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문화탐방 요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도문화탐방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95)
· 국가사적 제 458호 지정, 후기 구석기시대 연대=1만 4천 년 전~
화순 효산리, 대산리 고인돌 선사유적(1995)
장흥댐 수몰지역내 고인돌 공원
나주 복암리 고분군(1~4호분)→ 백제 말기(5~6C)의 무덤임을 알 수 있다. “3호분”
· 국가사적 제 404호 지정
옹관묘(3~4C까지도 쓰임), 수혈식 석곽묘, 횡혈식 석실묘(=돌방무덤)
→ 점차 발전되는 모습이 보임. 제 5·6·7·13호 횡혈식 석실묘
금동신발, 금은창삼엽환두도 출토됨.
여수 돌산읍 송도패총(신석기시대)- 국립광주박물관 발굴
→ 전남지역에서 처음으로 발굴한 신석기시대 패총
흑요석이 나왔다.(∴교류했음을 알 수 있다.)
여수시 남면 안도리 안도패총(신석기시대)- 국립광주박물관 조사
인골이 나왔고, 무덤이 있다. 흑요석이 나왔음.(∴교류했음을 알 수 있다.)
타제석기, 갈린돌이 나왔음.
완도 청산면 여서리 여서도 패총(신석기시대)- 뼈도구, 옹형토기, 토우가 나옴.
여수 적량동 상적 지석묘군- 전남대학교 박물관 조사
비파형동검(요령식동검)이 많이 나왔음.― 수십 점
여수 오림동 지석묘군(신앙)- 지석묘 상석에 암각화가 그려져 있음.
석검이 크게 그려져 있는데, 석검을 토템으로 믿음.
or 석검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숭상한다는 그런 의미가
있다고 추측!!
청동기시대에 만들었던 성혈- 지석묘의 상석에 나타난 성혈
지석묘 내부 판석에 나타난 성혈
여수 평여동 지석묘- 옥이 많이 나온 곳, 여러 가지 장신구가 나왔음.
여수 화장동 지석묘군
여수 화양면 안골 지석묘군→ 순천대학교박물관 조사, 묘역화/
무덤을 만들기 전에 송국리형 집자리가 있었다.
송국리형 집자리보다 이후시기의 무덤
석검이 많이 나오고, 비파형동검도 나왔음.
관옥(대롱옥)나옴.
광양시 광양읍 용강리 마노산 마노산성- 저수시설(집수정)이 있었음.(∵유사시에 사용) 여기서 백제시대에 만들어진 그릇들,
수막새(백제시대), 그릇,
철로 된 유물이 나옴. (⇒ 마로산성 안에 야철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쟁 시에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보성 활성산성→ 토성
광양 석정유적- 철기시대 집자리/ 삼국시대 유물이 나옴.
* 총 정리 *
* 호남의 첫 발굴- 일제강점기 1917~1918년
나주시 반남면 신촌리 9호분, 덕산리 4호분→ 금동관.(마한왕의 것이라고 추정)
전남의 대표적인 유적
: 순천 죽내리와 월평유적, 영광 원당유적(서해안고속도로), 화순 도산유적,
장흥 신북유적, 광주 치평동유적, 봉산유적
전남의 신석기 유적
: 주로 서해안과 남해안의 섬, 1954년 대흑산도 예리에서 최초확인,
1980년대 보성강 중류, 함평 당하산
청동기- 고인돌
황석리 지석묘→ 굴장했음을 알 수 있음. 권력이 집중되었음.
부여 송국리 유적- 석관묘, 옹관묘, 석개토광묘
비파형동검(요녕식동검)이 나옴.
광주 신창동 유적(사적 제 375호)
해남 군곡리 조개더미(사적 제 449호)
고대국가- 삼한(마한, 진한, 변한), 가야, 고구려, 백제, 신라
신안 안좌선 발굴조사 ←지금까지 인양된 한선 중에서 가장 큰 14C 후기 선박
(신안군 안좌면 금산리 갓섬 앞바다)
* 광주의 대표적인 구석기시대 유적은?
- 산월유적(1993, 첨단지구), 치평동유적(1997, 상무지구)
* 광주의 최초 확인 신석기시대 유적은?
- 노대동유적(2006, 효천지구)
* 광주의 대표적인 청동기시대 유적은?
- 송암동주거지(1978) - 송국리형 주거지→ 이북지방엔 없는 집 자리
풍암동지석묘군(1996), 신창동지석묘(2003)
외촌유적(2004), 수문·장자유적(2006, 수완지구)
* 광주의 초기철기시대(기원전 3~1C)유적은?
- 신창동유적(1995, 1997), 수문유적(2005)
직물을 짜 입었다는 증거가 나옴. - 바디
* 광주의 삼국시대 취락 유적은?
- 동림동유적(2003~2004)- 나루로 만든 보 시설(저수지)이 나옴, 쌍촌동유적(1997)
향등유적(2002), 세동유적(2004)
광주의 동림동유적, 하남유적
* 광주의 삼국시대 고분유적은?
- 월계동 전방후원분(1993), 명화동 전방후원분(1997)
앞에는 네모난 모양/ 뒤에는 동그란 모양의 무덤= 장고분
화순 효산리, 대신리 고인돌군
-세계문화유산등재
최초확인: 1995년
세계문화유산 추진: 1998년 3~4월
세계문화유산 지정: 2000년 12월
화순 대곡리 유적- 국보 제 143호
영광 마전유적(←삼국시대 집자리, 시루가 나옴.), 군동유적
영광 수동유적- 삼국시대 무덤← 여기서 한나라 거울이 나옴. 청동유물이 나옴.
∴중국 한나라와 교역을 했음을 알 수 있음.
영광 군동유적
함평 창서유적- 삼국시대 얼굴이 새겨진 토기편
함평 죽암리 장고산 고분
함평 예덕리 신덕 전방후원분
영암, 나주 일대 고분 안에는 옹관이 있다.
* 영산강 일대의 고분은 주변에 도랑을 돌렸음.
(∵주변 무덤을 신성시하기 위하여 or 주변에 있는 흙으로 봉분을 쌓기 위하여)
* 고분 주변에 도랑을 돌리는 것은 일본 천황무덤에도 쓰였음.
나주 복암리 3호분- 금동신발이 나옴. 귀두대도 (→ 한국에는 나오지 않는 희귀유물,
환두대도가 유행
일본에서 유행)
무안 양장리유적- 삼국시대 집자리
해남 용일리 용운고분- 무덤방 1
해남 옥천면 만의총- 무덤방 1 백제의 지배를 받았다는 증거
장도 청해진 유적-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로 넘어가는 유물이 발견됨.
순천 월평유적★ ·국가사적 제 458호 지정 후기 구석기시대를 대표하는 유적
★ 좀돌날 몸돌
순천 대곡리유적(순천 송광면 주암댐 수몰지역, 1986~1989년)
순천 우산리 내우 지석묘(순천 송광면 주암댐 수몰지역, 1986~1989년)→ 비파형동검
곡성 오지리유적★
여수 돌산읍 송도 패총(신석기시대)
여수시 남면 안도리 안도패총(신석기시대)- 한 무덤 안에 2사람 합장
완도 청산면 여서리 여서도패총(신석기시대)-뼈로 만든 유물 나옴
여수 적량동 상적 지석묘군★- 비파형동검이 많이 나옴.
여수 오림동 지석묘군(신앙적인 특징이 잘 나타남.)
석검을 숭배의 대상, 암각화
광양시 광양읍 용강리 마노산 마노산성 유사시에 쓰임.
천불천탑의 신비, 화순 운주사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1.08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2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