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센서(Biosensor)에 대한 시장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바이오센서(Biosensor)에 대한 시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장 개요
 가. 시장의 정의
 나. 산업의 특성
 다. 산업의 동향

2. 시장 규모 및 특성
 가. 시장 규모
 나. 주요 수요처

3. 시장 및 업체 동향
 가. 해외 시장 동향
 나. 국내 시장 동향
 다. 업계 동향

4. 수요 전망
 가. 해외 시장 전망
 나. 국내 시장 전망

5.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머무르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빠르게 증가하여, 정부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관련 법제화가 추진되는 등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의 기반이 마련되고 있다.
이러한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바이오센서는 나노기술 채용에 따라 정밀성 향상으로 측정 대상 시료 채취의 극미량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측정의 편의성 제고를 위한 측정 대상 시료 채취 위치의 다양화가 추진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고통감소를 위해 최소 침습화 또는 비침습화가 확산되고 있으며, 측정간격의 연속화 및 모니터링, 체내 매립화 등 측정 신뢰도를 향상한 제품의 시장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다. 동업계 현황
BCC Research \"Point of Care Diagnostics\"에 의하면, 2011년 기준 POC 센서의 매출 비중이 가장 큰 기업은 Roche Diagnostics (24.8%)와 Johnson & Johnson(17.4%)이다(<그림 5> 참조). 또한, 세계 5대 POC 진단기기 관련 기업이 전체 POC 바이오센서 시장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약 65%이며, 세계 10위 내 기업의 매출 비중은 71%에 달하여 과점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전 세계 POC센서 관련 기업은 약 200여 개 이상으로 예측된다.
<그림 5> 세계 POC 시장점유율
기업명
2009 M/S
2009 E/S(B$)
2011 M/S
2011 E/S(B$)
Roche Diagnostics
25.2%
33.80
24.8%
34.25
Johnson & Johnson
20.7%
27.70
17.4%
24
Abbott Diagnostics
8.5%
11.40
8.6%
11.85
Siemens
7.4%
9.90
7.2%
9.94
Alere(Inverness Medical)
5.6%
7.50
6.3%
8.7
others
32.6%
47.06
35.7%
49.35
Total
100.0%
133.89
100.0%
138.09
출처: BCC Research, \"Point of Care Diagnostics\", 2012
Environmental Monitoring 시장은 Strategic Diagnostics(AZUR), Waste Technologies of Australia Pty. Ltd, Remedios, Innovative Biosensors, National Exposure Research Laboratory(NERL-LV) 외 10개 이상의 기업에서 참여하고 있다. 2009년 기준 Environmental Monitoring 바이오센서의 매출 비중이 가장 큰 기업은 Strategic Diagnostics(AZUR)(16%)와 Waste Technologies of Australia Pty. Ltd(13%), Remedios(12%)이다(<표 6> 참조).
<표 6> Environmental Monitoring 분야 주요 기업
기업
시장점유율
비고
2006
2009
Strategic Diagnostics(AZUR)
16.0%
16.0%
-
Waste Technologies of Australia Pty.Ltd
13.0%
13.0%
-
Remedios
12.0%
12.0%
-
Sensortec Limited(Universal Sensots)
8.0%
신규 진입
Bruno Lange & Hach Lange
8.0%
8.0%
-
소계
49.0%
57.0%
출처: Frost & Sullivan, \"World Biosensors Markets\", 2007 & 2010
국내 주요기업으로는 (주)올메디쿠스, (주)케이엠에이치, (주)인포피아, (주)아이센스, 아이소텍 등이 있다.
(주)올메디쿠스는 1997년 설립된 혈당측정기 전문 업체이다. 2001년 순수 국내 기술로 ‘글루코닥터’를 선보였다.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혈당 검사지(스트립)에 금을 사용한 이 제품은 적은 양의 피로 판독이 가능하고, 판독 시간도 30초에서 10초로 앞당긴 것이 특징이다. 글루코닥터는 발전을 거듭해 여섯 번째 버전인 ‘글루코닥터 오토(GlucoDr. auto)’가 현재 판매되고 있다. 이 제품은 피부에 꽂기만 하면 판독이 되는 ‘원코드 개념’을 적용한 것으로 5초 안에 판독이 가능하다. 판독할 수 있는 피의 양도 1마이크로리터(μℓ) 이하로 미세하다. 동사는 전체 매출의 75%를 정도를 수출하고 있고, 미국 등 48개국서 연간 1,000만 달러 정도를 판매하고 있다. 앞으로는 미국과 중남미 시장 공략에 힘을 쏟을 계획이다.
(주)인포피아는 다양한 혈당측정 바이오센서콜레스테롤 측정센서의 개발에 성공하였고, 향후 심장질환 진단센서, 암 진단센서 등으로 점차 그 진단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특히 세계에서 4번째로 병원용 혈당측정기인 ‘HbA1c(당화혈색소)측정기’와 ‘콜레스테롤 측정기’를 출시하여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또한, ‘간기능 측정기’, ‘면역진단기’ 개발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그림 6> (주)인포피아의 면역진단제품 SelexOnTM
<그림 7> (주)인포피아의 콜레스테롤 진단제품 Lipid ProTM
바이오진단기기 전문업체인 KMH(주)는 2007년 무채혈 연속 혈당측정기 ‘글루콜’의 핵심 기술인 ‘클루코즈 추출용 패치’에 대한 특허를 취득하였다. ‘글루콜’은 피를 뽑지 않고도 간단하게 혈당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무채혈 혈당 측정기로 직접 채혈하지 않고도 전기 삼투압 방식을 이용, 체액으로 혈당을 측정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고통을 받지 않는다. 또 20분 간격의 혈당치 연속 측정으로 개개인의 혈당 관리가 가능하다. 2008년 식약청 승인을 계기로 글로벌 메디컬 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제품 출시를 계획 중이며, 글로콜 센서 제조 및 라이선싱 계약을 통해 수익구조 확보에 나설 방침이다.
<그림 8> KMH(주)의 글루콜
출처: www.kmholdings.com
(주)아이센스는 2000년에 설립하였으며 주요 사업으로는 의료, 환경, 산업용 센서 및 계측기의 개발과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혈당측정기, 혈액임상분석센서 등을 판매하고 있다. 동사에서 개발한 케어센스 혈당측정기는 세계 최초의 양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3.01.11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5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