = 희생으로서의 죽음
< 동화의 세계, 12 / 11 / 20 , 화요일 >
2.죽음:살인
<Arnold van gennep 의 “3단계 이론“ : 인류학자>
[백설공주],[장미 공주], [홀레 할머니],
[라푼첼]
< 동화의 세계 , 12 / 11 / 22 목요일 >
* 초자연적 존재
1.마녀
[트루데 부인] : 공포 유발
1.동화 속의 마녀
(1) 초자연적 존재 : [헨젤과 그레텔]
(2) 사악한 존재 = 마녀
빗자루 타는 마녀 = 독일의 ‘Baba Jaga’
[두 형제]
[수수께끼]
* 중세의 마녀 믿음
마녀 Hexe 어원 : hagazussa
1. 방주문헌
2. 합성어
< 동화의 세계 2012 / 11 / 27 >
*마녀 묘사에서 마녀박해의 영향
[헨젤과 그레텔] 판본비교
Ⅱ. 물귀신 닉세 (Nixe)
[물귀신 닉세],[연못 속의 물귀신 닉세]
Ⅲ. Holle 할머니
동화 [홀레 할머니]
*인간과 동물
1.운명공동체
[뱀에 대한 동화]
[노간주나무]
2. 도움을 주는 동물
3.변신
< 동화의 세계 2012 / 11 / 29 >
*행동방식
독일 [개구리 왕자] VS 한국 [두꺼비 신랑]
일본 [복숭아 부인]
1월6일까지 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
<선물>
<선물의 의미>
<크리스마스 트리>
<1월 6일 = 공헌축일>
*마법
1.[물귀신 닉세]-‘물의요정’
1.similia similibus
2.Pars pro toto
2.[그라이프 새]
3.[뱀에 대한 동화]
[황금 아이들]
[두 형제]
< 2012 / 11 / 06 화요일, 동화의 세계 >
황금아이들- 식물과 인간의 운명 공동체
[두 형제] - 무생물[칼]과 운명 공유
3.교감마법
4. 말마법
5.음악마법
< 동화의 세계 12 / 11/ 08 목 >
*경이로움
(1) 인간중심적 세계관
(2)경이로움의 유발자: 현실세계 속에 있음.
< 동화의 세계 , 12 / 11 / 13 >
(3) 인물의 평면성
(4) 공간의 일차원성
(5) 승화의 법칙
1. 죽 음 : 살 인
[노간주나무]
[오누이].[백설공주] 죽음 ---> 줄거리 지연 기능
[오누이]
2. 죽 음 : 형 벌
열두 오빠 - 모계 사회의 시절 동화로 추정
< 동화의 세계, 12 / 11 / 15 >
-죽음과 결부된 잔인성
Ⅱ 죽음의 문화학적 해석
1.죽음:형벌
[대부로 삼은 저승사자]- <생명의 불에 대한 믿음>
< 고대 문화 의식 -> 공주 희생, 의식적 왕 희생 그림 >
죽음(형벌) = 희생으로서의 죽음
< 동화의 세계, 12 / 11 / 20 , 화요일 >
2.죽음:살인
<Arnold van gennep 의 “3단계 이론“ : 인류학자>
[백설공주],[장미 공주], [홀레 할머니],
[라푼첼]
< 동화의 세계 , 12 / 11 / 22 목요일 >
* 초자연적 존재
1.마녀
[트루데 부인] : 공포 유발
1.동화 속의 마녀
(1) 초자연적 존재 : [헨젤과 그레텔]
(2) 사악한 존재 = 마녀
빗자루 타는 마녀 = 독일의 ‘Baba Jaga’
[두 형제]
[수수께끼]
* 중세의 마녀 믿음
마녀 Hexe 어원 : hagazussa
1. 방주문헌
2. 합성어
< 동화의 세계 2012 / 11 / 27 >
*마녀 묘사에서 마녀박해의 영향
[헨젤과 그레텔] 판본비교
Ⅱ. 물귀신 닉세 (Nixe)
[물귀신 닉세],[연못 속의 물귀신 닉세]
Ⅲ. Holle 할머니
동화 [홀레 할머니]
*인간과 동물
1.운명공동체
[뱀에 대한 동화]
[노간주나무]
2. 도움을 주는 동물
3.변신
< 동화의 세계 2012 / 11 / 29 >
*행동방식
독일 [개구리 왕자] VS 한국 [두꺼비 신랑]
일본 [복숭아 부인]
1월6일까지 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
<선물>
<선물의 의미>
<크리스마스 트리>
<1월 6일 = 공헌축일>
본문내용
”
집안에는 훌륭한 식사가 차려져 있음, 잠자리도 챙겨줌
하지만 할머니는 나쁜,사악한. 마녀였음
빵으로 만든집은 그들을 꼬일려고 만들어진 집이었음.
마녀-사람고기를 먹음
백설공주의 계모 -> 백설공주의 허파와 간을 먹는다 -> 마녀다.
그날이 할머니 날에게는 잔칫날이었습니다.
마녀들은 눈이 빨갛고, 그리고 먼곳을 볼 수가 없다[근시, 심각한 근시]
그대신 짐승들 처럼 냄새를 잘맡음 [후각 발달]
다음날 새벽같이 일어난 마녀는 헨젤을 잡아다 우리에 집어 넣음.
그레텔에게 물을 길어 오라고 심부름을 시킴. -> 남동생 삶아 먹을 것.
자이로우신 하나님, help. -> 기독교적 색체.
빵을 구을 곳 -> 그레텔은 잘 달궈졌는지 모르겠다며 마녀가 확인하게 함.
마녀를 속여 불속에 밀어넣어 태워 죽임 -> 마녀는 화형 !
헨젤과 그레텔은 도망치려고 주위를 보니, 진주와 보석이 있음.
주머니에 들어가는 만큼 보석을 주머니에 넣음.
시냇물을 만나자, 건널 다리도 없고 아무것도 없음.
그레텔이 보니 하얀 오리가 헤엄치고 있음
“오리야 오리야, 그레텔과 헨젤이 여기있단다. 징검다리가 없단다, 너의 하얀 등에 태워다 시냇물을 넘겨주라”
오리에 둘다 동시에 타기엔 오리가 너무 힘드니, 헨젤먼저 태워주고 자기는 나중에 탐- 헨젤이 착하다. 여자는 정신적으로 성숙하기 때문에 동물과 대화를 함.
집으로 가보니 계모는 죽고 행복하게 살았다.
< 동화의 세계 , 12 / 11 / 13 >
(3) 인물의 평면성
(4) 공간의 일차원성
(5) 승화의 법칙
1.동화에 묘사된 죽음
-동화 초반부에서 죽음: [신데렐라],[백설공주] -> 등장인물이 사라짐
1. 죽 음 : 살 인
주인공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
조연 ----> 주인공
[노간주나무]
죽음--> 줄거리 촉진 기능
[노간주나무]
계모-> 전처의 자식 구박, 학대 (계모 -> 마녀)
옛날 옛적에 어쩌면 2천년도 더전에 있었던 일입니다.
부자와 아내가 살았으나 아이가 없었다 -> 부인은 아이가 생기게 해달라고 기도
집앞에는 뜰이 있었는데, 거기엔 노간주 나무가 있었음.
부인이 사과를 깎다가 손을벰, -> 피가 뚝뚝 떨어짐
눈위에 떨어진 핏방울을 보며 이처럼 눈처럼 하얗고 핏방울 처럼 빨간 이쁜
아이가 있었으면 좋겠다며 말함
시간이 흐르고, 7달후 노간주나무열매가 탐스럽게 익어서 따먹음
9달후 아이놓고 기뻐서 죽어버림 -> 아내의 유언대로 노간주나무밑에 묻음
시간이 지나서, 재혼함
재혼해서 아이도 낳음
부인을 바라볼때는 사랑스럽게 보나, 전처의 아들을 바라볼때는 괴로움
딸의 앞길을 막을 것 만 같아서 [ 재산 분배 -> 전처의 아들 > 딸 ]
딸에게 재산을 물려주기 위해, 전처의 아들을 죽이기로 함.
어느날 어린딸이 사과달라고 하자 ok
딸이 오빠도 주자고하자 그 소릴 듣고 화가남
악마의 속삭임 -> [아들아 사과 하나 먹을래?], [궤짝 속에 사과를 스스로 꺼내라고 하고
아이가 머리를 집어넣자 뚜껑을 확 닫아서 아이가 머리가 잘려서 죽음]
아무도 모르게 아이를 끓여 순대국을 만듬.
딸은 울고 울었음. 그 눈물이 냄비에 떨어져 간을 맞출 필요가 없음 ->극단의 법칙?
딸은 계속 울음
남편이 순대국을 맛있어서 다 먹음 -> 뼈는 식탁밑에 던지고, 딸이 비단 헝겊을 가져와서 뼈들을 그 뼈를 다모아 눈물을 흘리며 노간주나무 아래 푸른 풀밭아래 가져다 놓음
그러자 마음이 편안해짐 -> 노간주나무가 움직이기 시작하며 나뭇가지가 벌어졌다 모아짐 -> 박수치는 모습
보자기 속에서 연기가 나며 새한마리가 날아오르더니 저 멀리 날라감~
손수건과 뼈가 사라지고 없음
새는 멀리멀리 날아가 금세공사 집 앞에서 노래를 불렀다
“우리엄마는 나를 죽였고, 우리엄마는 나를 먹었네, 내 누이 동생은 내 뼈를 다모아
노간주 나무 밑에 놓어두었네 , 삐릿삐릿 난 이쁜 새야 “
금세공사 -> 한번만 더 들려줘.
새 -> 공짜 x , 금목걸이 줌
구두쇠 -> 공짜 빨간 구두
방앗간 -> 맷돌
아버지 집으로 날아와 노래를 또 부름 -> 누이동생이 나오니, 빨간 구두를 선물해줌
아빠가 나가자 금목걸이를 선물. 계모가 나가자 -> 머리위에 맷돌을 떨어뜨림 -> 여자는 박살남
그 자리에서 연기와 불길이 솟아오름 -> 연기가 사라지자 거기에 오빠가 서있음
엄마가 죽었는데도 슬퍼하지않고, 아버지 딸 아들은 행복하게 살았음.
[오누이].[백설공주] 죽음 ---> 줄거리 지연 기능
[오누이]
전처와 계모와 전처의 자식간의 관계.
오누이 -> 숲으로 떠남 -> 숲에 있는 모든 샘에다가 마법을 걸어 샘물을 마시면 안됨
남자 오빠는 목마르면 마시려고 함.
여자 동생은 샘이 말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음
오빠가 샘물을 먹으려 하자, 누이동생은 샘이 말하는
“나를 마시면 호랑이가 된다 !” 라는 소리를 듣게 됨
여자동생이 오빠를 말림. -> 숲을 또 겉다보니 두 번째 샘에서 오빠가 샘물을 마시려고함
“나를 마시면 늑대가 되” 라는 소릴 듣고 오빠를 또 말림
또 길을 걷다가 3번째 샘에서 “나를 마시면 사슴이 된다” 라는 소릴 듣고 여동생이 말렸지만
오빤 사슴으로 변해버림. 누이동생이 사슴이된 오빠를 보살피며 숲속 작은집에서 살게됨
어느날 왕이 숲속에서 사냥을 하러옴
사슴이된 오빠가 구경하고 싶어 나가고 싶다고 누이동생에게 졸라서 결국 구경감
대신 저녁에 반드시 돌아오라.
누이야 나를 들여 보내줘. => 집안으로 들여주기로함
사슴이 다리를 다침 -> 누이야 나를 들여보내줘 -> 한 사냥꾼이 듣게되고 문을 열어주는것을 보게됨 ->> 너무 아름다운 여자가 사슴을 집으로 들여보내주는 것을 왕에게 말함
왕 -> 사냥꾼을 누이집에서 먼 곳으로 사슴을 몰아라.
왕 -> 누이집 가서 , 누이야 나를 들여 보내줘 => 문이 열리고 왕이 집안으로 들어가자 아름다운 소녀가 있었음. 소녀는 사슴이 아니라 머리에 금관을 쓴 남자가 들어오자 깜짝 놀람
“나와 함께 나의 성으로 가자 , 나의 사랑스런 아내가 되어 주겠소?” -> 소녀 “ok\"
소녀가 대신 사슴도 같이 가야 합니다. -> 왕 ok
성으로 가서 성대하게 결혼식을 올림.
오빠가 사슴으로 변신 ->변신 모티브 -> 지연 모티브
집에 있던 계모가, 전처의 딸이 여왕이
집안에는 훌륭한 식사가 차려져 있음, 잠자리도 챙겨줌
하지만 할머니는 나쁜,사악한. 마녀였음
빵으로 만든집은 그들을 꼬일려고 만들어진 집이었음.
마녀-사람고기를 먹음
백설공주의 계모 -> 백설공주의 허파와 간을 먹는다 -> 마녀다.
그날이 할머니 날에게는 잔칫날이었습니다.
마녀들은 눈이 빨갛고, 그리고 먼곳을 볼 수가 없다[근시, 심각한 근시]
그대신 짐승들 처럼 냄새를 잘맡음 [후각 발달]
다음날 새벽같이 일어난 마녀는 헨젤을 잡아다 우리에 집어 넣음.
그레텔에게 물을 길어 오라고 심부름을 시킴. -> 남동생 삶아 먹을 것.
자이로우신 하나님, help. -> 기독교적 색체.
빵을 구을 곳 -> 그레텔은 잘 달궈졌는지 모르겠다며 마녀가 확인하게 함.
마녀를 속여 불속에 밀어넣어 태워 죽임 -> 마녀는 화형 !
헨젤과 그레텔은 도망치려고 주위를 보니, 진주와 보석이 있음.
주머니에 들어가는 만큼 보석을 주머니에 넣음.
시냇물을 만나자, 건널 다리도 없고 아무것도 없음.
그레텔이 보니 하얀 오리가 헤엄치고 있음
“오리야 오리야, 그레텔과 헨젤이 여기있단다. 징검다리가 없단다, 너의 하얀 등에 태워다 시냇물을 넘겨주라”
오리에 둘다 동시에 타기엔 오리가 너무 힘드니, 헨젤먼저 태워주고 자기는 나중에 탐- 헨젤이 착하다. 여자는 정신적으로 성숙하기 때문에 동물과 대화를 함.
집으로 가보니 계모는 죽고 행복하게 살았다.
< 동화의 세계 , 12 / 11 / 13 >
(3) 인물의 평면성
(4) 공간의 일차원성
(5) 승화의 법칙
1.동화에 묘사된 죽음
-동화 초반부에서 죽음: [신데렐라],[백설공주] -> 등장인물이 사라짐
1. 죽 음 : 살 인
주인공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
조연 ----> 주인공
[노간주나무]
죽음--> 줄거리 촉진 기능
[노간주나무]
계모-> 전처의 자식 구박, 학대 (계모 -> 마녀)
옛날 옛적에 어쩌면 2천년도 더전에 있었던 일입니다.
부자와 아내가 살았으나 아이가 없었다 -> 부인은 아이가 생기게 해달라고 기도
집앞에는 뜰이 있었는데, 거기엔 노간주 나무가 있었음.
부인이 사과를 깎다가 손을벰, -> 피가 뚝뚝 떨어짐
눈위에 떨어진 핏방울을 보며 이처럼 눈처럼 하얗고 핏방울 처럼 빨간 이쁜
아이가 있었으면 좋겠다며 말함
시간이 흐르고, 7달후 노간주나무열매가 탐스럽게 익어서 따먹음
9달후 아이놓고 기뻐서 죽어버림 -> 아내의 유언대로 노간주나무밑에 묻음
시간이 지나서, 재혼함
재혼해서 아이도 낳음
부인을 바라볼때는 사랑스럽게 보나, 전처의 아들을 바라볼때는 괴로움
딸의 앞길을 막을 것 만 같아서 [ 재산 분배 -> 전처의 아들 > 딸 ]
딸에게 재산을 물려주기 위해, 전처의 아들을 죽이기로 함.
어느날 어린딸이 사과달라고 하자 ok
딸이 오빠도 주자고하자 그 소릴 듣고 화가남
악마의 속삭임 -> [아들아 사과 하나 먹을래?], [궤짝 속에 사과를 스스로 꺼내라고 하고
아이가 머리를 집어넣자 뚜껑을 확 닫아서 아이가 머리가 잘려서 죽음]
아무도 모르게 아이를 끓여 순대국을 만듬.
딸은 울고 울었음. 그 눈물이 냄비에 떨어져 간을 맞출 필요가 없음 ->극단의 법칙?
딸은 계속 울음
남편이 순대국을 맛있어서 다 먹음 -> 뼈는 식탁밑에 던지고, 딸이 비단 헝겊을 가져와서 뼈들을 그 뼈를 다모아 눈물을 흘리며 노간주나무 아래 푸른 풀밭아래 가져다 놓음
그러자 마음이 편안해짐 -> 노간주나무가 움직이기 시작하며 나뭇가지가 벌어졌다 모아짐 -> 박수치는 모습
보자기 속에서 연기가 나며 새한마리가 날아오르더니 저 멀리 날라감~
손수건과 뼈가 사라지고 없음
새는 멀리멀리 날아가 금세공사 집 앞에서 노래를 불렀다
“우리엄마는 나를 죽였고, 우리엄마는 나를 먹었네, 내 누이 동생은 내 뼈를 다모아
노간주 나무 밑에 놓어두었네 , 삐릿삐릿 난 이쁜 새야 “
금세공사 -> 한번만 더 들려줘.
새 -> 공짜 x , 금목걸이 줌
구두쇠 -> 공짜 빨간 구두
방앗간 -> 맷돌
아버지 집으로 날아와 노래를 또 부름 -> 누이동생이 나오니, 빨간 구두를 선물해줌
아빠가 나가자 금목걸이를 선물. 계모가 나가자 -> 머리위에 맷돌을 떨어뜨림 -> 여자는 박살남
그 자리에서 연기와 불길이 솟아오름 -> 연기가 사라지자 거기에 오빠가 서있음
엄마가 죽었는데도 슬퍼하지않고, 아버지 딸 아들은 행복하게 살았음.
[오누이].[백설공주] 죽음 ---> 줄거리 지연 기능
[오누이]
전처와 계모와 전처의 자식간의 관계.
오누이 -> 숲으로 떠남 -> 숲에 있는 모든 샘에다가 마법을 걸어 샘물을 마시면 안됨
남자 오빠는 목마르면 마시려고 함.
여자 동생은 샘이 말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음
오빠가 샘물을 먹으려 하자, 누이동생은 샘이 말하는
“나를 마시면 호랑이가 된다 !” 라는 소리를 듣게 됨
여자동생이 오빠를 말림. -> 숲을 또 겉다보니 두 번째 샘에서 오빠가 샘물을 마시려고함
“나를 마시면 늑대가 되” 라는 소릴 듣고 오빠를 또 말림
또 길을 걷다가 3번째 샘에서 “나를 마시면 사슴이 된다” 라는 소릴 듣고 여동생이 말렸지만
오빤 사슴으로 변해버림. 누이동생이 사슴이된 오빠를 보살피며 숲속 작은집에서 살게됨
어느날 왕이 숲속에서 사냥을 하러옴
사슴이된 오빠가 구경하고 싶어 나가고 싶다고 누이동생에게 졸라서 결국 구경감
대신 저녁에 반드시 돌아오라.
누이야 나를 들여 보내줘. => 집안으로 들여주기로함
사슴이 다리를 다침 -> 누이야 나를 들여보내줘 -> 한 사냥꾼이 듣게되고 문을 열어주는것을 보게됨 ->> 너무 아름다운 여자가 사슴을 집으로 들여보내주는 것을 왕에게 말함
왕 -> 사냥꾼을 누이집에서 먼 곳으로 사슴을 몰아라.
왕 -> 누이집 가서 , 누이야 나를 들여 보내줘 => 문이 열리고 왕이 집안으로 들어가자 아름다운 소녀가 있었음. 소녀는 사슴이 아니라 머리에 금관을 쓴 남자가 들어오자 깜짝 놀람
“나와 함께 나의 성으로 가자 , 나의 사랑스런 아내가 되어 주겠소?” -> 소녀 “ok\"
소녀가 대신 사슴도 같이 가야 합니다. -> 왕 ok
성으로 가서 성대하게 결혼식을 올림.
오빠가 사슴으로 변신 ->변신 모티브 -> 지연 모티브
집에 있던 계모가, 전처의 딸이 여왕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